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용어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의 용어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하수체

2. 시상하부

3. 두개골

4. 뇌척수액

5. 시상간교

6. 대뇌피질

7. 뇌량

8. 시상

9. 교

10. 중뇌수도

11. 뇌실

12. 소뇌

13. 척수

14. 연수

15. 대상변연계

본문내용

, 모양척수중추(毛樣脊髓中樞:동공산대), 호흡운동중추, 심장촉진중추, 유즙분비중추 등이 있다. 둘째 부교감신경계로서 항문중추, 방광중추, 발기(勃起)중추, 사정(射精)중추, 출산중추 등이 있다
연수
척수보다 팽대한 원통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뇌구(腦球)라고도 한다. 생명에 직접 관계되는 폐 ?심장 ?혈관 등의 운동을 지배하고 있다. 포유류의 경우 위쪽은 교(橋)와 소뇌에 계속되고, 조류 이하에서는 교가 없고 소뇌에만 계속된다. 복측면의 정중선에는 전정중열(前正中裂), 배측면의 정중선에는 후정중구(後正中溝)라고 하는 홈이 각각 달려 있다. 전정중열의 양쪽에는 안쪽에서부터 추체(錐體) 및 올리브라고 하는 부푼 곳이 있다. 배측면의 상반분(上半分)은 마름모꼴의 능형와(菱形窩)라고 하는 팬 곳의 하반분에 해당하고, 배측면의 하반분은 교의 배측면에 해당한다. 능형와의 위쪽은 지붕과 같이 소뇌가 덮고 있으며, 양자 사이의 공간이 제4뇌실이다. 배측면의 하반(下半)에서는 제4뇌실이 가느다란 터널 모양이 되어 그대로 척수의 중심관(中心管)에 계속되고 있다.
연수는 그 위쪽의 뇌수와 척수 사이를 잇는 위치에 있으므로 여러 가지 전도로(傳導路)가 이 곳을 지나고 있다. 추체의 내부는 대뇌피질에서 척수로 가는 수의운동(隨意運動)에 관계하는 피질척수로(皮質脊髓路:추체로)를 구성하는 신경섬유속이 지난다. 12쌍의 뇌신경 중 삼차(三叉) ?외전(外轉) ?안면(顔面) ?내이(內耳) ?설인(舌咽) ?미주(迷走) ?부(副) ?설하(舌下)의 8쌍의 신경이 이 곳에서 나가거나 그치고 있다. 또한, 연수에는 호흡중추 ?순환중추 ?순환조절중추 ?내장기능의 자율반사중추 ?연하중추 ?발음중추 ?발한중추 등이 있으며, 미주신경핵은 생명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자율반사에 관계하고, 설인신경핵은 연하운동에 관계한다. 그 밖에 소화기의 작용에 대해서는 침의 분비를 관장하는 중추를 비롯하여 구토중추가 있고, 눈물을 분비하는 반사중추도 있다. 연수는 길이 약 2.5 cm 되는 작은 부분이기는 하지만, 생체의 자동제어중추로서 생명의 유지에 직접 관여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대상변연계
이상엽(梨狀葉) ?해마회(海馬回) ?대상회(帶狀回) ?후안와회(後眼窩回) ?측두극(側頭極) ?편도핵(扁桃核) ?중격핵(中隔核) 등이 포함된다. 구피질과 고피질로 이루어지고 정동형성(情動形成)의 자리이며, 개체 및 종족유지에 필요한 본능적 욕구와 직접 관계가 있으므로 ?본능의 자리?라고도 한다. 뇌파의 패턴은 신피질과 매우 다르다. 시상하부와 밀접하게 연결이 되어서 시상하부가 받아들인 충동이 여기서 통합된다. 즉, 간뇌 시상하부의 기능을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를 자극하면 체성운동계 및 자율계에 넓은 범위로 영향을 미치고, 식욕 ?성욕 등의 욕구행동에 일련의 영향을 나타낸다. 해마회 ?편도핵의 부위는 신피질인 측두엽과 나란히 기억에 관계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뇌하수체
시상하부
두개골
뇌척수액
시상간교
대뇌피질
뇌량
시상

중뇌수도
뇌실
소뇌
척수
연수
대상변연계

키워드

,   뇌란,   뇌 용어 설명,   대뇌,   소뇌,   뇌용어,   뇌 용어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