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의 생애, 업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은 물론이고, 이를테면 중국의 고사인물이나 정형산수 작품에서도 우리의 멋은 마찬가지로 농익게 우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자면 저 유명한 <선동취적도> 같은 작품에서 그 옷주름 선이 굵고 가늘게 너울거리는 것은 바로 그 소년이 불고 있는 우리 옛가락의 능청거림을 그대로 시각화한 것이다. 이것은 그의 음악성이 작품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또 그의 작품에 넘나드는 독특한 시정이 있는 바, 이것은 그의 문학적 감수성이 그림에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김홍도 작품의 주된 특징의 하나로, 여타 어느 화가들보다도 특히 여백을 절묘하고 넉넉하게 구사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작가 자신의 여유롭고 느긋한 성품과 연관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자신의 시대를 사랑한 화가
김홍도는 명실공히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화가이며 한국미의 전형을 이룩한 국민의 화가다. 고 문일평 선생은 그를 일러 '그림 신선'이라고 지칭했다. 그것은 일차적으로는 그 예술의 드높고 아득한 깊이를 말한 것이지만, 나아가서 그의 생김생김이나 인품, 그리고 초탈한 생활의 모습이 신선 같았다는 조희룡의 전기에 근거한 것이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그가 국왕 정조를 지극히 가까이에서 모시는 벼슬아치였던 까닭으로 '신선 선(선)'자를 붙였던 것인데, 조선왕조에서는 서리(서리)조차 승문원에 근무하면 자랑스레 선리(선리)라 자처했다.
필자는 김홍도의 작품 속에서 시대에 대한 그의 사랑을 본다. 또한 그 자신의 반듯하고 훤칠한 생김생김과 호쾌하면서 일방 섬세한 성격, 그리고 시서화악에 걸친 폭넓은 교양을 보며, 또 그가 살았던 아름답고 평화로웠던 옛 세상 우리 조상들의 모습을 본다. 거기에는 또 그 자신과 스승 강세황의 여유롭고 해학적인 기질이 배어 있으며, 그의 절대적 후원자였던 뛰어난 철인군주 정조의 훌륭한 예술적 안목과 위민정치의 양상이 드러나 있다.
김홍도의 작품 전반에는 그가 살았던 세상의 태평한 기상이 스며 있으며, 자기 문화를 존중하던 시대의 자긍심이 깃들어 있다. 거기에는 시대와는 불화나 스스로를 어쩌지 못하는 자기 모순, 또는 내가 무엇인가 하는 정체성의 상실 같은 것은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 노년작에는 생애의 말년에 산산스런 세상의 추이에서 맛보았던 씁쓸함, 그리고 허심으로 귀의하게 된 종교적 예술혼의 깊이가 느껴진다. 이 모든 것은 김홍도의 예술적 삶인 동시에 그 시대를 함께 살았던 우리 조상들의 삶 그것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