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시대적 배경
Ⅲ.조광조의 생애
Ⅳ.조광조의 국정개혁론
1. 국정개혁의 기본적 시각 - 유교적 변개론
2. 유교적 정치이념의 정립
(1) 폐비 신씨 문제
(2) 소격서 철폐론
3. 국정개혁의 기반
(1) 향약
(2) 현량과
4. 국정운영 주체의 정비 - 위훈삭제론
Ⅴ.조광조의 정치 리더십
Ⅵ.마치며...
Ⅱ.시대적 배경
Ⅲ.조광조의 생애
Ⅳ.조광조의 국정개혁론
1. 국정개혁의 기본적 시각 - 유교적 변개론
2. 유교적 정치이념의 정립
(1) 폐비 신씨 문제
(2) 소격서 철폐론
3. 국정개혁의 기반
(1) 향약
(2) 현량과
4. 국정운영 주체의 정비 - 위훈삭제론
Ⅴ.조광조의 정치 리더십
Ⅵ.마치며...
본문내용
되어야 하며 이들을 소인과 구별하여 등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양론에서는 경(敬)을 통해수기(修己)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인(仁)으로써 베풀게 될 때 사회의 안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천도론은 자연이 하나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천인합일의 사상이었다. 천(天)은 인간에게 이(理)를 부여하는 의리의 천이었다. 또한 하늘은 이(理)인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모든 인간에게 부여했다는 것으로 이는 하늘과 인간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시각에서 성리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지치(至治)주의적 정치운영론을 개진하였다. 그는 왕도정치론을 통해 정치운영의 목적이 왕도실현에 있음을 천명하였는데, 정치운영에서 도(道)를 밝히는 것과 인(仁)을 행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모든 국민을 경제적으로 부유하게 만들면서 도덕적으로 인의(仁義)가 실현되는 사회를 목표로 하였다.
2. 원칙을 존중하며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소신있는 태도를 가진 인물
조광조의 개혁목표와 이념에 있어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추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성리학적인 원칙을 강조했고 그에 따라 국정을 개혁하는데 노력했다. 조광조는 폐비 신씨 문제에서 대간들이 잘못 행동했음을 상소를 통해 왕에게 알리고, 언로를 바로잡아 선비들의 충언이 왕에게 전달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고 민의를 수렴할 수 있도록 왕에게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바른 언로를 만들었다. 또한 성리학적 이상사회와 어긋나는 미신을 숭배하고 사람들을 현혹하는 소격서를 철패토록 했다. 소격서가 조선 사회에 맞지 않음은 많은 대신들과 대간들에게 인식되어 있었지만, 이전부터 있어 왔던것을 왜 지금에 와서야 없애느냐는 이유로 소격서 폐지를 미루고 있던 세력들로부터 결국 소격서 폐지라는 타협을 얻어내고 성리학적 이상사회 구축을 위한 원칙이라는 굳건한 기둥을 세웠다. 그리고 정국공신의 위훈은 정국공신들의 공 부풀리기로 인해 공이 없는 이들에게까지 주어졌으며, 그들에게 세습되는 작위나 노비의 소유 등 많은 폐단을 낳았다. 결국 절반이 넘는 수의 정국공신들의 위훈을 삭제토록 하여 원칙을 바로세웠다. 조광조는 이러한 정국의 썩은 부분들을 발라내고 싱싱한 새 싹을 심어 원칙과 이상이 지배하는 국가를 만들려했다.
조광조의 개혁이념은 이와 같은 개혁목표와 어울리게끔 철저한 성리학적 사유에 입각해 있었다. 그러나 그의 이념은 오히려 그 철저함으로 인해 거부감을 낳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개혁이념의 원칙에 대한 고집과 비타협성은 그의 개혁의 철저함으로 연결되는 대신에, 역으로는 오히려 저항세력을 키우는 결과는 낳게 된 것이다.
예컨대 성인에 버금가는 군주의 통치에 대한 이념적 지향은 오히려 중종을 압박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이것이 끝내 중종이 조광조를 축출하도록 용인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광조의 개혁이념은 이후 후대인 사림정권 하에서 추구되어야 할 이상으로 계승되었다. 율곡 이이의 경우만 보더라도 언로개방론이나, 공론정치 등을 통해 조광조의 개혁이념을 계승했던 것이다.
Ⅵ.마치며...
조광조같은 인물이 만약 우리시대에 있다면 어떻게 됐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잘못된 국정을 바로잡기 위해 윗사람에게 조차 날카롭게 비판하는 것을 서슴지 않으며 깊은 공부로 자신만의 전문적인 영역에서 올바른 점을 앞장서서 개혁해 나가는 사람. 원칙을 지키며 그것을 추진할 수 있는 소신을 가진 사람. 지금 우리는 이러한 선비정신을 가진 인물을 진정으로 필요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현암사, 2002)
최락도, 우리 시대에 조광조가 있다면 (푸른샘, 2002)
부남철,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사계절, 1996)
조광조는 이를 바탕으로 지치(至治)주의적 정치운영론을 개진하였다. 그는 왕도정치론을 통해 정치운영의 목적이 왕도실현에 있음을 천명하였는데, 정치운영에서 도(道)를 밝히는 것과 인(仁)을 행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모든 국민을 경제적으로 부유하게 만들면서 도덕적으로 인의(仁義)가 실현되는 사회를 목표로 하였다.
2. 원칙을 존중하며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소신있는 태도를 가진 인물
조광조의 개혁목표와 이념에 있어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추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성리학적인 원칙을 강조했고 그에 따라 국정을 개혁하는데 노력했다. 조광조는 폐비 신씨 문제에서 대간들이 잘못 행동했음을 상소를 통해 왕에게 알리고, 언로를 바로잡아 선비들의 충언이 왕에게 전달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고 민의를 수렴할 수 있도록 왕에게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바른 언로를 만들었다. 또한 성리학적 이상사회와 어긋나는 미신을 숭배하고 사람들을 현혹하는 소격서를 철패토록 했다. 소격서가 조선 사회에 맞지 않음은 많은 대신들과 대간들에게 인식되어 있었지만, 이전부터 있어 왔던것을 왜 지금에 와서야 없애느냐는 이유로 소격서 폐지를 미루고 있던 세력들로부터 결국 소격서 폐지라는 타협을 얻어내고 성리학적 이상사회 구축을 위한 원칙이라는 굳건한 기둥을 세웠다. 그리고 정국공신의 위훈은 정국공신들의 공 부풀리기로 인해 공이 없는 이들에게까지 주어졌으며, 그들에게 세습되는 작위나 노비의 소유 등 많은 폐단을 낳았다. 결국 절반이 넘는 수의 정국공신들의 위훈을 삭제토록 하여 원칙을 바로세웠다. 조광조는 이러한 정국의 썩은 부분들을 발라내고 싱싱한 새 싹을 심어 원칙과 이상이 지배하는 국가를 만들려했다.
조광조의 개혁이념은 이와 같은 개혁목표와 어울리게끔 철저한 성리학적 사유에 입각해 있었다. 그러나 그의 이념은 오히려 그 철저함으로 인해 거부감을 낳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개혁이념의 원칙에 대한 고집과 비타협성은 그의 개혁의 철저함으로 연결되는 대신에, 역으로는 오히려 저항세력을 키우는 결과는 낳게 된 것이다.
예컨대 성인에 버금가는 군주의 통치에 대한 이념적 지향은 오히려 중종을 압박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이것이 끝내 중종이 조광조를 축출하도록 용인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광조의 개혁이념은 이후 후대인 사림정권 하에서 추구되어야 할 이상으로 계승되었다. 율곡 이이의 경우만 보더라도 언로개방론이나, 공론정치 등을 통해 조광조의 개혁이념을 계승했던 것이다.
Ⅵ.마치며...
조광조같은 인물이 만약 우리시대에 있다면 어떻게 됐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잘못된 국정을 바로잡기 위해 윗사람에게 조차 날카롭게 비판하는 것을 서슴지 않으며 깊은 공부로 자신만의 전문적인 영역에서 올바른 점을 앞장서서 개혁해 나가는 사람. 원칙을 지키며 그것을 추진할 수 있는 소신을 가진 사람. 지금 우리는 이러한 선비정신을 가진 인물을 진정으로 필요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선비 (현암사, 2002)
최락도, 우리 시대에 조광조가 있다면 (푸른샘, 2002)
부남철,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사계절, 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