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혈 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빈혈 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 제목

2.실험 날짜

3.실험 목적

4.실험 기구 및 필요시약, 시료

5.실험 원리

6.실험 방법

7.실험결과

8.고찰

9.참고 문헌

본문내용

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의 계산(MCHC : 적혈구 1개내 Hb의 농도%)등이 실시된다. 또한 이에 대한 약자로서 MCV, MCH, MCHC가 쓰인다. 최근에는 automatic blood cell counter에 의해 자동계산된다.
< Mean Corpuscular Values의 정상치>
정상
저하
상승
MCV
80~90 cubic micron
iron deficiency anemia
pernicious anemia
MCH
27~32 micromicogram
iron deficiency anemia
pernicious anemia
MCHC
33~38%
iron deficiency anemia
­
이러한 적혈구 항수 계산에 사용할 RBC, Hb, Ht 측정은 정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만일 manual법으로 실시됐다면 RBC count는 세 번 측정하여 평균치로 계산하고 그렇지 않으면 automatic electronic cell counter로 계수한 성적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7.실험결과
16
19
19
8
11
24
13
20
10
19
15
11
7
11
13
7
2
3
1
1
X
4
1
1
2
4
3
1
2
2
X
X
1
1
2
2
3
2
2
1
X
1
1
3
1
2
2
X
X
X
1
X
1
1
X
1
X
X
X
X
X
X
X
1
4
1
2
1
1
1
2
4
2
3
2
1
1
2
X
1
⑴ Red Blood Cell Count
R1(223) R2(27) R3(24) R4(5) R5(28)
총-307
∴307X10,000=3,070,000개
⑵ Hemoglobin농도 측정
Standard액의 O.D.-0.50620,0.50602,0.50585 평균=0.50602
Sample액의 O.D.-Ⅰ ;0.51921, 0.51652 평균=0.51787
Ⅱ ;0.52303, 0.52311 평균=0.52307
Ⅰ-
Ⅱ-
⑶ Hematocrit(Ht) 측정
, 평균-39%
(4)Mean Corpuscular Values
8.고찰
현미경적 계수 방법과 헤모글로빈의 농도 측정, 헤마토 크릿 측정 등 여러가지 실험을통해 빈혈 판정을 해 보았다. 우리 조는 먼저 현미경적 계수방법을 하였다. 처음 피험자의 손가락을 천자한 후 처음 나온 혈액을 조금 버린뒤 Red cell pipet에 혈액을 0.5눈금까지 넣은 뒤 희석액을 101까지 정확하게 넣고 엄지와 약지로 흔들었다. 이 과정에서 눈금 까지 정확하게 넣는 것이 힘들어서 실패도 몇 번 하고 피펫을 흔들 때에 피펫을 깨는 등 처음이라 많은 실수를 했다. 다음 혈산기에 커버 글래스를 먼저 씌운 뒤 커버 글래스를 살짝 누르고 피펫 기둥 내의 희석액과 혈구가 섞이지 않는 부분의 액을 4~5방울 버린 후 혈산기와 커버글래스 사이에 넣고 약 5분가량 안정시켜 적혈구를 가라않게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런데 현미경의 초점을 아무리 맞춰도 적혈구가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다른 실험을 한 뒤에 희석액을 다른 것으로 바꾼 뒤 다시 측정을 하였다. 그리고 다시 실험을 하였는데 이번에는 셀의 분포 상태가 불량해서 또 다시 했는데 이번에는 다른 조가 할 동안 시간이 지체되서 그런지 이번에도 또 셀의 상태가 불량하여 R구획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시간이 다 되서 그냥 마지막에 나온 결과로 하기로 하였다. 결과는 정상이 450-500만개여야 하는 데 307개로 빈혈이 판정됐다. 그렇지만 이것은 피험자의 상태가 빈혈이라기 보다는 우리의 실험에 오차가 있어서 잘못된 결과가 나온 것 같다. 두 번째로 헤마토크릿 측정을 하였다. 먼저 혈액에 헤파린으로 적신 모세 유리관을 갖다 대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2/3정도를 넣었다. 이 과정에서 피가 생각보다 많이 필요해서 피험자의 손을 여러번 천자를 해야했다. 혈액을 넣지 않은 쪽을 creat씰로 봉한 뒤 원심 분리기에 넣어 11,000rpm에에서 5분간 원심 분리 한 뒤 모세 유리관을 꺼내 혈구층의 높이와 전혈액층의 높이를 부석되어 있는 작은 눈금판으로 읽어 결과가 나왔다. 첫 번째 모세유리관은 38%가 나왔고 두 번째는 40%로 여자의 정상의 범위가 40%이므로 비교적 정상의 범의안에서의 결과가 측정되었다. 다른 실험 방법보다 가장 정확한 방법인 것 같았다. 마지막으로 혈색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Cyanmethhemoglobin 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이는 흡광도를 재어 비색 정량하는 방법이다. 시험관에 drabkin액 5ml를 정확하게 넣은 뒤 20㎕의 혈액을 시약과 섞고 10분간 반응 시켰다. 그리고 다시 4~5회 전도 혼합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pectronic20이란 기계가 고장나서 UV-Visible System을 이용해서 300~700nm의 파장 범위내에서 540nm 파장에서 가장 강하게 읽혀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스탠다드의 흡광도가 0.50620, 0.50602, 0.50585가 나오고 첫 번째 샘플의 흡광도는 0.51921,0.51652, 두 번째 샘플의 흡광도는 0.52303, 0.52311이 나왔다. 따라서 나온 결과들의 평균을 내어서 첫 번째 Hb농도는 15.35127이 나오고 두 번째는 15.50541나왔다. 이렇게 나온 결과들로 MCV, MCH, MCHC를 계산하였는데 RBC의 결과를 이용한 MCV와 MCH는 결과가 빈혈로 잘못나오고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을 이용한 MCHC만 정상의 범위인 38%가 나왔다.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빈혈 측정을 해 보았는데 처음이라 실수도 많았고 결과도 잘 못 나온 것이 있었다. 그렇지만 이렇게 혈액으로 우리가 직접 실험을 해봐서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다음에 실험을 하게 된다면 실수없이 정확한 결과가 나올수 있을 것 같다.
9.참고 문헌 및 싸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proteus0521.do?Redirect=Log&logNo=1991263
http://www.korhealth.ac.kr/subject/kucls/%BB%F5%20%C6%FA%B4%F5/chokj/hema/images/RBCs.jpg
영양판정-교문사,이정원외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12.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