[광고분석] TTL과 스무살 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분석] TTL과 스무살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살에 대한 이해
■ N세대란 누구인가
■ N세대 문화
■ 20裏?소비 문화
2. TTL광고의 신비주의
3. 내용 분석
4 . TTL 7개의 특권과 20살 문화의 연관성

Ⅲ. 결론

본문내용

플요금이 여기에 해당된다. 핸드폰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보편화되면서 핸드폰 요금은 핸드폰을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더욱이 스무 살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려해 본다면 TTL 요금제도는 적격인 셈이다. 스무 살은 핸드폰을 사용하는 공간과 전화를 거는 사람이 일정하기 때문에 그 한도 내에서 요금이 조금이라도 절약될 수 있다면 당연히 그 핸드폰을 선택하기 마련이다. TTL 요금제도는 이런 스무 살의 구미를 제대로 집어 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특권 2는 할인 면허증 'TTL CARD'로 젊은 사람들이 종종 이용하는 패스트푸드점이나 영화관에서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특권 2는 특권 1과 마찬가지로 스무 살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제공해 줌으로써 TTL 만이 지닌 특권을 과시한다.
특권 3은 젊은이들이 모이는 거리의 아지트인 "TTL ZONE"에서는 인터넷 및 PC게임, 프린터 사용 등이 무료이다. 이곳은 일명 TTL족 전용 아지트로 다른 문화집단과 차별성을 둔다. 여기에 속한 TTL족은 그 안에서 그들만의 신선한 문화양식을 공유해 나간다. 소외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 안에 소속되어 안정감을 찾으려는 스무 살에게 TTL족 전용아지트는 필요충분조건으로 부합된다. 집단이기주의, 왕따 등으로 문란한 10대 문화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점에 있는 스무 살에게 공통의 관심사와 놀이 문화로 모이는 TTL족 아지트는 결코 지나칠 수 없는 세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권 4는 'www.TTL.co.kr'이라는 주소의 TTL COLLEGE이다. 이제 막 대학문화에 접하게 되는 스무 살에게 인터넷 안의 대학공간은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진다. TTL COLLEGE는 어떤 강압적인 제약이나 규칙이 없는 공간이라 스무 살에게 더없이 자유로운 곳으로 여겨진다. TTL COLLEGE에서는 조회수가 높을 수록 그것이 포인트로 기록되어 나중에 그 점수에 따라 현금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지 않은 것을 선택하는 스무 살의 심리적인 측면을 적절히 파악한 전략이다.
특권 5는 나만의 핸디 악세사리인 TTL전용 휴대폰 단말기 컬렉션이다. 지루할 만큼 일정한 상태가 반복되는 것을 꺼리는 스무 살에게 멋스럽고 화려한 핸디 악세사리는 히트할 만한 소지가 충분하다. 독특하고 튀는 것을 좋아하는 그들에게 딱 맞는 특권이다.
특권 6은 걸어다니는 네트워크인 n.TOP이다. 신기하고 간편한 그리고 재미있는 것을 추구하는 스무 살은 손쉽게 들고 다닐 수 있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핸드폰을 선호한다. 지금의 스무 살은 인터넷 문화에 너무도 익숙하여 이른바 N세대라고 불린다.
특권 7은 멈추지 않는 TTL 페스티벌이다. 천편일률적인 것보다 변화무쌍한 것을 좋아하는 스무 살에게 네버엔딩 TTL 페스티벌은 이름부터 관심을 끈다. 이 특권은 2000년을 살고 있는 N세대의 삶은 어떠하고 무엇을 선호하는지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내세운 전략이다.
위 7개의 특권은 TTL을 사용하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다. 스무 살은 TTL 이 마련한 공간에 소속되어야만 그들만이 지닌 문화적 취향을 함께 공유하고 그 공간을 즐길 수 있다. 이것 또한 TTL이 부여하는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스무 살이 존재하는 곳은 어디든 TTL이 함께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광고주는 그런 인식을 TTL 광고를 통해 은연중에 심어 줌으로써 타겟 층에게 제대로 광고를 해 온 것이다. TTL 7개의 특권은 스무 살 삶의 깊숙한 곳까지 파헤쳐 현실적으로 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Ⅲ. 결론
TTL은 20살의 의미에 상품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들 자신에게 정체성과 함께 상품으로써가 아닌 자신들의 일부로써 제품을 인식하게 하였다.
"문화를 소비한다"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스무 살이라는 나이가 가지는 이미지를 광고 속에 반영함으로써 그 세대에 속해있는 집단을 끌어들인 것이다. 그것이 '내 것'이라는 소유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고, 또래 집단과의 공유할 수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그 문화의 한 일원이라는 소속감을 주었다. 또한 하나의 제품뿐 아니라 문화적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스무 살의 삶'이라는 특별함을 창조하였다.
이처럼 TTL은 신비주의 광고기법과 성숙과 미성숙에 있는 스무 살의 기호와 심리를 잘 파악해서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었다. 광고시장에서 마케팅적 가치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20살(N세대)을 타겟으로 광고타겟-광고전략-광고방식을 적절히 소화시킨 것이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광고의 특징인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추리하고 의미를 완성하게 만드는 이미지와 환유로 인해 광고 텍스트 의미가 고정되어 있거나, 명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의적인 해석에 맡겨져 있다는 점이다.
이미지는 근본적으로 모호성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모호성 때문에 마음은 이미지에 끌려가게 된다. 우리의 지각이 이미지를 잡고 있는 한 모호한 이미지는 우리로 하여금 수많은 담론을 일으키게 한다. 우리는 억측과 가설을 내세워 논리적인 담론을 펴지만 그것이 이미지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이미지를 계기로 우리는 나름대로 이야기를 엮어갈 뿐이다.
환유에서는 자의성이 보다 강력하게 일어난다. 환유를 만드는 선전자들이 어떤 기호를 환유로 삼을 것인가는 그들이 자의로 선택할 문제이다. 또 대중들이 환유의 나머지 부분을 어떻게 채워내느냐 하는 것은 대중들이 임의로 공상할 문제이다. 환유가 진실이라고 선전하고 자 하는 바에 맞아떨어지는 결론만 대중으로부터 얻어내면 되는 것이다. 많은 경우 환유는 성과가 좋다.
참고문헌
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 돈 탭스톳 지음 / 허운나 유영만 옮김 / 물푸레 출판사 / 1999.5
http://www.compaq.co.kr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 김경용 / 민음사 1994년 5월/ p17
Ⅰ. 서론
Ⅱ. 본론
1. 20살에 대한 이해
N세대란 누구인가
N세대 문화
20살의 소비 문화
2. TTL광고의 신비주의
3. 내용 분석
4 . TTL 7개의 특권과 20살 문화의 연관성
Ⅲ. 결론

키워드

광고,   광고분석,   TTL,   20,   분석,   문화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1.22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