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과거제의 도입
2)과거제의 정비와 변천
3)고시과목과 고시방법
2)과거제의 정비와 변천
3)고시과목과 고시방법
본문내용
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 机에 通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
야 함.
- <<針經>> 9卷<<雜經>> 1卷, 합하여 10卷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
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灸經>>을 읽고 破文은 2궤에 통해야 함.
마. 주금업과 복업
○ 禮部試呪業
① 初日---<>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② 翌日---<<劉涓子方>>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③ 第 3日 이후
- 小經으로 <<瘡疽論>> 7卷<<明堂論>> 3卷을 읽고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함.
- 大經으로 <<針經>> 10机를 읽고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함.
- <<七卷本草經>>을 읽고 2궤에 (통해야 함).
이처럼 주금업의 고시과목은 의업의 그것과 중복되고 있다. 따라서 “呪業은 의업의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의업의 일 분야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卜業은 太卜監, 즉 司天臺와 연결되어 있었던 것 같다.
바. 지리업
○ 禮部試地理業
① 初日---<<新集地理經>>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② 翌日---<<劉氏書>>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③ 第 3日 이후
- <<地理決經>> 8卷<<經緯令>> 2 卷, 합하여 10 卷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 궤에 통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地鏡經>> 4 卷<<口示決>> 4卷<<胎藏經>> 1卷<<決>> 1卷, 합하여 10卷
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蕭氏書>> 10 卷을 읽고 破文은 1 机에 (통해야 함).
사. 하론업
○ 禮部試何論業
眞書로 奏狀을 쓰게 하고 喫를 小貼하며, <<何論>> 10机<<孝經>><<曲禮>>
각 2机<<律 前後帙>> 각 1机씩을 읽게 한다.
아. 3례업3전업정요업
3례업은 <<禮記>>와 <<周禮>><<儀禮>>, 3전업은 <<春秋三傳>>을 고시과목으로 하였다. 그들은 선종 원년(1084) 당시에 이미 폐지될 위기에 처해있었다. 그것은 비록 급제했다 하더라도 잘 등용되지 않은 까닭이었다. 정요업에 관해서는 감시를 실시했다는 문종 33년 6월 判 이외에 전해 오는 자료가 없어 고시과목 등 모든 면이 의문인 상태이나 현재로서는 역시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둘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다만 추측컨대 이 과업도 3례업,
3전업과 마찬가지로 인종 14년 즈음하여서는 이미 폐지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야 함.
- <<針經>> 9卷<<雜經>> 1卷, 합하여 10卷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
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灸經>>을 읽고 破文은 2궤에 통해야 함.
마. 주금업과 복업
○ 禮部試呪業
① 初日---<>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② 翌日---<<劉涓子方>>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③ 第 3日 이후
- 小經으로 <<瘡疽論>> 7卷<<明堂論>> 3卷을 읽고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함.
- 大經으로 <<針經>> 10机를 읽고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함.
- <<七卷本草經>>을 읽고 2궤에 (통해야 함).
이처럼 주금업의 고시과목은 의업의 그것과 중복되고 있다. 따라서 “呪業은 의업의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의업의 일 분야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卜業은 太卜監, 즉 司天臺와 연결되어 있었던 것 같다.
바. 지리업
○ 禮部試地理業
① 初日---<<新集地理經>>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② 翌日---<<劉氏書>> 10條를 貼經ㅡ6조 이상 통해야 함.
③ 第 3日 이후
- <<地理決經>> 8卷<<經緯令>> 2 卷, 합하여 10 卷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 궤에 통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地鏡經>> 4 卷<<口示決>> 4卷<<胎藏經>> 1卷<<決>> 1卷, 합하여 10卷
을 읽고 破文에 겸하여 의리는 6궤에 통해야 하며, 파문은 4궤에 통해야 함.
- <<蕭氏書>> 10 卷을 읽고 破文은 1 机에 (통해야 함).
사. 하론업
○ 禮部試何論業
眞書로 奏狀을 쓰게 하고 喫를 小貼하며, <<何論>> 10机<<孝經>><<曲禮>>
각 2机<<律 前後帙>> 각 1机씩을 읽게 한다.
아. 3례업3전업정요업
3례업은 <<禮記>>와 <<周禮>><<儀禮>>, 3전업은 <<春秋三傳>>을 고시과목으로 하였다. 그들은 선종 원년(1084) 당시에 이미 폐지될 위기에 처해있었다. 그것은 비록 급제했다 하더라도 잘 등용되지 않은 까닭이었다. 정요업에 관해서는 감시를 실시했다는 문종 33년 6월 判 이외에 전해 오는 자료가 없어 고시과목 등 모든 면이 의문인 상태이나 현재로서는 역시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둘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다만 추측컨대 이 과업도 3례업,
3전업과 마찬가지로 인종 14년 즈음하여서는 이미 폐지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