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歌辭의 槪念과 名稱
(1) 가사의 개념
(2) 歌辭의 名稱
2. 歌辭의 起源
1) 경기체가 및 고려장가 발생설
2) 악장체 발생설
(3) 한시문학의 바탕
(4) 향가 및 시조발생설
5) 교술민요 발생설
3. 歌辭의 內容
(1) 강호가사
(2) 유배가사
(3) 기행가사
(4) 전쟁가사
(5) 도덕가사
(6) 송양가사
(7) 상사가사
(8) 천주교가사
(9) 실용가사
4. 歌辭의 形式
5. 歌辭의 作家
6. 歌辭의 시기별 고찰
(1) 第1期 (發生期) : 高麗末 ~ 1481 (成宗祖:丁克仁死)
(2) 第2期 (發展期) : 1482 ~ 1591 (宣祖24年 壬亂以前)
(1) 가사의 개념
(2) 歌辭의 名稱
2. 歌辭의 起源
1) 경기체가 및 고려장가 발생설
2) 악장체 발생설
(3) 한시문학의 바탕
(4) 향가 및 시조발생설
5) 교술민요 발생설
3. 歌辭의 內容
(1) 강호가사
(2) 유배가사
(3) 기행가사
(4) 전쟁가사
(5) 도덕가사
(6) 송양가사
(7) 상사가사
(8) 천주교가사
(9) 실용가사
4. 歌辭의 形式
5. 歌辭의 作家
6. 歌辭의 시기별 고찰
(1) 第1期 (發生期) : 高麗末 ~ 1481 (成宗祖:丁克仁死)
(2) 第2期 (發展期) : 1482 ~ 1591 (宣祖24年 壬亂以前)
본문내용
한 문제와 최초의 작품이 어떤 것이냐는 효시작에 관한 문제이다. 歌辭의 起源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시가 형태의 결정적 영향만이 아닌 오랜 세월 우리 시가의 여러 시형들의 영향으로 형성된 종합적인 성격의 시가 장르라고 할 수 있다.
歌辭의 嚆矢作에 대하여는 조선조 초기 정극인(丁克仁, 1401~1481)의 『賞春曲』으로부터 시작하였다는 설이 있고, 한편으로는 고려말의 명승 나옹화상(懶翁和尙, 1320~1376)의 『西往歌』에서 비롯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런데 오늘날 전하는 위의 두 작품은 똑같이 그 제작 연대보다는 훨씬 후대에 문자상에 정착되었기 때문에 작품을 통해서는 그 전후를 가리기 어려우나, 대체로 가사의 형태가 중국 문학의 사(辭)나 사(詞), 또는 부(賦)에 국어의 조사나 활용형을 첨가하는 이른바 현토(懸吐)를 하며는 '가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려 말기에도 이런 형태가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조선왕조에 들어와서는 많은 불승(佛僧)들이 다투어 이 歌辭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나옹화상의 『西往歌』발생설을 근거없는 억측으로 돌리는 것을 속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時調文學이 유학도들의 전유물인 것에 반하여 승려가 지었다고 전하는 시조가 단 한수도 전하지 않고 있으나, 歌辭의 경우 수많은 작품들이 불승들에 의해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歌辭의 경우 불전(佛典)의 부록으로 출간되어 널리 전파된 것은 가사가 불교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西往歌』발생설은 오히려 『賞春曲』발생설보다 더 가능성이 짙어 보인다.
歌辭의 發生은 어느때부터인지 그 時代를 확정키는 힘드나 지금까지의 통설은 이조 성종조인 丁克仁의 『賞春曲』으로 그 효시를 삼고, 따라서 歌辭의 발생도 이 『賞春曲』卽前으로 추측하여 왔던 것이다. 즉 賞春曲은 가사작품으로서 너무나 완성되어 있으므로 가사는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2) 第2期 (發展期) : 1482 ~ 1591 (宣祖24年 壬亂以前)
이 시기는 丁克仁 死後에서 壬亂以前까지의 시기로 歌詞가 文學史에 등장하여 본격적으로 創作되고 향유된 歌詞의 發前期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나타난 작품들의 素材와 主材는 전기의 主題였던 田園生活을 노래한 江湖歌詞가 계속 활발히 지어졌으며 시대가 안정되고 전기와 다른 생활이 변동이 없었기 때문에 전기 주제가 계속 창작되었다.
歌辭의 嚆矢作에 대하여는 조선조 초기 정극인(丁克仁, 1401~1481)의 『賞春曲』으로부터 시작하였다는 설이 있고, 한편으로는 고려말의 명승 나옹화상(懶翁和尙, 1320~1376)의 『西往歌』에서 비롯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런데 오늘날 전하는 위의 두 작품은 똑같이 그 제작 연대보다는 훨씬 후대에 문자상에 정착되었기 때문에 작품을 통해서는 그 전후를 가리기 어려우나, 대체로 가사의 형태가 중국 문학의 사(辭)나 사(詞), 또는 부(賦)에 국어의 조사나 활용형을 첨가하는 이른바 현토(懸吐)를 하며는 '가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고려 말기에도 이런 형태가 성립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조선왕조에 들어와서는 많은 불승(佛僧)들이 다투어 이 歌辭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나옹화상의 『西往歌』발생설을 근거없는 억측으로 돌리는 것을 속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時調文學이 유학도들의 전유물인 것에 반하여 승려가 지었다고 전하는 시조가 단 한수도 전하지 않고 있으나, 歌辭의 경우 수많은 작품들이 불승들에 의해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歌辭의 경우 불전(佛典)의 부록으로 출간되어 널리 전파된 것은 가사가 불교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西往歌』발생설은 오히려 『賞春曲』발생설보다 더 가능성이 짙어 보인다.
歌辭의 發生은 어느때부터인지 그 時代를 확정키는 힘드나 지금까지의 통설은 이조 성종조인 丁克仁의 『賞春曲』으로 그 효시를 삼고, 따라서 歌辭의 발생도 이 『賞春曲』卽前으로 추측하여 왔던 것이다. 즉 賞春曲은 가사작품으로서 너무나 완성되어 있으므로 가사는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2) 第2期 (發展期) : 1482 ~ 1591 (宣祖24年 壬亂以前)
이 시기는 丁克仁 死後에서 壬亂以前까지의 시기로 歌詞가 文學史에 등장하여 본격적으로 創作되고 향유된 歌詞의 發前期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나타난 작품들의 素材와 主材는 전기의 主題였던 田園生活을 노래한 江湖歌詞가 계속 활발히 지어졌으며 시대가 안정되고 전기와 다른 생활이 변동이 없었기 때문에 전기 주제가 계속 창작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재즈의 이해(역사, 유래, 특성, 음악선정법, 이해)
[A+]특별집단별 여성복지문제의 특성과 대책방안
여성복지의 대상이 되는 여성문제의 유형 및 특성
시조 연구 - 시조의 역사와 형식, 구조와 특성연구
<유아교육기관운영A-완벽정리>영,유아보육 및 교육기관의 지도자의 자질 및 특성을 논하시오
[현대시론]서정시의 전통과 사회변혁의 특성
[노인 여가생활 활성화 방안] 노인 여가 생활의 특성 및 의의와 필요성 이해, 노인 여가활동 ...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개념과 특성,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유형,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형제자매를 보는 관점) 가족관계와 형제자매관계, 형제자매의 순위관계 특성 및 기능
실업계고등학교의 유형, 실업계고등학교의 목적, 실업계고등학교의 교육과정운영, 실업계고등...
[중세음악][중세 이탈리아 작곡가 팔레스트리나]중세음악의 특성, 중세음악의 형태, 중세음악...
[가족생활교육] 현대사회의 건강한 가족 특성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건강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