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듈명
2. 학습목표.
3. 주요개념 및 개관
4. 준비물 :
5. 학생활동
6. 교사의 유의점
7. 참고사항
2. 학습목표.
3. 주요개념 및 개관
4. 준비물 :
5. 학생활동
6. 교사의 유의점
7. 참고사항
본문내용
큰 메스실린더무게와 크기가 각기 다른 추 초시계
물
ⅱ) 퇴적 배열상태 확인
큰 메스실린더 스탠드 1개 클램프 2개 모래
비커 3개
[ 방법 및 과정 ]
ⅰ) 퇴적 속도 비교
1. 준비된 메스실린더에 물을 따른다.
2. 추를 물에 떨어 뜨리며 속도를 측정한다.
3. 준비된 추의 종류를 바꿔가며 위와 같이 측정한다.
ⅱ) 퇴적 배열상태 확인
1. 큰 메스 실린더를 수직으로 세워 놓고 2/3가량 물을 채운다.
2. 크기가 다른 모래를 잘 섞고 200cm3씩 3개의 비커에 나눈다.
3. 이것을 차례로 플라스틱 통에 넣는다. 이 때 처음 넣은 모래가 완전히 가라 앉은 다음 모래
를 넣는다.
[ 탐구결과 정리]
1. 추의 종류와 무게에 따른 퇴적속도는 어떠한지 비교해 본다.
2. 가라 앉은 입자들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고 아래에서 위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그림으로 그려서 설명해 보자.
3. 대체로 점이 층리와 비슷한 입자의 배열 상태를 보이나 굵은 모래 사이에 가는 모래와
중간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왜그런지 토의 해보자.
[ 알아두기 ]
점이 층리:
어떤 지층에서 퇴적 입자의 크기가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점점 작아지는 층을
점이 층리라고 한다.
① 저탁암(터비다이트)에 잘 나타난다.
② 대륙 사면을 따라 흐르는 저탁류가 운반한 쇄설성 퇴적물이 대륙대에 쌓여서 만들어 진다.
저탁류에 운반되는 퇴적물은 심해 퇴적 환경인 대륙대에 쌓임으로서 퇴적구조가 크게
바뀐다.
6. 교사의 유의점
1. 플라스틱 통을 단단히 고정 시키도록 한다..
2. 플라스틱 통의 물이 넘쳐 실험실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한다..
물
ⅱ) 퇴적 배열상태 확인
큰 메스실린더 스탠드 1개 클램프 2개 모래
비커 3개
[ 방법 및 과정 ]
ⅰ) 퇴적 속도 비교
1. 준비된 메스실린더에 물을 따른다.
2. 추를 물에 떨어 뜨리며 속도를 측정한다.
3. 준비된 추의 종류를 바꿔가며 위와 같이 측정한다.
ⅱ) 퇴적 배열상태 확인
1. 큰 메스 실린더를 수직으로 세워 놓고 2/3가량 물을 채운다.
2. 크기가 다른 모래를 잘 섞고 200cm3씩 3개의 비커에 나눈다.
3. 이것을 차례로 플라스틱 통에 넣는다. 이 때 처음 넣은 모래가 완전히 가라 앉은 다음 모래
를 넣는다.
[ 탐구결과 정리]
1. 추의 종류와 무게에 따른 퇴적속도는 어떠한지 비교해 본다.
2. 가라 앉은 입자들의 배열 상태를 관찰하고 아래에서 위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그림으로 그려서 설명해 보자.
3. 대체로 점이 층리와 비슷한 입자의 배열 상태를 보이나 굵은 모래 사이에 가는 모래와
중간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왜그런지 토의 해보자.
[ 알아두기 ]
점이 층리:
어떤 지층에서 퇴적 입자의 크기가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점점 작아지는 층을
점이 층리라고 한다.
① 저탁암(터비다이트)에 잘 나타난다.
② 대륙 사면을 따라 흐르는 저탁류가 운반한 쇄설성 퇴적물이 대륙대에 쌓여서 만들어 진다.
저탁류에 운반되는 퇴적물은 심해 퇴적 환경인 대륙대에 쌓임으로서 퇴적구조가 크게
바뀐다.
6. 교사의 유의점
1. 플라스틱 통을 단단히 고정 시키도록 한다..
2. 플라스틱 통의 물이 넘쳐 실험실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