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의 질
(1) 의료의 질에 관한 정의
(2) 의료의 질에 대한 필요성 대두
(3) 의료의 질 평가에 대한 질적 기본 틀
(4)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변화와 그에 따른 의료의 질 관리 체계 변화
(1) 의료의 질에 관한 정의
(2) 의료의 질에 대한 필요성 대두
(3) 의료의 질 평가에 대한 질적 기본 틀
(4)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변화와 그에 따른 의료의 질 관리 체계 변화
본문내용
단순히 병원의 필요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지역주민 의 건강관리나 질병예방을 위한 일이므로 지역사회의 복지에 기여하는 일인 것이다.
5) 자원봉사자의 적극적인 활용
자원봉사자의 개발과 활용은 지역사회의 유휴인력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그들 의 능력을 활용토록 함으로써 봉사자 자신에게는 사회봉사 활동을 통하여 자 기를 실현할 기회를 갖고 보람을 느끼게 하며, 병원측으로도 인건비의 절약과 신뢰도 증진에 도움이 되고 환자에게는 편리의 도모와 병원에 대한 이미지 개 선의 기회가 된다. 예를 들면 환자의 보호자가 일이 생겨 병실을 비워야 할 일이 생길 때 대신 환자를 돌봐 주는 일, 환자를 문병 온 아동을 동반한 환자 의 가족이나 방문객들을 위한 아동보호실의 운영 등이 있겠다. 또한 안내나 진료신청서 대필 등의 업무도 자원봉사활동의 주요부분으로 환자와 병원을 연 결하는 완충역할을 해 주고 있는 것이다.
6) 변화에의 적응을 위한 노력
국가통제의 의료보장 확대, 병의원의 난립과 의사의 과잉배출 등은 의료공급 자로 하여금 수요자의 요구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게 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 와 그 지역주민들의 병원에 대한 욕구와 이용도, 만족도 등을 정기, 부정기적 으로 조사하여 변화의 추이와 그에 따른 대안을 계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또한 전직원의 재교육과 개발을 위한 적절한 동기부여, 이익의 배분, 경영참 여 등을 통하여 주인의식을 갖고 전력투구함으로써 그 가운데서 자기를 실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사례발표>
우리나라 치과환자들은 자신들이 받은 치과진료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 아니 우리 치과의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나라 치과환자들은 어떤 관점에서 자신이 제공받은 치과진료의 질에 대해 평가하고 있을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자신들이 제공받은 치과진료에 대해 만족한 사람만이 다시 그 치과를 찾기 마련이다.
이에 건치는 1998년 환자들의 치과 의료기관 선호도를 조사한데 이어, 1999년 전국에 걸친 105개소의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과학적, 객관적인 환자 만족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네크워크를 통한 환자 만족도 조사의 실시와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실시한 전국적 규모의 치과 환자 만족도 조사 사업이다.
3회에 걸친 설문 조사에는 모두 51 개소의 치과 의료기관이 참여하였으며, 1017명의 환자들이 응답하였고, 의료 기관의 유형과 자료 수집 방법에 따라 5 개의 표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여러 가지 연구 주제 가운데 환자의 만족도에 따른 치과의료 이용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번 조사에서 주로 관심을 가졌던 연구과제 중 하나는 우리나라의 치과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어떤 관점에서 제공받은 치과의료의 질을 평가하는가 하는 점이었다. 반복적인 요인 분석 결과 환자들이 치과 의료에 대해 평가하는 여러 기준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환자들은 치과직원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치과의사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시설과 장비의 유형성, 치료비용, 치과의사와 직원의 환자 존중 등의 차원으로 치과의료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외국의 치과 환자 만족도 연구와 일반의과의 환자 만족도 연구 결과와 다른 특징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1970 년대 이후 최근까지의 치과 환자 만족도 연구에서는 임상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또는 의사 소통의 측면이 상이한 차원으로 추출되고 있다. 의료진의 전문성, 그리고 진료 팀과 환자와의 관계를 서로 다른 차원으로 보면서 평가하는 하는 것이 이론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환자들은 이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또한 치과의사와 직원들을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환자에 대한 인격적 존중을 독립된 평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중 개원의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는 과연 환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 관점의 치과의료에 대한 질 평가, 환자 만족도, 환자의 순응도, 환자의 행동 의도의 인과 관계를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이라는 통계 기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제공받은 치과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평가는 환자의 태도, 즉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치과의료의 질에 대한 평가의 여러 차원 가운데 '치과의사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그리고 '치료비용'이 환자들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환자의 만족도는 환자의 순응도와 행동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태도’로서의 환자 만족도가 환자의 의료 이용 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환자의 만족도가 높으면 순응도가 높아진다. 순응도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권유, 주의사항, 구강보건교육, 진료 약속 등에 대한 준수를 뜻한다. 또한 환자의 행동 의도는 재방문 의사와 권유 의사로 측정하였는데,.당연한 결과이지만 통계적으로 확인된 사실은 만족도가 높을수록 계속 다니던 치과를 이용하고, 주위에 권유하고 있다.
==========================================================================
◈출처◈
·양질의 의료관리. 유승흠. 수문사
·병원마케팅. 박창식. 펴냄 홍.
·병원서비스가 달라지고 있다! 병원+서비스. 원융회. 대학서림
·의료시스템의 장래와 마케팅 전략. 최외경. 한도문화사
·의료총론. 양재모. 수문사
·http://www.mktclub.com/MKT%20Special/MKT%20Special%201/mktspecial1-2.htm
·http://www.fromdoctor.com. 디지털 청년의사- weekly
·http://dentistrymag.co.kr/den0301/ma17.html
·http://www.moonhwa.or.kr 문화병원
·http://www.hallym.or.kr/~kdcp/kangdong/kd-QAcommittee.htm
-강동성심병원 의료질향상위원회
·http://khmc.or.kr/informed/news/news_0004_07.htm
5) 자원봉사자의 적극적인 활용
자원봉사자의 개발과 활용은 지역사회의 유휴인력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그들 의 능력을 활용토록 함으로써 봉사자 자신에게는 사회봉사 활동을 통하여 자 기를 실현할 기회를 갖고 보람을 느끼게 하며, 병원측으로도 인건비의 절약과 신뢰도 증진에 도움이 되고 환자에게는 편리의 도모와 병원에 대한 이미지 개 선의 기회가 된다. 예를 들면 환자의 보호자가 일이 생겨 병실을 비워야 할 일이 생길 때 대신 환자를 돌봐 주는 일, 환자를 문병 온 아동을 동반한 환자 의 가족이나 방문객들을 위한 아동보호실의 운영 등이 있겠다. 또한 안내나 진료신청서 대필 등의 업무도 자원봉사활동의 주요부분으로 환자와 병원을 연 결하는 완충역할을 해 주고 있는 것이다.
6) 변화에의 적응을 위한 노력
국가통제의 의료보장 확대, 병의원의 난립과 의사의 과잉배출 등은 의료공급 자로 하여금 수요자의 요구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게 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 와 그 지역주민들의 병원에 대한 욕구와 이용도, 만족도 등을 정기, 부정기적 으로 조사하여 변화의 추이와 그에 따른 대안을 계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또한 전직원의 재교육과 개발을 위한 적절한 동기부여, 이익의 배분, 경영참 여 등을 통하여 주인의식을 갖고 전력투구함으로써 그 가운데서 자기를 실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사례발표>
우리나라 치과환자들은 자신들이 받은 치과진료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 아니 우리 치과의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나라 치과환자들은 어떤 관점에서 자신이 제공받은 치과진료의 질에 대해 평가하고 있을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자신들이 제공받은 치과진료에 대해 만족한 사람만이 다시 그 치과를 찾기 마련이다.
이에 건치는 1998년 환자들의 치과 의료기관 선호도를 조사한데 이어, 1999년 전국에 걸친 105개소의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과학적, 객관적인 환자 만족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네크워크를 통한 환자 만족도 조사의 실시와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실시한 전국적 규모의 치과 환자 만족도 조사 사업이다.
3회에 걸친 설문 조사에는 모두 51 개소의 치과 의료기관이 참여하였으며, 1017명의 환자들이 응답하였고, 의료 기관의 유형과 자료 수집 방법에 따라 5 개의 표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여러 가지 연구 주제 가운데 환자의 만족도에 따른 치과의료 이용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번 조사에서 주로 관심을 가졌던 연구과제 중 하나는 우리나라의 치과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어떤 관점에서 제공받은 치과의료의 질을 평가하는가 하는 점이었다. 반복적인 요인 분석 결과 환자들이 치과 의료에 대해 평가하는 여러 기준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환자들은 치과직원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치과의사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시설과 장비의 유형성, 치료비용, 치과의사와 직원의 환자 존중 등의 차원으로 치과의료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외국의 치과 환자 만족도 연구와 일반의과의 환자 만족도 연구 결과와 다른 특징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1970 년대 이후 최근까지의 치과 환자 만족도 연구에서는 임상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또는 의사 소통의 측면이 상이한 차원으로 추출되고 있다. 의료진의 전문성, 그리고 진료 팀과 환자와의 관계를 서로 다른 차원으로 보면서 평가하는 하는 것이 이론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환자들은 이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또한 치과의사와 직원들을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환자에 대한 인격적 존중을 독립된 평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중 개원의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는 과연 환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 관점의 치과의료에 대한 질 평가, 환자 만족도, 환자의 순응도, 환자의 행동 의도의 인과 관계를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이라는 통계 기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제공받은 치과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평가는 환자의 태도, 즉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치과의료의 질에 대한 평가의 여러 차원 가운데 '치과의사의 기술적 수준과 대인관계' 그리고 '치료비용'이 환자들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환자의 만족도는 환자의 순응도와 행동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태도’로서의 환자 만족도가 환자의 의료 이용 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환자의 만족도가 높으면 순응도가 높아진다. 순응도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권유, 주의사항, 구강보건교육, 진료 약속 등에 대한 준수를 뜻한다. 또한 환자의 행동 의도는 재방문 의사와 권유 의사로 측정하였는데,.당연한 결과이지만 통계적으로 확인된 사실은 만족도가 높을수록 계속 다니던 치과를 이용하고, 주위에 권유하고 있다.
==========================================================================
◈출처◈
·양질의 의료관리. 유승흠. 수문사
·병원마케팅. 박창식. 펴냄 홍.
·병원서비스가 달라지고 있다! 병원+서비스. 원융회. 대학서림
·의료시스템의 장래와 마케팅 전략. 최외경. 한도문화사
·의료총론. 양재모. 수문사
·http://www.mktclub.com/MKT%20Special/MKT%20Special%201/mktspecial1-2.htm
·http://www.fromdoctor.com. 디지털 청년의사- weekly
·http://dentistrymag.co.kr/den0301/ma17.html
·http://www.moonhwa.or.kr 문화병원
·http://www.hallym.or.kr/~kdcp/kangdong/kd-QAcommittee.htm
-강동성심병원 의료질향상위원회
·http://khmc.or.kr/informed/news/news_0004_07.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