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2.1 자아 분열
2.2 인간의 잠재적 욕구
2.3 SEXUALITY
2.4 자아 정체성
결론
본론
2.1 자아 분열
2.2 인간의 잠재적 욕구
2.3 SEXUALITY
2.4 자아 정체성
결론
본문내용
체성을 찾은 것이다.
반면에 크레이그는 어떠한가? 크레이그가 영화에 처음 나올 때 지극히 평범하고 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다가 우연히 취직하러 들어간 회사에서 맥신이라는 여자를 보고 한눈에 반해버린다. 맥신을 처음 만나본 이후로 크레이그는 맥신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게 되는데 심지어 맥신과 하루밤 지새우기 위해 자신의 아내인 라티를 원숭이가 있는 철창 우리에 가두고 총기를 위협해서 맥신을 속이고 그녀와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처음에 착하게 나오는 크레이그가 왜 그렇게 변하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 한가지 맥신이라는 여자 때문이다. 여기에서 맥신의 역할은 크레이그의 욕망의 대상, 즉 게임으로 따지면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그의 모습은 흡사 게임중독증 환자와 비슷하다. 게임중독증 환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 보면 게임에 접하기 전에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게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게임이 주는 재미에 빠져 버린 나머지 게임에 점점 중독되어 가고 더 나아가서 학교에서 돌아온 뒤에는 한시라도 게임을 하지 않으면 못살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을 착각해서 게임에서의 자신의 캐릭터가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캐릭터를 죽인 사람을 찾아가 심한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프로 게이머와 게임 중독증 환자와 거의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반문하면서 크레이그나 라티나 둘다 비슷한 거 아니냐하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것에는 공통점을 보이나 게임 중독증 환자는 즐거움만을 추구한 나머지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질 않는다. 그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오직 게임을 즐기는 현재 뿐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게임을 즐기긴 하지만 게임 중독증 환자와는 달리 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는 단순히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SEXUALITY, 인간의 잠재적 욕구, 자아 분열 등 여러 가지 인간의 모습을 담아 내고 있다. 따라서 " 존 말코비치 되기" 라는 영화는 블랙코미디로 가볍게 웃어 넘기기에는 우리에게 전해 주는 메시지가 결코 단순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 영화를 통해 잠시나마 우리 인간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을 수 있어서 좋았다.
반면에 크레이그는 어떠한가? 크레이그가 영화에 처음 나올 때 지극히 평범하고 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다가 우연히 취직하러 들어간 회사에서 맥신이라는 여자를 보고 한눈에 반해버린다. 맥신을 처음 만나본 이후로 크레이그는 맥신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게 되는데 심지어 맥신과 하루밤 지새우기 위해 자신의 아내인 라티를 원숭이가 있는 철창 우리에 가두고 총기를 위협해서 맥신을 속이고 그녀와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처음에 착하게 나오는 크레이그가 왜 그렇게 변하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 한가지 맥신이라는 여자 때문이다. 여기에서 맥신의 역할은 크레이그의 욕망의 대상, 즉 게임으로 따지면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그의 모습은 흡사 게임중독증 환자와 비슷하다. 게임중독증 환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 보면 게임에 접하기 전에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게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게임이 주는 재미에 빠져 버린 나머지 게임에 점점 중독되어 가고 더 나아가서 학교에서 돌아온 뒤에는 한시라도 게임을 하지 않으면 못살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을 착각해서 게임에서의 자신의 캐릭터가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캐릭터를 죽인 사람을 찾아가 심한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프로 게이머와 게임 중독증 환자와 거의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반문하면서 크레이그나 라티나 둘다 비슷한 거 아니냐하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것에는 공통점을 보이나 게임 중독증 환자는 즐거움만을 추구한 나머지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질 않는다. 그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오직 게임을 즐기는 현재 뿐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게임을 즐기긴 하지만 게임 중독증 환자와는 달리 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는 단순히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SEXUALITY, 인간의 잠재적 욕구, 자아 분열 등 여러 가지 인간의 모습을 담아 내고 있다. 따라서 " 존 말코비치 되기" 라는 영화는 블랙코미디로 가볍게 웃어 넘기기에는 우리에게 전해 주는 메시지가 결코 단순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 영화를 통해 잠시나마 우리 인간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을 수 있어서 좋았다.
추천자료
[영화감상문] 오아시스 영화분석 ....... - 감상 후기 -
「Catch me if you can」영화분석-가족 측면
[영화분석 감상문] 영화 Full monty, 가부장적 남성 이데올로기 벗어던지기
한국영화성공요인분석-매스컴과현대사회
공포영화의 영화음악분석
'CJ CGV 와 MEGABOX' 비교 분석-영화 산업 붐을 주도 하라’
서부영화 <용서받지 못한자> 영화감상분석
영화분석 [ 박하사탕 ]
영화분석 [ 쉰들러 리스트 ]
<영화분석> 영화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분석
[서강대]와이키키 브라더스에 대한 영화분석
박하사탕, 회귀의 미학 - 박하사탕영화분석,박하사탕분석,회귀의미학,시대상을 반영한 박하사...
(정신보건사회복지) 정신장애인이 주인공 영화분석 말아톤
(정신보건사회복지) 지적장애인이 주인공인 영화분석 ‘아이 엠 샘 (I Am 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