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Hemodialysis (혈액투석, HD)
1.대상자 선택
2.투석 환경(Dialysis setting)
3.투석 절차
4.혈관 통로(Vascular access)
5.간호
6.합병증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 PD)
1.대상자 선택
2.투석 절차
3.투석과정
4.복막투석의 유형
(1).지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2).다중백 연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3).자동화된 복막투석
(4).간헐적 복막투석
(5).지속성 주기성 복막투석
5.합병증
6.간호
1.대상자 선택
2.투석 환경(Dialysis setting)
3.투석 절차
4.혈관 통로(Vascular access)
5.간호
6.합병증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 PD)
1.대상자 선택
2.투석 절차
3.투석과정
4.복막투석의 유형
(1).지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2).다중백 연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3).자동화된 복막투석
(4).간헐적 복막투석
(5).지속성 주기성 복막투석
5.합병증
6.간호
본문내용
변비다.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PD카테터를 삽입하기 전 의사는 장준비를 처방한다.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PD를 하기 전 배변을 하게하고 고섬유질 식이와 변완화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게 한다. 주입이나 배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다른 원인에는 연결관이 꼬였거나 잠긴 경우, 대상자의 자세, 섬유소 응괴 형성, PD 카테터의 이동 등이 있다.
중력에 의해 배출되므로, 배액백이 복부보다 낮게 놓여 있는지 확인한다. 연결관과 PD시스템이 꼬였거나 비틀렸는지 살펴보고, clamp가 열려 있는지도 재확인한다. 여전히 주입이나 배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대상자의 자세를 바꾸어서 흐름을 자극해 본다. 몸을 반대쪽으로 돌리거나, 자세를 바르게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앙와위의 low-Fowler's 체위를 취하면 복강내 압력이 낮아진다.
섬유소 응괴 형성은 PD 카테터를 삽입한 후나 복막염이 발생하는 시점에 생길 수 있다. 튜브를 조심스럽게 짜주면 섬유소 응괴가 떨어져 나가 배액 흐름이 촉진될 수 있다. PD 카테터가 골반 밖으로 이동하면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투석액 유출(Dialysate leakage)
소량의 투석액으로 투석을 시작한다. 카테터 삽입부 주위에 누출이 생기지 않으면서 2L를 완전히 교환할 수 있으려면 1~2주가 걸릴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노인,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사람은 누출이 자주 발생한다. 카테터 삽입구에서 맑은 액체가 나오면서 투석액이 누출된다. 이 기간동안에는 HD이 필요할 수 있다.
기타 합병증
PD배출액은 비교적 깨끗하고 옅은 노란색을 띠어야 한다. 처음 교환할 때는 배출액에 피가 섞일 수도 있다. 혈액이 섞인 투석액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데우지 않은 투석액을 주입하고 배액하는 교환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다. 이런 경우, 헤마토크리트, 맥박, 혈압 등을 면밀하게 모니터한다. 배액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면, 장천공을 의심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배액 색깔과 포도당 농도가 소변과 같다면, 방광 천공의 가능성을 조사해야 한다. 배액이 탁하고 불투명하면 감염을 의심한다.
간호
병원에서의 복막투석은 매일 간호사가 시작하고 모니터한다. 투석을 하기 전, 혈압, 심첨 박동과 요골맥박, 체온, 호흡양상, 호흡음 등을 포함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투석을 시작하기 전 항상 같은 저울로 체중을 재고, 투석치료를 받을 때에는 적어도 24시간마다 측정한다. 전해질과 포도당 같은 검사치도 중요하며, PD치료 기간에는 적어도 매일 반복하여 검사한다.
복막투석을 하는 동안 항상 대상자를 모니터한다. 활력징후는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flow sheet에 기록한다. 처음 소량을 교환할 때는 15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또한 호흡곤란, 통증, 불편감 등이 있는지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카테터 주입구 주위의 복부 드레싱이 젖지 않았는지 자주 확인하다. 저류 시간을 확인하고 배액을 시작한다. 의사는 체액 제거와 전해질 균형에 대해 대상자에 따라 저류 시간을 처방한다.
매시간 교환할 경우, 저류 시간은 보통 20~40분 정도이다. 어떤 대상자는 포도당 흡수 현상을 보이기도 하므로 혈당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배액을 할 때는 clamp를 완전히 개방하여 연속적인 흐름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 교환마다 주입량과 배액량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배액량이 주입량보다 적은 경우는 그만큼이 흡수되었거나 투석을 하면서 체내에 정체된 것이므로 이를 섭취량에 포함시켜야 한다. 자가 CAPD를 하거나, MB-CAPD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체액 상태를 모니터한다. 배액백을 관찰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배액량이 충분한지 알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배출되므로, 배액백이 복부보다 낮게 놓여 있는지 확인한다. 연결관과 PD시스템이 꼬였거나 비틀렸는지 살펴보고, clamp가 열려 있는지도 재확인한다. 여전히 주입이나 배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면, 대상자의 자세를 바꾸어서 흐름을 자극해 본다. 몸을 반대쪽으로 돌리거나, 자세를 바르게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앙와위의 low-Fowler's 체위를 취하면 복강내 압력이 낮아진다.
섬유소 응괴 형성은 PD 카테터를 삽입한 후나 복막염이 발생하는 시점에 생길 수 있다. 튜브를 조심스럽게 짜주면 섬유소 응괴가 떨어져 나가 배액 흐름이 촉진될 수 있다. PD 카테터가 골반 밖으로 이동하면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투석액 유출(Dialysate leakage)
소량의 투석액으로 투석을 시작한다. 카테터 삽입부 주위에 누출이 생기지 않으면서 2L를 완전히 교환할 수 있으려면 1~2주가 걸릴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노인,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사람은 누출이 자주 발생한다. 카테터 삽입구에서 맑은 액체가 나오면서 투석액이 누출된다. 이 기간동안에는 HD이 필요할 수 있다.
기타 합병증
PD배출액은 비교적 깨끗하고 옅은 노란색을 띠어야 한다. 처음 교환할 때는 배출액에 피가 섞일 수도 있다. 혈액이 섞인 투석액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데우지 않은 투석액을 주입하고 배액하는 교환과정을 여러 번 반복한다. 이런 경우, 헤마토크리트, 맥박, 혈압 등을 면밀하게 모니터한다. 배액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면, 장천공을 의심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배액 색깔과 포도당 농도가 소변과 같다면, 방광 천공의 가능성을 조사해야 한다. 배액이 탁하고 불투명하면 감염을 의심한다.
간호
병원에서의 복막투석은 매일 간호사가 시작하고 모니터한다. 투석을 하기 전, 혈압, 심첨 박동과 요골맥박, 체온, 호흡양상, 호흡음 등을 포함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투석을 시작하기 전 항상 같은 저울로 체중을 재고, 투석치료를 받을 때에는 적어도 24시간마다 측정한다. 전해질과 포도당 같은 검사치도 중요하며, PD치료 기간에는 적어도 매일 반복하여 검사한다.
복막투석을 하는 동안 항상 대상자를 모니터한다. 활력징후는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flow sheet에 기록한다. 처음 소량을 교환할 때는 15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또한 호흡곤란, 통증, 불편감 등이 있는지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카테터 주입구 주위의 복부 드레싱이 젖지 않았는지 자주 확인하다. 저류 시간을 확인하고 배액을 시작한다. 의사는 체액 제거와 전해질 균형에 대해 대상자에 따라 저류 시간을 처방한다.
매시간 교환할 경우, 저류 시간은 보통 20~40분 정도이다. 어떤 대상자는 포도당 흡수 현상을 보이기도 하므로 혈당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배액을 할 때는 clamp를 완전히 개방하여 연속적인 흐름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 교환마다 주입량과 배액량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배액량이 주입량보다 적은 경우는 그만큼이 흡수되었거나 투석을 하면서 체내에 정체된 것이므로 이를 섭취량에 포함시켜야 한다. 자가 CAPD를 하거나, MB-CAPD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체액 상태를 모니터한다. 배액백을 관찰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배액량이 충분한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