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카고파
2. 시카고파와 루이스 설리반
3. Leiter 빌딩
4. Reliance 빌딩
5. 설리반의 다른 건물
6. 아들러와 설리반(Adler & Sullivan)
7. 개런티 건물(Guarauty Buillding)의 건축적 형태
8. 개런티 건물의 건축적 의미
9. 카슨 파이리 스코트백화점
2. 시카고파와 루이스 설리반
3. Leiter 빌딩
4. Reliance 빌딩
5. 설리반의 다른 건물
6. 아들러와 설리반(Adler & Sullivan)
7. 개런티 건물(Guarauty Buillding)의 건축적 형태
8. 개런티 건물의 건축적 의미
9. 카슨 파이리 스코트백화점
본문내용
물질적인 상태로만 남아 있을 수가 없다. 인간은 삶의 불가해한 부분(정신)에 대해서도 지고한 열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번째의 정신적인 것을 표현하고자한 이 고층 건물은 다른 세계에 대한 인간의 도달을 상징화 하였던 중세 교회의 탐을 대신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이 건물은 인간적인 가치에 기초한 확신과 안정에의 열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나의 예술적인 업적으로서 이 건물은 과거의 창조적인 힘들을 모두 흡수하고 있으며, 동시에 미래에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카슨 파이리 스코트백화점(Carson Pirie Scott & Company) 시카고, 미국,1899~1904
이 건물은 스테이트 앤 메디슨(State and madison)가라는 '세계에서 가장 번화한 모서리'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에서 설리반은 가로 혹은 광장을 한정시킴으로써 상호 보완적으로 도시공간을 결속시켜주는 사무소 건물의 유형을 창조하였다. 개런티 건물이 띠고 있었던 모습의 이미지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포기되었다. 이 건물의 표면은 모서리 부분 이외에는 수평적인 연속성을 지니도록 처리되었다. 모서리 부분은 수직성이 강조되어 있는데 이것은 건축주의 강한 요구 때문에 채택된 것이다.
기둥과 스팬드럴은 동일한 면에 위치해 있으며 수평적인 '시카고 창'이 아주 정확하게 끼워져 있다. 이 창은 얇은 금속 프레임으로 되어 있어서 외관을 명확하게 분절하고 있다 아래층은 가볍고 산만한 장식으로 인해 이 부분의 구조적 지지감은 모두 사라지고 없다. 따라서 상부층은 지면에서 분리되어 떠 있는 듯 하며, 라로를 따라 수평움직임의 속도가 가속되고 있다.
이 건물이 1900년을 전후해서 완공되었을 때 시카고 건축가들은 상업적 고전주의로 되돌아 갔으며, 이후 30년 동안 뉴욕의 아카데믹한 건축 실무자들이 군림하게 되었다. 그러나 루이스 설리반은 다음 세대의 건축가들에게 자신의 발자취를 남겼는데. 이것은 특히 그의 제자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에게 계승되었다.
기디온은 이 건물을 1923년 발터 그러피우스가 설계한 시카고 트리뷴 타워(Chicago Tribune Tower)의 현상공모안과 비교하고 있다. "이 두 사람이 각자 비슷한 해결책에 도달하였다는 것, 즉 방법에 있어서의 일치는 시카고 학파가 이 시대의 정시에 깊이 스며들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기디온은 이와 같은 건축 표혀방식이 보로미니의 파상벽(undulating wall)만큼이나 영향력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시카고 학파의 영향은 절충주의의 유입으로 단절되었다. 루이스 설리반은 다음세대에서 자신의 업적을 남기었다. 그리고 20세기의 10년동안은 시카고 학파의 전통이 몇몇 젊은 회원에 의하여 살아나갔다. 그들의 몇몇 빌딩은 유럽의 떠오르는 세대에 보여주려고 하였으나 자국에서도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문자상의 건축교육이 이루어져 젊은 사람들에게 시카고학파의 원칙은 단절되고 말았고 그들의 개성또한 파괴되고 말았다. 고립속에 남아있던 몇몇 회원들은 점점 쇠퇴하게 되었고 그들의 대부분은 그들의 전성기에 보여주었던 힘을 잃었다.
1922년 시카고 TRIBUNE빌딩 설계경기에서 미국건축가 Raymond Hood가 수상했다. 그러나 그 당시까지 자신의 힘에 확신을 가지고 참고 견디어온 시카고학파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학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그 원칙또한 Woolworth Gothic의 유행으로 밀려버렸다. 설계경기에 참가했던 외국인 Gropius의 안은 현대적이지 않고 오래된 경향의 안이라고 생각되어졌다. 그러나 그것은 의심할바 없이 실행되고 있는 고딕보다는 시카고학파의 정신에 가까웠다. Gropius의 1922년 안과 설리반의 Carson, Pirie, Scott store를 비교해 보면 건축적인 표현으로 해결할 수 없는 뼈대구조의 그물망모양, 확연히 분절된 면, 중간의 고정된 패널과 옆면의 좁은 통기창에 의한 시카고창이 거의유사하다. 어떻게 보면 시카고 학파로부터 나온 계획안 같지만 시카고 창이나 시카고 고층빌딩은 당시 유럽에 알려지지 않았다.
두사람이 독립적으로 같은 결론에 도달한 것은 시카고 학파는 시대정신(시대정신)이 스며든것이다라고 하는 것이 가장 잘 표현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시카고 학파가 새로운 방법을 완벽히 얻은 매순간 그것의 발전과 영향은 1893년 Chicago Worls's Fair에 의하여 보급되었고 발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다른 곳에 영향을 주는데는 오랜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두 번째의 정신적인 것을 표현하고자한 이 고층 건물은 다른 세계에 대한 인간의 도달을 상징화 하였던 중세 교회의 탐을 대신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이 건물은 인간적인 가치에 기초한 확신과 안정에의 열망을 나타내기도 한다. 하나의 예술적인 업적으로서 이 건물은 과거의 창조적인 힘들을 모두 흡수하고 있으며, 동시에 미래에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카슨 파이리 스코트백화점(Carson Pirie Scott & Company) 시카고, 미국,1899~1904
이 건물은 스테이트 앤 메디슨(State and madison)가라는 '세계에서 가장 번화한 모서리'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에서 설리반은 가로 혹은 광장을 한정시킴으로써 상호 보완적으로 도시공간을 결속시켜주는 사무소 건물의 유형을 창조하였다. 개런티 건물이 띠고 있었던 모습의 이미지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포기되었다. 이 건물의 표면은 모서리 부분 이외에는 수평적인 연속성을 지니도록 처리되었다. 모서리 부분은 수직성이 강조되어 있는데 이것은 건축주의 강한 요구 때문에 채택된 것이다.
기둥과 스팬드럴은 동일한 면에 위치해 있으며 수평적인 '시카고 창'이 아주 정확하게 끼워져 있다. 이 창은 얇은 금속 프레임으로 되어 있어서 외관을 명확하게 분절하고 있다 아래층은 가볍고 산만한 장식으로 인해 이 부분의 구조적 지지감은 모두 사라지고 없다. 따라서 상부층은 지면에서 분리되어 떠 있는 듯 하며, 라로를 따라 수평움직임의 속도가 가속되고 있다.
이 건물이 1900년을 전후해서 완공되었을 때 시카고 건축가들은 상업적 고전주의로 되돌아 갔으며, 이후 30년 동안 뉴욕의 아카데믹한 건축 실무자들이 군림하게 되었다. 그러나 루이스 설리반은 다음 세대의 건축가들에게 자신의 발자취를 남겼는데. 이것은 특히 그의 제자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에게 계승되었다.
기디온은 이 건물을 1923년 발터 그러피우스가 설계한 시카고 트리뷴 타워(Chicago Tribune Tower)의 현상공모안과 비교하고 있다. "이 두 사람이 각자 비슷한 해결책에 도달하였다는 것, 즉 방법에 있어서의 일치는 시카고 학파가 이 시대의 정시에 깊이 스며들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기디온은 이와 같은 건축 표혀방식이 보로미니의 파상벽(undulating wall)만큼이나 영향력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시카고 학파의 영향은 절충주의의 유입으로 단절되었다. 루이스 설리반은 다음세대에서 자신의 업적을 남기었다. 그리고 20세기의 10년동안은 시카고 학파의 전통이 몇몇 젊은 회원에 의하여 살아나갔다. 그들의 몇몇 빌딩은 유럽의 떠오르는 세대에 보여주려고 하였으나 자국에서도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문자상의 건축교육이 이루어져 젊은 사람들에게 시카고학파의 원칙은 단절되고 말았고 그들의 개성또한 파괴되고 말았다. 고립속에 남아있던 몇몇 회원들은 점점 쇠퇴하게 되었고 그들의 대부분은 그들의 전성기에 보여주었던 힘을 잃었다.
1922년 시카고 TRIBUNE빌딩 설계경기에서 미국건축가 Raymond Hood가 수상했다. 그러나 그 당시까지 자신의 힘에 확신을 가지고 참고 견디어온 시카고학파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학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그 원칙또한 Woolworth Gothic의 유행으로 밀려버렸다. 설계경기에 참가했던 외국인 Gropius의 안은 현대적이지 않고 오래된 경향의 안이라고 생각되어졌다. 그러나 그것은 의심할바 없이 실행되고 있는 고딕보다는 시카고학파의 정신에 가까웠다. Gropius의 1922년 안과 설리반의 Carson, Pirie, Scott store를 비교해 보면 건축적인 표현으로 해결할 수 없는 뼈대구조의 그물망모양, 확연히 분절된 면, 중간의 고정된 패널과 옆면의 좁은 통기창에 의한 시카고창이 거의유사하다. 어떻게 보면 시카고 학파로부터 나온 계획안 같지만 시카고 창이나 시카고 고층빌딩은 당시 유럽에 알려지지 않았다.
두사람이 독립적으로 같은 결론에 도달한 것은 시카고 학파는 시대정신(시대정신)이 스며든것이다라고 하는 것이 가장 잘 표현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시카고 학파가 새로운 방법을 완벽히 얻은 매순간 그것의 발전과 영향은 1893년 Chicago Worls's Fair에 의하여 보급되었고 발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다른 곳에 영향을 주는데는 오랜시간이 걸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