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과학과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본문
(1)예술과 과학의 소통
(2)상호작용을 위한 컴퓨터 미술
<과학과 상호작용 하는 예술의 예>
◎ 상호작용을 위한 광학
◎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카메라
◎ 상호작용 하는 책
◎ 통신을 사용한 상호작용
◎ 멀티 미디어
◎ 버추얼 리얼리티와 상호작용 퍼포먼스
(3)프랙탈 기하학
(4) 태크놀로지 예술
-현대 테크놀로지 예술(1970~현재)-

※ 맺음말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위한 창작요소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사실상 비디오 아트는 금세기 미술사의 흐름에서 본다면 예술적 비(非)개념을 동반한 채 강도 높은 변증법을 내포하고 있어 전통 미학으로는 그 규정이 용이하지 않을 만큼 현대 전자과학 기술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이미지 세계를 지니고 있다. 더욱이 컴퓨터에 의한 소프트웨어 시스템과의 새로운 결합으로 무한한 이미지 창조와 변형이 가능해진다.
레이저(Laser)아트 : 레이저는 제3산업사회회가 만들어 낸 빛의 총아라고 할 만큼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인공으로 된 양적 에너지로서의 빛이다.
따라서 예술가들에게 있어서 레이저는 <가장 오리지널한 빛의 선택이자 하나의 방법 사용>이 된다. 즉 종래의 어떤 빛에 비해 레이저는 충격적인 미학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바 첫째, 색채의 선명도와 투명도에 있어서 환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순도 높은 색채를 만들어 낸다. 둘째, 레이저광의 빛이 다른 어떤 빛에 비해 가장 논리적인 일관성을 지니고 있어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만큼 완벽에 가까울 정도의 굵기가 같은 직선광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셋째, 레이저는 광파의 길이가 짧게는 수 미터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것이어서 이것으로 환경 차원의 거대한 스펙타클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예술가들에 의한 레이저 사용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지는데 첫째, 레이저 빛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미지를 생산변형하는 레이저 빔(Beam)과 레이저 그래픽이 그것이다. 특히 레이저 스펙타클은 예술적 효과가 라이트 키네티즘이라는 빛+움직임으로 전환되고 여기에다 물, 불, 공기, 대지 등의 자연요소와 결합되면서 토탈 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홀로그램(Hologram) : 이 역시 레이저광을 이용, 렌즈도 카메라도 없이 3차원의 정지, 또는 움직이는 입체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마치 실물처럼 입체적으로 우리 눈에 보이게 되는 점을 이용, 리얼리티한 다색다감의 정적 또는 동적인 복합차원의 이미지를 창조하게 된다.
컴퓨터 그래픽스 : 컴퓨터 그래픽스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 일어나는 내부 행위에 의한 인공두뇌학적 테크놀로지 시스템의 다양성으로 하여금 이미지를 창조하게 되는데 인포메이션 아트(Information Art)라고 하기도 하고 인공지능예술(Cybernetics Art)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으나 정확하게는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라고 해야 한다.
오늘날 이러한 발달된 컴퓨터의 정보시스템에 의한 새로운 이미지 생산은 인간의 손으로 할 수 없는 복잡한 과정을 논리적인 일관성을 지닌 사고 시스템에 위임하여 합리적으로 신속정확하게 수행하게 한다.
※ 맺음말
이렇게 과학과 관련하여 예술에 관해 알아보았다.
과학의 정의 : 과학이란 어떤 영역의 대상을 객관적인 방법으로, 계통적으로 연구하는 활동, 또는 그 성과의 내용. 특히, 자연 과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야후 백과사전)
일반적으로 예술에 관해 깊게 생각해 보지 않고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예술과 과학의 관계에 대해 말해 보라고 하면 그 둘의 관계는 뭔가 연관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아무생각 없이 보았을 때 예술과 과학은 매우 달라 보이기 때문이다. 예술은 매우 감정적인 것이며 과학은 이성적인 것이기 때문에 그 둘의 관계는 서로 거리가 있다는 잘못된 판단을 하기 십상이다. 나도 이 과제를 수행하기 전(예술과 과학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전) 막연히 예술과 과학은 뭔가 서로 다를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과제를 하기 위해 깊이 생각해 보았다. 분명 예술과 과학을 따로 떼어놓고 볼 수는 없다는 생각을 하면서 자료를 찾아보며, 그 생각에 대한 확신을 하기 시작했다. 분명 이 둘은 연관성이 있었다.
이 과제를 하면서 과학은 예술과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그러면서 우리에게 과학의 특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예술적 작용도 하고 있다. (예술 작품은 과학을 이용하여 더 멋지고 완성적인 작품으로서 승화될 것이고 과학은 그 찬란한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또 다른 맛을 지닌 어떤 예술작품을 이루어 낼 것이다.-이것을 상호작용으로 예술과 과학의 상호작용으로 보았다.) 그래서 나는 과학도 예술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정보화사회이다. 이렇게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예술에도 많은 변화가 왔다. 과학은 단지 편리를 위한 과학이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과학은 우리의 삶을 좀더 풍요롭고 편리하게 만들었고 그와 더불어 예술로서도 그 역할을 하였다. 위에서의 많은 예들을 보면서 과학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과학이라는 정의에서 보듯 과학은 매우 객관적이고, 이성적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는 분명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었다. 예술정신과 세계 수업 시간에 미적이라는 것에 대해 많이 배웠다. 미적이라는 것은 보는 이로 하여금 기쁨을 주게 되는 것을 말한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즐겁게 하는 것을 바로 지각하는 것’, 이것을 ‘아름다움’ 이라고 불렀다. 우리가 보면서 기쁨을 느끼게 되면 충분히 미적으로 가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과학을 보면서 그 속에서 아름다움과 기쁨을 느낌다면 충분히 미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예술이라고 봐도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예술은 과학과 매우 상호적인 관계, 즉 떼어놓고 볼 수 없는 관계이다. 과학 속에서 예술을 찾을 수 있었고, 서로 관련을 맺음으로써 더 극대화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여기서 글을 마치겠다.
참고사이트 : http://seis.scienceall.com/
목차
※머리말
※본문
(1)예술과 과학의 소통
(2)상호작용을 위한 컴퓨터 미술
<과학과 상호작용 하는 예술의 예>
◎ 상호작용을 위한 광학
◎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카메라
◎ 상호작용 하는 책
◎ 통신을 사용한 상호작용
◎ 멀티 미디어
◎ 버추얼 리얼리티와 상호작용 퍼포먼스
(3)프랙탈 기하학
(4) 태크놀로지 예술
-현대 테크놀로지 예술(1970~현재)-
※ 맺음말
참고사이트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5.1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