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교육 사상에 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 본론
1)유학
2)성리학

본문내용

. 즉, 그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표는 '사람다운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고, 그 이상적인 인간상은 성인이며, 이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으로 군자를 들고 있다. 그의 교육 방법으로 입지가 있는데 입지란 뜻을 세워야 한다는 말로서, 실효를 얻으려면 목표를 먼저 바로 세워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는 '성학집요' '입지' 장에서 " 배움에는 뜻을 세우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고 하여 '입지'를 '수기'의 앞에 두었다. 또 그는 사물의 이치를 밝혀내는 궁리를 더 중시했다. 그는 궁리에서 우리의 마음이 지녀야 할 자세로 성을 내세웠다. '성'이란 참되고 거짓이 없음을 뜻하는 것으로 '성'이 없으면 뜻이 세워질 수도 없고, 이가 밝혀질 수 없으며 기질도 변화 될 수 없다고 보았다. 이러한 성은 사물의 존재 원리이며, 거경·궁리·궁행의 근본이었다. 또한 단순한 정직의 차원을 넘어선 인간의 삶 그 자체를 말한다. 필연적으로 경과 관련되어 성이 내면적 행위규범이라 하면, 경은 외면적 행위규범으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지와 행이 일치하고, 앎과 삶이 합치되는 경지이며, 천과 인이 합일되는 경지이다. 궁극적으로 입지와 성은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기론의 입장을 취하는 이이는 기질을 변화시키게 해주는 실천을 더 중시하여 수기보다 치인에 더 관심을 두었다. 그래서 실천적 규범에 관한 내용을 먼저 익힐 것을 주장했는데, 독서의 순서를 '소학', '대학'과 '논어', '맹자', '중용', '시경', '춘추'등의 순으로 학문에 입문하고, 그리고 나서 '근사록'과 '주자대전'을 비롯한 고도의 이론서를 탐구할 것을 권하였다.

키워드

조선시대,   교육,   사상,   교육사상,   교사,   선생,   조선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