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민성 시론에 대한 요약 및 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 국민성 시론에 대한 요약 및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타협주의(Principle of Compromise)
2. 실제주의(Practicalism)
3. 보수주의(Conservatism)
4. 온건주의(Moderation)
5. 냉정성(Dispassionateness)
6. 개인주의(Indivisualism)
7. 겸양(Modesty)과 유머감각(The Sense of Humor)
8. 속물근성(Snobbery) 또는 귀족숭배주의(Aristocratism)
9. 영국 국민성의 상호 모순항

본문내용

주고 있다.
영국인들의 귀족숭배주의를 논할 때 잊지 말아야 할 점은 그들이 생각하는 귀족은 경제적인 고소득자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영국인들의 귀족숭배주의는 경제적인 실리를 추구하려는 영국적인 실제주의와 모순된다.
이는 지금까지의 영국 국민성 중에 가장 비판받아야 하는 특성이 아닐까 싶다. 아무리 계층적 신분 상승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해도 그러한 계층간의 벽이 갖는 부작용을 상쇄시키는 것은 아니다. 결국 영국에 존재하는 계급이라는 존재가 위험한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를 계속 방치해 둔다면 항상 불안한 상태로 머무를 것이다. 영국 국민 중에 이러한 계급에 대해서 대수롭게 생각하는 사람이 다수라 하더라도 이를 안 좋게 보는 소수 역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리 국민성에서 비판받아야 하는 점이라면 바로 학력에 의한 계급의식이다. 학벌의 존재, 성취지위의 귀속지위화는 계급의 존재와 마찬가지로 계층간의 불신을 자아내는 데 충분하며 이를 계속해서 방치해 둘 경우 그 불씨가 더 커질 것이다.
9. 영국 국민성의 상호 모순항
타협주의와 개인주의
영국 국민성 6번째 개인주의에서 타협주의는 일면 개인주의와 모순되는 듯도 하나 타협주의는 역사적인 과정에서 자기 보존적인 환경 적응 방식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모순항이라 볼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미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역사적 과정에서 형성된 특성이라 하더라도 이 두 가지 특성이 영국 국민의 내면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는 면을 부인할 수는 없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요시 하고 자기 가정에 대해 다른 사람의 섣부른 침입을 용인하지 않는다면 굳이 상대방과 타협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영국인들은 타협의 중요성을 역사적으로 체험해 왔기 때문에 상대방과의 타협의 중요시한다. 이러한 모순성은 개인주의의 단점인 폐쇄적 특성을 완화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실제주의와 귀족 숭배주의
실제주의와 귀족 숭배주의가 상호 모순되는 이유는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영국의 귀족이 물질적인 풍요와는 관계가 없으며 영국의 귀족드은 물질적 풍요에 얽매이는 것을 불명예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어떤 측면에서는 상하 계급 사이의 모순이라고 볼 수 있다. 하층계급에서는 귀족 숭배주의를 현실적인 측면에서의 배금주의와 큰 무리 없이 연관지어서 생각하지만 정작 귀족 계층에서는 금전적인 측면을 중시하려는 경향을 무척 불명예스러운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5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