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또한 본 사업에는 미국과 아/태 지역 약 50개 공동 연구 및 교육 프로젝트들이 참여하여 향후 5년간 약 2억 달러의 연구비가 책정되어 있다.
STAR TAP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미국의 경우 Indiana University, 일본의 경우 KDD가 담당하고 있다.
다음 (그림 4)는 TransPAC의 운영 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나. 운영 현황
미국 인디아나 대학은 STAR TAP을 통하여 vBNS에서 APAN까지 high bandwidth의 국제적인 인터넷 연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다음의 여러 기관들이 어플리케이션 및 협력 연구 분야에서 공동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즉, 미국 NSF의 HPIIS 승인을 획득한 APAN의 연구 및 교육기관, 인디아나 대학, NSF, 고성능 컴퓨팅 센터의 최고 기관인 NCSA(National Computational Science Alliance)와 NPACI(National Partnership for Advanced Computing Infrastructure), 그리고 vBNS 승인 기관과 vBNS 파트너 기관을 포함하여 30여 개 이상의 연구 및 교육 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인디아나 대학은 APAN, TransPAC 그리고 주요 네트워킹 기반 구조를 제공하게 될 세계적 국제 사업자로서 일본의 KDD, 한국의 KT및 미국의 AT&T 등 3개 사업자와의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컨소시엄은 미국 HPIIS 기관들이 APAN에 연결되어 있는 아/태 지역 연구 및 교육기관들에 high bandwidth로 접속할 수 있게끔 도움을 주게 된다. 주로 AT&T, KDD, KT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HPIIS 기관들에게vBNS AUP compliant ATM connectivity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상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위해서 여러가지 vBNS 테스트베드 활동들이APAN 기관의 공동 개발 참여로 확대될 것이다. 테스트베드에는 IPv6, RSVP와 기타 방법을 이용한 QoS, Video Conferencing, Shared Virtual Environment 및 Teleimmersion 등이 포함된다.
TransPAC 연구 네트워크 개발과 서비스 수행은 천문학, 분자 생물학, 고 에너지 물리학, 의약, 기상학, 시각화 및 컴퓨터 과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미국과 아시아 지역 연구자들 간의 협력을 지원하게 될 것이다.
다.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는 인디아나 대학과 동경을 중심으로 하는 TransPAC NOC(Network Operation Center)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vBNS, STAR TAP, AT&T, KDD, KT, 그리고 동경과 서울의 APAN XP과의 협력에 의해서 지원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관리 조정과 최종 이용자 담당 창구는 인디아나 대학이 담당하게 된다. NOCs에서 수집된 이용 및 성능 관련 데이터는 일정 규칙하에 수집되어 보고된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특성화와 성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도 인디아나 대학, KDD, KT, AT&T와 공동으로 수행되게 된다. 이 연구를 위해Cisco Systems이 모니터링 및 성능 특성화 방법론의 개발과 실행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인디아나 대학과 APAN은 TransPAC을 통해서 vBNS-APAN 링크를 위한 네트워크 기술과 운영 지원을 공동으로 제공하고, TransPAC을 이용하는 미국의 HPIIS 기관과 아/태 지역의 HPIIS 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돕게 될 것이다. AT&T는 KDD와 협력으로 최초로 시카고의 AT&T node에서부터 동경의 APAN XP를 잇는 35Mbps급 VBR-nrt(Variable Bit Rate Non-Real_Time) ATM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현재의 인터넷을 보다 발전시키고 진화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과 시험, 검증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고성능 네트워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21세기 정보산업의 패권을 차지하여 국제간 산업 전반에 걸친 주도권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차세대 인터넷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나라들이 자국의 기술수준 및 시장 환경에 적합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등은 각국이 처한 시장환경이나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수준에 적합한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 우리의 기술수준을 평가함에 있어 서는 차세대 인터넷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소요기술의 확보정도 및 개발인력의 보유 수준 그리고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의 수준을 평가한 뒤, 적정한 기술개발 추진체계를 수립하고 효율적이면서 국가전략 차원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발대상기술의 국가전략적 핵심성과 향후 장기적인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네트워크기술에 연구개발의 중점을 두고 사용자 응용 및 차세대서비스 기술은 시장매력도를 기준으로 선별적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차세대 인터넷 인프라는 ① 라우터기반 ISP망 대안, ② ATM기반 통신사업자 망 대안, ③ 라우터-ATM 공존형 대안 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환경, 성장성, 기술수준과 기술의 핵심성 등을 고려하여 기술개발투자에 대한 다원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 제조업체의 ATM 기술력과 광전송 시스템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속라우터 개발 및 광 인터넷망 구축에 활용하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은 인터넷 패러다임에 맞게 급속히 바뀌는 기술개발의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기반 기술의 경우 장기적 관점의 지속적인 기술 축적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시스템 기술의 경우 1단계에서 공통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시장 요구의 변화에 따라 차별화된 시스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기술개발기간을 단축하여 적시 개발이 가능하도록 추진하여야 한다.
STAR TAP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미국의 경우 Indiana University, 일본의 경우 KDD가 담당하고 있다.
다음 (그림 4)는 TransPAC의 운영 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나. 운영 현황
미국 인디아나 대학은 STAR TAP을 통하여 vBNS에서 APAN까지 high bandwidth의 국제적인 인터넷 연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다음의 여러 기관들이 어플리케이션 및 협력 연구 분야에서 공동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즉, 미국 NSF의 HPIIS 승인을 획득한 APAN의 연구 및 교육기관, 인디아나 대학, NSF, 고성능 컴퓨팅 센터의 최고 기관인 NCSA(National Computational Science Alliance)와 NPACI(National Partnership for Advanced Computing Infrastructure), 그리고 vBNS 승인 기관과 vBNS 파트너 기관을 포함하여 30여 개 이상의 연구 및 교육 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인디아나 대학은 APAN, TransPAC 그리고 주요 네트워킹 기반 구조를 제공하게 될 세계적 국제 사업자로서 일본의 KDD, 한국의 KT및 미국의 AT&T 등 3개 사업자와의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컨소시엄은 미국 HPIIS 기관들이 APAN에 연결되어 있는 아/태 지역 연구 및 교육기관들에 high bandwidth로 접속할 수 있게끔 도움을 주게 된다. 주로 AT&T, KDD, KT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HPIIS 기관들에게vBNS AUP compliant ATM connectivity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상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위해서 여러가지 vBNS 테스트베드 활동들이APAN 기관의 공동 개발 참여로 확대될 것이다. 테스트베드에는 IPv6, RSVP와 기타 방법을 이용한 QoS, Video Conferencing, Shared Virtual Environment 및 Teleimmersion 등이 포함된다.
TransPAC 연구 네트워크 개발과 서비스 수행은 천문학, 분자 생물학, 고 에너지 물리학, 의약, 기상학, 시각화 및 컴퓨터 과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미국과 아시아 지역 연구자들 간의 협력을 지원하게 될 것이다.
다.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는 인디아나 대학과 동경을 중심으로 하는 TransPAC NOC(Network Operation Center)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vBNS, STAR TAP, AT&T, KDD, KT, 그리고 동경과 서울의 APAN XP과의 협력에 의해서 지원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관리 조정과 최종 이용자 담당 창구는 인디아나 대학이 담당하게 된다. NOCs에서 수집된 이용 및 성능 관련 데이터는 일정 규칙하에 수집되어 보고된다. 또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특성화와 성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도 인디아나 대학, KDD, KT, AT&T와 공동으로 수행되게 된다. 이 연구를 위해Cisco Systems이 모니터링 및 성능 특성화 방법론의 개발과 실행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인디아나 대학과 APAN은 TransPAC을 통해서 vBNS-APAN 링크를 위한 네트워크 기술과 운영 지원을 공동으로 제공하고, TransPAC을 이용하는 미국의 HPIIS 기관과 아/태 지역의 HPIIS 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돕게 될 것이다. AT&T는 KDD와 협력으로 최초로 시카고의 AT&T node에서부터 동경의 APAN XP를 잇는 35Mbps급 VBR-nrt(Variable Bit Rate Non-Real_Time) ATM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현재의 인터넷을 보다 발전시키고 진화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과 시험, 검증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고성능 네트워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21세기 정보산업의 패권을 차지하여 국제간 산업 전반에 걸친 주도권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차세대 인터넷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나라들이 자국의 기술수준 및 시장 환경에 적합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등은 각국이 처한 시장환경이나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수준에 적합한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 우리의 기술수준을 평가함에 있어 서는 차세대 인터넷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소요기술의 확보정도 및 개발인력의 보유 수준 그리고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의 수준을 평가한 뒤, 적정한 기술개발 추진체계를 수립하고 효율적이면서 국가전략 차원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발대상기술의 국가전략적 핵심성과 향후 장기적인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네트워크기술에 연구개발의 중점을 두고 사용자 응용 및 차세대서비스 기술은 시장매력도를 기준으로 선별적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차세대 인터넷 인프라는 ① 라우터기반 ISP망 대안, ② ATM기반 통신사업자 망 대안, ③ 라우터-ATM 공존형 대안 등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환경, 성장성, 기술수준과 기술의 핵심성 등을 고려하여 기술개발투자에 대한 다원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 제조업체의 ATM 기술력과 광전송 시스템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속라우터 개발 및 광 인터넷망 구축에 활용하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차세대 인터넷 기술개발은 인터넷 패러다임에 맞게 급속히 바뀌는 기술개발의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기반 기술의 경우 장기적 관점의 지속적인 기술 축적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시스템 기술의 경우 1단계에서 공통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시장 요구의 변화에 따라 차별화된 시스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기술개발기간을 단축하여 적시 개발이 가능하도록 추진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세계경제(한글97용)
P2P 소프트웨어 기반 산업과 지적재산권 정책- 소리바다와 냅스터를 중심으로 -
[최신기술]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과 DMB
애플사의 iCEO스티브잡스 경영전략
IT839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IPv6][IPv6의 정의][IPv6의 필요성][IPv6의 연동][IPv6의 주소체계][IPv6의 교육학술정보화 ...
와이브로의 현재와 미래
와이브로의 현재와 미래
wibro와 초소형 projector의 만남 (emerging technology)
컨텐츠(콘텐츠) 유료화 동향, 컨텐츠(콘텐츠) 유료화와 휴대폰결제서비스, 컨텐츠(콘텐츠) 유...
무선 LAN의 구축사례와 해결과제에 관한 연구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WAP)에 대한 조사 및 고찰
애플iceo스티브잡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