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준비
3-갑신정변 후 새정부과 14개조 정강
4-갑신정변의 의의와 한계
2-준비
3-갑신정변 후 새정부과 14개조 정강
4-갑신정변의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극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직접적인 원인은 청군의 간섭 때문이었다. 그 밖에 정변 자체가 민중에 뿌리박지 못한 개화파의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는 점도 한 몫을 하였다.
한 예로 지조법 개혁방침은 종래의 지주제를 인정한 위에서 세제개혁의 차원에서만 토지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당시 반봉건 투쟁에 가장 철저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민중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정변 당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다. 이는 급진개화파의 대다수가 봉건 대지주에 기반을 둔 계급적 한계에 기인한 것이었다. 나아가 개화파의 계급적 한계는 지주제 존속을 바탕으로 조선사회의 식민지화를 획책하던 구미열강과 투쟁할 내적 근거를 박약하게 하여 구미열강의 침략성에 철저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곧 정권탈취와 개혁에 일본을 이용하려던 그들의 주관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침략자를 원조자로 끌어들이게 되었고, 결국 일본의 배반으로 정변을 실패로 이끈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적인 국가와 사회건설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고, 단계적으로나마 국민주권주의를 지향한 최초의 정치개혁운동이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한 예로 지조법 개혁방침은 종래의 지주제를 인정한 위에서 세제개혁의 차원에서만 토지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당시 반봉건 투쟁에 가장 철저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민중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정변 당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다. 이는 급진개화파의 대다수가 봉건 대지주에 기반을 둔 계급적 한계에 기인한 것이었다. 나아가 개화파의 계급적 한계는 지주제 존속을 바탕으로 조선사회의 식민지화를 획책하던 구미열강과 투쟁할 내적 근거를 박약하게 하여 구미열강의 침략성에 철저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곧 정권탈취와 개혁에 일본을 이용하려던 그들의 주관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침략자를 원조자로 끌어들이게 되었고, 결국 일본의 배반으로 정변을 실패로 이끈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적인 국가와 사회건설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고, 단계적으로나마 국민주권주의를 지향한 최초의 정치개혁운동이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