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식민지 시대의 집
1) 하층 서민의 집 토막(土幕)
2) 새로운 양식의 집
(1) 영단주택의 건설
(2) 요(寮)의 출현
3) 서양식 공공건물
(1) 서울역사
(2) 조선은행(한국은행)
(3) 경성부청사(서울특별시청)

3. 광복 후
1) 월남민들의 해방촌
2) 달동네
3) 공장지대의 벌집
(1) 광주대단지
(2) 광주대단지사건
4) 아파트의 등장
(1) 아파트 난방의 변화
(2) 시민아파트의 등장
(3) 와우아파트
5) 새마을 운동과 농촌의 변화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 73명 중 사망 33명, 부상 40명을 낸 것이다. 30가구 중 15가구만 입주한 상태의 도괴였으니 망정이지 30가구가 모두 입주한 후에 도괴되었다면 그 희생자는 훨씬 더 많았을 것이다. 1970년 4월 7일 신임 양택식 시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자리에서 박정희대통령은 김시장에 의해서 추진되었던 시민아파트 계획은 전면 백지화하고 앞으로 건립하지 말 것을 명령한다. 그러나 서울시의 입장에서는 일시에 중단할 수는 없었다. 와우사건 이전에 이미 공약해 둔 것도 있고 또 건립준비 중에 있는 것도 있어 1970년에도 용산구 산천지구 등에 모두 12개의 시민아파트를 더 건립하였다.
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8-6-2-3-3-2.html
5) 새마을 운동과 농촌의 변화
1970년 4월 22일 한해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소집된 지방장관회의에서 대통령 박정희는 수재민 복구대책과 아울러 넓은 의미의 농촌재건운동에 착수하기 위하여 자조 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되었다. 1971년 전국 3만 3,267개 행정리동(行政里洞)에 시멘트 335포대씩 균일적으로 무상지원하여 각 마을마다 하고 싶은 사업을 자율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이 결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는데, 첫째는 정부가 무상 공급한 시멘트로 부락민들이 자체 노력과 자체 자금을 투입하여 마을이 필요로 하는 숙원사업을 해낸 경우이고, 둘째는 시멘트의 무상공급을 받았지만 뚜렷한 사업을 하지 못한 경우이다. 정부는 반응이 있는 1만 6600개 부락에 대하여 또다시 시멘트 500포대와 철근 1t씩을 무상공급하면서 자발적인 협동노력을 장려하였다.
http://100.naver.com/100.php?&mode=all&id=87893
또한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손이 많이 가고 비위생적인 초가지붕을 개량하고, 시멘트로 된 공동 우물과 공동 빨래장을 설치하는 등 마을 전체의 생활환경을 개선해 나가기 시작했다. 초가지붕의 개량은 새로운 지붕재료인 슬레이트로 인해 빠르게 확산되어 갔고 보수의 간편함과 외관의 미려함, 위생성 등으로 인해 환영 받았으나. 슬레이트 자체의 단열성과 통풍 성의 부족으로 그 집에 사는 사람은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위에 떨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전기의 전기 시설이 보급되면서 농촌의 주거 문화는 근본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낮 시간이 연장됨으로서 활동 시간의 변화를 가져왔고, 라디오나 TV를 통해서 빠른 정보 전달이 이루어졌다.
4. 나오는 말
지금까지 식민지시대부터 빈민 주거와 아파트의 등장 그리고 새마을 운동을 통한 농촌주거의 변모를 살펴보았다. 조사를 아면서 많이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느끼었으나, 역사적으로 가까운 시기에 해당하지만 평소에 몰랐던 생소한 것이었기 때문인지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부분까지 적어 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더구나 기껏 책을 빌려놓고 안 썼다는 것이 매우 당황스러울 따름이다.
끝으로 토막 및 불량주택 판자집 등을 조사하면서 지금 우리가 사는 집이 얼마나 편한지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참고문헌>
도서
김정동, 『김정동교수의 근대 건축 기행』, 푸른역사, 1999
논문
이선민,「1930년대 都市 勞動者의 住居難과 住居樣態의 變化」, 2001
이신철,「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서울학연구』, 2000
김종화,「都市貧民에 관한 硏究」,『法政論叢』,1988
<참고 사이트>
서울600년사 : http://seoul600.visitseoul.net
한국건축가협회 : http://www.arick.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