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 홍영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석 홍영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홍영식의 가계
1. 시조 및 본관(本貫)의 유래
2. 홍영식의 생애

Ⅲ. 홍영식(洪英植)의 사상 및 활동

Ⅳ. 홍영식 유물 및 지역소개

Ⅴ. 결론

본문내용

(1884) 봄, 전권 대신 박영효, 부관 홍영식, 종사관 서광범 등이 미국에서 돌아왔다.
...그리고 홍영식은 가선(嘉善)으로 승진시키고, 대교(待敎) 서광범은 동부승지로 특진시켰으며, 김옥균도 참판을 제수하였다.
....그리고 홍영식은 사절로 갔다 온 후, 그의 아버지를 뵈온 지 이미 1년이 지났었다. 그가 대궐로 나갈 때 그의 부친 홍순목이 빈청에 있었으나 그는 입시만 하고 물러나와 빈청을 들리지 않고 곧바로 집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그는 관서 이승오가 집을 판다는 말을 듣게 되었다. 이 때 이승오는 상중에 있었지만 홍영식은 조문을 하지 않았다. 그는 그 집을 소개한 사람을 따라 이승오의 집에 갔다. 홍영식은 홑두루마기를 입은 채 손을 뒤로 하고, 그의 집을 들어가 처마만 둘러보고 나왔다. 이승오에게 조문도 하지 않고 돌아간 것이다. 우리 풍속에 대체로 남에게 조문할 사람은 하얀 도포를 입지만 조문을 하지 않을 사람은 그의 집을 들어가지 않는다. 이 때 나는 한성에 있으면서 경향 (經香) 한장석을 찾아 보았다. 경향은 손가락을 꼽아가며 서재필과 홍영식의 하는 일을 말해 주면서 "윤리가 없어졌으니 나라가 망하지 않겠습니까?" 하고 탄식을 그치지 않았다.
Ⅳ. 홍영식 유물 및 지역소개
홍영식묘는 광주군 초월리 쌍룡리에 있다가 1903년 현 위치(경기도 여주군 흥천면)에 이장된 것이며 봉분의 높이는 1.1m둘레는 6.15m로 약 30평이다. 봉분 앞 중앙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우측에는 옥개를 얹은 「금석 선생 남양 홍공 영식 지묘(琴石先生南陽洪公英植之墓)」라고 쓴 묘비가 서있다. 묘비는 1977년에 건립되었다.
Ⅴ. 결론
같은 시대, 가족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홍영식 부자의 시대관은 차이가 있다. 즉 홍순목은 강력한 쇄국척화론자로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이념론자이다. 그는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의 강화도내륙시 로우공사와 로저스의 조선개항요구를 단호히 거부하는데 앞장선 인물이다. 이에 반하여 그의 아들 홍영식은 일찍이 신사유람단으로 도일했고 1883년 미국사절로 도미, 미국의 경이적인 문화발전상을 목도하고부터 가장 진보적인 개화사상가가 된 것이다. 특히 그는 미국의 교육제도를 도입, 조국근대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의 급진적인 개화사상은 갑신정변으로 발전했지만 정변 실패 후 김옥균 등은 구명도생(救命圖生)했으나 홍영식은 모든 책임을 지고 죽음으로써 혁명가다운 개화의지를 보여주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2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