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cathet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e, 멸균 가운, cap, mask
◆ catheter 삽입 방법(intrajugular vein)
.
-환자를 Trendelenburg 자세로 눕힌 상태에서 머리는 시술 반대 방향을 보게 한다.
-천자 부위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흉쇄유돌근과 내경동맥 사이를 천자하는 전방 전급법과 흉쇄유돌근과 외경 정맥 사이를 천자하는 후방 접근법을 통해 실시 한다.
-모든 시술 철저한 멸균 방호를 통해 이루져야 하며 시술사는 멸균된 마스크, 모자, 가운, 장갑을 착용한다.
-환자는 멸균 방포를 이용해 주위 장비나 시술 중 오염을 방지한다.
-천자부위를 2% lidocaine으로 국소마취한다.
-우측 내경정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한다.
-유도철사를 우심방까지 삽입하며 이 과정에서 유도 철사에 의해 관상 정맥동 및 우심실 자극에 의한 부정맥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전도 관찰과 동시에 투시검사 장치를 사용 할 수 있다.
-카테터가 삽입 되면 정맥혈을 흡인하여 카테터 안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 하고 헤파린 1.3cc, 1.5cc 채운다.
- nylon 3-0으로 카테터에 고정장치를 장착 후 피부에 봉합 고정을 시행 후 다시 한번 소독 시행 후 투명 테잎을 부착한다.
-도관 삽입 후 흉부 X-선 촬영을 통해 도관의 위치 및 기흉,혈흉 등의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
◆ 합병증
-급성합병증: 기흉, 혈흉, 심장 압전, 종격동 출혈, 흉관 손상, 쇄골하정맥과 종맥 혹은 동맥 분지와의 누공, 공기 색전증, 부정맥
-만성합병증: 카테터 감염 및 패혈증(삽입 부위 농형성, 발적, 악취 등), 정맥 협착, 혈전증
->원인: 정맥 혈관벽의 손상, 혈액투석 중 일어나는 카테터의 움직임, 혈관벽과 접촉한 부위의 카테터에서의 가소제(plasticiser)의 누출, 동정맥의 누공 형성 후 정맥압의 증가에 의함
◆ 카테터 관리
ㆍ감염의 위험성이 높고 혈전증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ㆍ도관을 혈액 연결관에 연결하고 분리하는 동안 간호사와 환자는 마스크나 얼굴 가리개를 써야 한다.
ㆍ투석하지 않는 동안에는 도관의 안쪽으로 공기가 노출시키지 않게 멸균상태로 유지한다.
ㆍ도관 출구 부위는 목욕이나 샤워 시 물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ㆍ감염의 기회를 차단하기 위해 투석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는 도관을 상요하지 않도록 한다.
ㆍ투석이 끝난 후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관 안에 헤파린을 채운다.
-헤파린은 다음 투석하기 전 주사기로 제거
ㆍ매 투석후 카테터가 삽입 된 부위를 알콜과 베타딘을 이용하여 소독한다.
ㆍ카테터는 밀폐 드레싱을 적용시켜 놓고 3회/1주의 빈도로 드레싱을 교환한다.
<참고 문헌>
-혈액투석을 위한 쇄골하정맥 카테터의 합병증에 관한 연구, 대한신장학회, 제 10권 제 3호,1991
-일체형과 분리형 혈액투석도관의 비교, 대한영상의학회지,2009:6
-내과계 중환자실 메뉴얼
-혈액투석을 위한 동정맥루, 김명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대한 의학회 ,http://www.kams.or.kr/
-http://www.medcompnet.com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02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