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계관
2. 심성론
3. 윤리관
4. 수양론
5. 교육론
2. 심성론
3. 윤리관
4. 수양론
5. 교육론
본문내용
문화적 전통에 처음 입문하게 되는 단계로써 윤리적 행위 규범의 실천을 위한 교육을 통하여 개인의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는 것
② 교육 대상: 8세부터 15∼17 세까지의 유소년들( 일반 백성들도 포함됨)
(2) 교육 과정 및 교재
① 교육 과정: 일상생활의 실천적 행위를 위한 현실적 도덕 규범
② 교재: 『소학』
(3) 교수 방법 및 교사의 역할
① 교수 방법
ⅰ) 실천 위주의 교육
-소학 단계의 교육 내용들은 실천을 통해서 진리가 확인되는 것들이다.
ⅱ) 모범을 통한 교육
-소학 은 아동들이 전인들의 교훈적인 말과 모범적인 행동으로부터 자극과 격려를 받도록 했던 것
② 교사의 역할: 소학 단계에서의 교사는 전통의 안내자이고 실천가이며 모범자
-> 이것을 위해 교사는 교육에 필요한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게 됨(교사가 학습을 강제하기 위해 아동에게 매를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
=> 안내자이고 모범자로서 소학단계에서의 교사는 그야말로 전통과 규범을 대표하는 권위의 상징이었음
2) 대학 단계에서의 덕성함양
(1) 교육의 목표와 대상
① 교육의 목표: 도덕 규범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窮理)하는 교육을 주로 하여 인륜의 궁극적 원리, 즉 전덕(全德)인 인을 터득케 하는 것을 목표로 함
② 교육 대상: 소학 교육의 단계를 마친 15∼17세의 사람들
(2) 교육 과정 및 교재
① 교육 과정: 도덕 규범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窮理)하여 인륜의 궁극적 원리, 즉 전덕(인)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로 구성됨
② 교재: 『근사록』 『대학』
(3) 교수 방법 및 교사의 역할
① 교수 방법
ⅰ) 사물의 이(理)를 궁구하는 방법적 원리와 절차: 사물에 대한 격물(格物)과 학(學)·문(問)·사(思)·변(辨)
-> 이(理)를 궁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치지(致志)에 이르는 데 있음
ⅱ) 치지에 이르러 인을 터득하게 되는 데는 많은 사물의 理를 궁구하는 과정 중에 '활연관통('豁然貫通)'하는 하는 시점이 있어야만 가능함
-활연관통: 전적으로 理를 궁구하는 개인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
도의 터득에 대한 스스로의 얻음 즉 자득(自得)을 강조
② 교사의 역할
-활연관통과 인의 터득이 궁극적으로 자득에 의할 수 밖에 없으므로 간접적인 역할을 함
-이(理)의 궁구를 촉구하고 여러 가지 방법과 자료를 제공하는 정도
-> 수업의 동료이고 보조자
* 참고 도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조현규 저, 새문사
유교 도덕교육론, 강봉수 저, 원미사
② 교육 대상: 8세부터 15∼17 세까지의 유소년들( 일반 백성들도 포함됨)
(2) 교육 과정 및 교재
① 교육 과정: 일상생활의 실천적 행위를 위한 현실적 도덕 규범
② 교재: 『소학』
(3) 교수 방법 및 교사의 역할
① 교수 방법
ⅰ) 실천 위주의 교육
-소학 단계의 교육 내용들은 실천을 통해서 진리가 확인되는 것들이다.
ⅱ) 모범을 통한 교육
-소학 은 아동들이 전인들의 교훈적인 말과 모범적인 행동으로부터 자극과 격려를 받도록 했던 것
② 교사의 역할: 소학 단계에서의 교사는 전통의 안내자이고 실천가이며 모범자
-> 이것을 위해 교사는 교육에 필요한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게 됨(교사가 학습을 강제하기 위해 아동에게 매를 사용하는 것도 이 때문)
=> 안내자이고 모범자로서 소학단계에서의 교사는 그야말로 전통과 규범을 대표하는 권위의 상징이었음
2) 대학 단계에서의 덕성함양
(1) 교육의 목표와 대상
① 교육의 목표: 도덕 규범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窮理)하는 교육을 주로 하여 인륜의 궁극적 원리, 즉 전덕(全德)인 인을 터득케 하는 것을 목표로 함
② 교육 대상: 소학 교육의 단계를 마친 15∼17세의 사람들
(2) 교육 과정 및 교재
① 교육 과정: 도덕 규범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窮理)하여 인륜의 궁극적 원리, 즉 전덕(인)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로 구성됨
② 교재: 『근사록』 『대학』
(3) 교수 방법 및 교사의 역할
① 교수 방법
ⅰ) 사물의 이(理)를 궁구하는 방법적 원리와 절차: 사물에 대한 격물(格物)과 학(學)·문(問)·사(思)·변(辨)
-> 이(理)를 궁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치지(致志)에 이르는 데 있음
ⅱ) 치지에 이르러 인을 터득하게 되는 데는 많은 사물의 理를 궁구하는 과정 중에 '활연관통('豁然貫通)'하는 하는 시점이 있어야만 가능함
-활연관통: 전적으로 理를 궁구하는 개인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
도의 터득에 대한 스스로의 얻음 즉 자득(自得)을 강조
② 교사의 역할
-활연관통과 인의 터득이 궁극적으로 자득에 의할 수 밖에 없으므로 간접적인 역할을 함
-이(理)의 궁구를 촉구하고 여러 가지 방법과 자료를 제공하는 정도
-> 수업의 동료이고 보조자
* 참고 도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조현규 저, 새문사
유교 도덕교육론, 강봉수 저, 원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