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 우표의 역사
Ⅱ. 한국 최초의 우역
1. 파발
2. 봉수
Ⅲ. 우표의 분류
1. 기능별 분류
1) 보통우표(REGULAR, DEFINITIVE STAMP)
2) 기념우표(COMMEMORATIVE STAMP)
3) 자선우표(SEMIPOSTAL STAMP)
4) 항공우표(AIR MAIL STAMP)
5) 요금부족우표(POSTAGE DUE STAMP)
6) 속달우표 등(SPECIAL DELEVERY STAMP)
7) 공용우표(OFFICIAL STAMP)
2. 시대적 분류
1) 클래식(CLASSIC STAMP)
2) 세미클래식(SEMI- CLASSIC STAMP)
3) 현대우표(MODERN STAMP)
4) 테마우표(THEMATIC STAMP)
3. 사용여부
1) 미사용
2) 사용제
Ⅳ. 북한의 우표
참고문헌
Ⅱ. 한국 최초의 우역
1. 파발
2. 봉수
Ⅲ. 우표의 분류
1. 기능별 분류
1) 보통우표(REGULAR, DEFINITIVE STAMP)
2) 기념우표(COMMEMORATIVE STAMP)
3) 자선우표(SEMIPOSTAL STAMP)
4) 항공우표(AIR MAIL STAMP)
5) 요금부족우표(POSTAGE DUE STAMP)
6) 속달우표 등(SPECIAL DELEVERY STAMP)
7) 공용우표(OFFICIAL STAMP)
2. 시대적 분류
1) 클래식(CLASSIC STAMP)
2) 세미클래식(SEMI- CLASSIC STAMP)
3) 현대우표(MODERN STAMP)
4) 테마우표(THEMATIC STAMP)
3. 사용여부
1) 미사용
2) 사용제
Ⅳ. 북한의 우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푸른해초도미 등이 도안되어 있는데, 지난 91년 국제우표 전시회 출품을 위해 발행됐다. 중국의 명물인 팬더곰을 도안으로 한 우표도 같은 전시회 출품용으로 발행됐다. 곤충시리즈에는 대모벌, 짧은 날개여치, 송충알기생벌 등 북한의 들녁에 서식하는 곤충들이 도안되어 있다.
특산물시리즈는 금강초롱, 느삼나무, 구삼나무 등 세계적으로 한반도에서 만 자생하는 식물들이, 그리고 조류시리즈에는 저어새, 오리가리, 대백로, 황새 등이 각각 도안으로 들어가 있다. 특히 조류시리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조류학자이자 경희대 원병오교수(조류학)의 부친인 원홍구 박사의 얼굴 그림이 함께 들어간 우표도 있다. 동물시리즈 중에서는 93년의 닭 시리즈와 94년의 개시리즈 등 우리 민족의 전래의 12간지를 주제로 한 우표들이 눈길을 끈다.
- 스포츠시리즈 : 북한에서 열린 세계태권도선수권 대회 기념우표, 바르셀로나 올림픽 기념우표, 월드컵축구대회 기념우표, 유명 외국스포츠팀 초청 기념우표 등이 있다. 북한은 캐나다에 거주하는 친북 동포인 최홍희가 이끄는 국제태권도연맹을 내세워 태권도 종주국임을 선전하고 있는데 동작구성이나 용어 등에서 남한의 태권도와 차이가 난다. 최근에는 평양 청춘거리에 연건평 2만여평방미터 규모의 태권도전당을 건립하기도 했다. 이 건물은 김정일의 \'친필제명\'으로 유명하다.
- 과학시리즈 : 만류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의 업적을 기리는 우표 등 세계발명시리즈와 태양계의 9개 행성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형상화 우주시리즈 등이 있다.
최근 들어 북한의 우표는 서신교환 수단보다는 외국수집가들을 대상으로 판매를 주목적으로 발행되고 있다. 이는 우표판매가 외화획득의 주요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에 북한 우표에 대한 국제우표 수집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90년에 발행된 인공위성을 도안으로 한 20전 짜리 북한우표가 국제시세로 약 1백40달러를 호가한다는 것이다. 이 우표는 북한내에서도 제고가 없어 이처럼 국제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우표수집연맹은(필자주 : 아마도 FIP를 일컫는 것 같음)지난 92년 우표를 상업적 목적으로 발행하는 나라의 리스트를 발표했는데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부탄과 함께 북한도 여기에 들어있었다.(FIP의 경고 대상국임) 이들 국가의 우표는 국내에서 사실상 사용되지 않고 발행 후 곧 외국에서 비싼 값으로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시되었다.
당시 세계우표수집연맹에서는(사실은 세계우취연맹으로 호칭되고 있음) 북한 등의 판매용 우표발행이 연맹규약의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향후 이러한 일이 계속될 때에는 이들 국가에 대해 국제전시회 출품작품을 박탈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국제우표전시회출품을 통한 해외판매는 물론 평양 고려 호텔 옆에 위치한 \'창광입체우표상점\'에서 외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우표를 판매하고 있다.
이상은 내외통신 기사를 가감없이 원문대로 소개했다. 그러나 북한우표 중에는 수집가들을 겨냥한 우표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북한에서 인쇄한 것도 있지만 스위스 등지의 우표인쇄 전문상에서 의뢰하여 인쇄한 것들이 많다.
북한은 최근 국제적인 여론과 남한 종교지도자와의 회담을 의식한 나머지 \'봉수교회\'를 비롯한 개신교회 2개 카톨릭교회 1개 등 모두 3개의 교회를 세웠지만 사실상 기독교를 용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우표도 발행한 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우표 도안에 있어 한국우표가 인물우표 발행이 적은데 반해 인물우표가 월등히 많다는 것을 부연해 둔다.
참고문헌
편찬위원회, 우표 수집 길잡이, 한국우취연합, 2005
편집부, 한국우편도감, 우문관, 2005
특산물시리즈는 금강초롱, 느삼나무, 구삼나무 등 세계적으로 한반도에서 만 자생하는 식물들이, 그리고 조류시리즈에는 저어새, 오리가리, 대백로, 황새 등이 각각 도안으로 들어가 있다. 특히 조류시리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조류학자이자 경희대 원병오교수(조류학)의 부친인 원홍구 박사의 얼굴 그림이 함께 들어간 우표도 있다. 동물시리즈 중에서는 93년의 닭 시리즈와 94년의 개시리즈 등 우리 민족의 전래의 12간지를 주제로 한 우표들이 눈길을 끈다.
- 스포츠시리즈 : 북한에서 열린 세계태권도선수권 대회 기념우표, 바르셀로나 올림픽 기념우표, 월드컵축구대회 기념우표, 유명 외국스포츠팀 초청 기념우표 등이 있다. 북한은 캐나다에 거주하는 친북 동포인 최홍희가 이끄는 국제태권도연맹을 내세워 태권도 종주국임을 선전하고 있는데 동작구성이나 용어 등에서 남한의 태권도와 차이가 난다. 최근에는 평양 청춘거리에 연건평 2만여평방미터 규모의 태권도전당을 건립하기도 했다. 이 건물은 김정일의 \'친필제명\'으로 유명하다.
- 과학시리즈 : 만류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의 업적을 기리는 우표 등 세계발명시리즈와 태양계의 9개 행성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형상화 우주시리즈 등이 있다.
최근 들어 북한의 우표는 서신교환 수단보다는 외국수집가들을 대상으로 판매를 주목적으로 발행되고 있다. 이는 우표판매가 외화획득의 주요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년 사이에 북한 우표에 대한 국제우표 수집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90년에 발행된 인공위성을 도안으로 한 20전 짜리 북한우표가 국제시세로 약 1백40달러를 호가한다는 것이다. 이 우표는 북한내에서도 제고가 없어 이처럼 국제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우표수집연맹은(필자주 : 아마도 FIP를 일컫는 것 같음)지난 92년 우표를 상업적 목적으로 발행하는 나라의 리스트를 발표했는데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부탄과 함께 북한도 여기에 들어있었다.(FIP의 경고 대상국임) 이들 국가의 우표는 국내에서 사실상 사용되지 않고 발행 후 곧 외국에서 비싼 값으로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시되었다.
당시 세계우표수집연맹에서는(사실은 세계우취연맹으로 호칭되고 있음) 북한 등의 판매용 우표발행이 연맹규약의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향후 이러한 일이 계속될 때에는 이들 국가에 대해 국제전시회 출품작품을 박탈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국제우표전시회출품을 통한 해외판매는 물론 평양 고려 호텔 옆에 위치한 \'창광입체우표상점\'에서 외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우표를 판매하고 있다.
이상은 내외통신 기사를 가감없이 원문대로 소개했다. 그러나 북한우표 중에는 수집가들을 겨냥한 우표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북한에서 인쇄한 것도 있지만 스위스 등지의 우표인쇄 전문상에서 의뢰하여 인쇄한 것들이 많다.
북한은 최근 국제적인 여론과 남한 종교지도자와의 회담을 의식한 나머지 \'봉수교회\'를 비롯한 개신교회 2개 카톨릭교회 1개 등 모두 3개의 교회를 세웠지만 사실상 기독교를 용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미켈란젤로의 \'피에타\'우표도 발행한 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우표 도안에 있어 한국우표가 인물우표 발행이 적은데 반해 인물우표가 월등히 많다는 것을 부연해 둔다.
참고문헌
편찬위원회, 우표 수집 길잡이, 한국우취연합, 2005
편집부, 한국우편도감, 우문관,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