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 박은식의 사학사적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암 박은식의 사학사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Ⅰ. 머리말
Ⅱ. 시대적 배경과 생애
1. 시대적 배경
2. 생애
Ⅲ. 박은식의 역사인식과 사학사적 의의
1. 박은식의 역사인식
1)『한국통사』 저 술
2)『한국독립운동지혈사』저술
2. 백암 박은식의 사학사적 의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 동시에 박은식 역사학의 시민과학성의 일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셋째, 역사적 사실의 서술이 확고한 자료에 의거하고 있다. 정확한 사실의 파악에 기초하여 실증적, 귀납적으로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넷째, 객관적 역사서술을 관철하고 있다. 이 점은 특히 『통사』에서 더 현저히 강조되고 있다. 그는 먼저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다음 그 뒤에 「논(論)」을 첨가하거나 그것이 불충분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특히 「안(按)」을 붙이여, 객관적 서술과 역사적 평가를 구분하려고 애썼다.
다섯째, 통계표를 작성해 가면서 자료를 원용하고 있다. 이 점은『혈사』에 서 더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혈사』에서는 ①지방별(地方別) 3 · 1운동 통계, ②전국의 3 · 1운동 총표 ③서북간도 각지에서의 반일민족운동 통계의 세 개의 통계표가 작성되어 수록되고 있는데, 이들은 오늘날에도 활용되는 다른 곳에서는 잘 구할 수 없는 통계들이다.
여섯째, 근대적 비판정신이 관철되고 있다. 모든 운동과 사건에 대한 비판의 기준은 삼강오륜(三綱五倫)의 명분(名分)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독립운동을 실패케 한 객관적인 원인이나 행동에 주어지고 있다.
위에서 살펴 본『통사』와 『혈사』의 서술체계 및 특징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근대사학은 그가 주도하여 확립하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캄캄한 암흑의 시대에 역사분야에서는 오직 그의 사학만이 억눌려 신음하는 한국민족들에게 가장 열정적으로 독립의 의지와 확신을 불어 넣어 주었다.
오늘날의 발전된 근대사학에 있어서도 백암의『통사』와 『혈사』는 우리들이 언제나 열어보고 물어보아야 하는 불후의 고전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Ⅳ. 맺음말
박은식은 학자, 언론인, 교육자, 저술가이면서 나라가 망한 후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학도 하지만 그가 남긴 글을 가지고 말한다면 역사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한말 애국계몽기에 역사관계 논설과 위인전을 썼지만 나라가 일제에게 넘어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잃어버린 역사를 복원하고자 노력하였다.
백암의 업적은 무엇보다도 『통사』와 『혈사』등 의 저술을 남기며 민족 주의사학을 확립한데 있으며, 국혼유지의 사학 등이 그 핵심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박은식의 민족주의 사관은 일제치하에 있던 상황 속에서 민족주의라는 새로운 인식체계로서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일깨워 주었고 새로운 역사인식을 통해서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을 했다. 비록 일관된 민족주의로 인해 역사의 객관성을 잃어 버렸다할지라도 그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결코 잘못된 역사인식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박은식의 역사인식과 역사관은 암울한 일제치하 속에서 우리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려는 노력을 볼 때 역사인식을 통해 독립의 정당성을 찾으려는 노력이라 볼 수 있고 또한 사대주의와 식민사관에 젖었던 그 당시 역사 인식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고 민족에 중요성과 자긍심을 심어 주었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겠다 하겠다.
《참고문헌》
조동걸 외 2人,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하)』, 창작과비평사, 1994.
백암박은식선생전집편찬위워회,『백암박은식선생전집』, 동방미디어, 2002.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한국통사』, 국학자료원, 1998.
배용일,『박은식과 신채호 사상의 비교연구』, 경인문화사, 2002.
이범직,『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2000.
《참고논문》
최덕수,「박은식의 민족교육사상연구」,『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63: 開化(9), 2001.
이민우,「박은식의 구국사상에에입각한 교육관」,『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61: 開化(7), 2001.
남궁용권,「朴殷植의 애국계몽사상연구」,『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6: 啓蒙(1), 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12.1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