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III. 당시 문화예술 상황
IV. 당시 과학과 문화예술의 한계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III. 당시 문화예술 상황
IV. 당시 과학과 문화예술의 한계
본문내용
구한말 과학 & 문화예술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
│ 연대 │ 과학사 │ 세계사
├────────────────────────────────────────────────
│ 1868 │ │ 일본 메이지 유신
│ 1881 │ 파스퇴르 ‘탄저병’ 백신 개발 성공 │
│ 1884 │ │ 갑신정변
│ 1888 │ 헤르츠 ‘전자기파’ 존재 실험으로 증명 │
│ 1894 │ │ 청일전쟁,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 1895 │ 뢴트겐 X 선 발견 │
│ 1896 │ 베크렐 우라늄의 방사선 발견 │ 독립협회 설립
│ 1898 │ 퀴리 부부 라듐과 풀로늄 발견 │
│ 1990 │ 멘델의 유전 법칙 재발견 │
│ 1904 │ │ 러일 전쟁 발발
│ 1905 │ 아인슈타인 특수 상대성 이론 발표 │ 을사조약 강제 체결
│ 1909 │ │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암살
│ 1910 │ │ 한일합병 조약 조인 공포
│ 1911 │ 러더퍼드 원자핵의 존재 확인 │ 신해혁명, 중화민국 성립
│ 1916 │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 이론 발표 │
│ 1919 │ │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1800 년대 이전
- 홍대용 : 지동설
정약용 : 서양과학
⇒ 18세기 후반 조금은 활성화 되었던 일부 지식인의 열정이 19세기에 들면서 사그러듦
1800 년대
- 남병철, 남병길, 최한기
- 영선 사행 : 서양 근대과학기술 습득
- 신사유람단 : 1881년 일본 파견한 문물시찰단
- 조미수호통상조약 : 서양과 맺은 최초 국제조약
⇒ 외국어 보급을 가장 급한 과제로 삼고 있었기에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을
수용할 태세에 들어가지 못함 (당시 근대식 교육의 한계)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
│ 연대 │ 과학사 │ 세계사
├────────────────────────────────────────────────
│ 1868 │ │ 일본 메이지 유신
│ 1881 │ 파스퇴르 ‘탄저병’ 백신 개발 성공 │
│ 1884 │ │ 갑신정변
│ 1888 │ 헤르츠 ‘전자기파’ 존재 실험으로 증명 │
│ 1894 │ │ 청일전쟁,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 1895 │ 뢴트겐 X 선 발견 │
│ 1896 │ 베크렐 우라늄의 방사선 발견 │ 독립협회 설립
│ 1898 │ 퀴리 부부 라듐과 풀로늄 발견 │
│ 1990 │ 멘델의 유전 법칙 재발견 │
│ 1904 │ │ 러일 전쟁 발발
│ 1905 │ 아인슈타인 특수 상대성 이론 발표 │ 을사조약 강제 체결
│ 1909 │ │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암살
│ 1910 │ │ 한일합병 조약 조인 공포
│ 1911 │ 러더퍼드 원자핵의 존재 확인 │ 신해혁명, 중화민국 성립
│ 1916 │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 이론 발표 │
│ 1919 │ │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1800 년대 이전
- 홍대용 : 지동설
정약용 : 서양과학
⇒ 18세기 후반 조금은 활성화 되었던 일부 지식인의 열정이 19세기에 들면서 사그러듦
1800 년대
- 남병철, 남병길, 최한기
- 영선 사행 : 서양 근대과학기술 습득
- 신사유람단 : 1881년 일본 파견한 문물시찰단
- 조미수호통상조약 : 서양과 맺은 최초 국제조약
⇒ 외국어 보급을 가장 급한 과제로 삼고 있었기에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을
수용할 태세에 들어가지 못함 (당시 근대식 교육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