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량 무기질
(1) 칼슘
(2) 인
(3) 마그네슘
(4) 나트륨
(5) 칼륨
(6) 염소
(7) 황
2. 미량 무기질
(1) 요오드
(2) 철
(3) 아연
(4) 셀레늄
(5) 불소
(6) 크롬
(7) 구리
3. 출처
(1) 칼슘
(2) 인
(3) 마그네슘
(4) 나트륨
(5) 칼륨
(6) 염소
(7) 황
2. 미량 무기질
(1) 요오드
(2) 철
(3) 아연
(4) 셀레늄
(5) 불소
(6) 크롬
(7) 구리
3. 출처
본문내용
1. 다량 무기질
(1) 칼슘
칼슘은 인체에서 가장 흔한 미네랄이다. 몸에 있는 칼슘의 99%는 뼈와 치아에서 발견되고 다른 1%는 혈액과 연 조직에서 발견된다. 혈액과 세포를 둘러싼 체액에서 칼슘 농도는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하기 위해 매우 좁은 농도 범위에서 유지된다. 칼슘 섭취가 부족하면 정상적인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뼈에서 미네랄을 빠져 나오게 할 정도로, 칼슘의 생리학적인 기능은 생존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적당한 식이 칼슘 섭취는 건강한 골격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칼슘의 기능
1. 뼈와 치아의 구성 요소
칼슘은 뼈와 치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뼈의 미네랄 구성 요소는 주로 다량의 칼슘과 인(약 40%의 칼슘과 60%의 인)이 들어있는 수산화 인회석 결정체로 구성되어 있다.
2. 세포간 신호 전달
칼슘은 혈관의 수축과 이완, 신경 자극 전달, 근육 수축, 그리고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의 분비를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3. 칼슘 농도의 조절
혈액과 세포를 둘러싼 액체 내 칼슘 농도는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이 유지되도록 치밀하게 조절된다. 혈중 칼슘이 감소되면, 부갑상선에 있는 칼슘 감지 단백질에서는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분비를 일으키는 신호를 보낸다. PTH는 콩팥에서 비타민 D가 활성형인 칼시트리올로 바뀌도록 자극하고, 칼시트리올은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PTH와 함께 칼시트리올은 뼈파괴세포(파골 세포, 골용식 세포)를 활성화시켜 뼈로부터 칼슘의 분비를 자극하고 콩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늘림으로써 소변으로의 배설을 감소시킨다. 혈중 칼슘이 상승하여 정상으로 회복되면 부갑상선은 PTH의 분비를 중단시키고 콩팥은 소변으로 약간이라도 넘치는 칼슘을 내보내기 시작한다.
칼슘의 결핍
골격은 정상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커다란 저장소 역할을 해서 식이 칼슘 섭취가 부족해서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낮은 혈중 칼슘 농도는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부갑상선 기능을 암시한다. 혈중 칼슘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의 다른 원인으로 만성 신부전, 비타민 D 부족과 주로 심각한 알코올 중독에서 발생하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마그네슘 결핍은 PTH에 대한 뼈파괴세포의 반응을 감소시킨다. 성장 중인 사람에서 만성적으로 칼슘 섭취가 부족할 때 적당한 최대 골 질량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1) 칼슘
칼슘은 인체에서 가장 흔한 미네랄이다. 몸에 있는 칼슘의 99%는 뼈와 치아에서 발견되고 다른 1%는 혈액과 연 조직에서 발견된다. 혈액과 세포를 둘러싼 체액에서 칼슘 농도는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하기 위해 매우 좁은 농도 범위에서 유지된다. 칼슘 섭취가 부족하면 정상적인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뼈에서 미네랄을 빠져 나오게 할 정도로, 칼슘의 생리학적인 기능은 생존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적당한 식이 칼슘 섭취는 건강한 골격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칼슘의 기능
1. 뼈와 치아의 구성 요소
칼슘은 뼈와 치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뼈의 미네랄 구성 요소는 주로 다량의 칼슘과 인(약 40%의 칼슘과 60%의 인)이 들어있는 수산화 인회석 결정체로 구성되어 있다.
2. 세포간 신호 전달
칼슘은 혈관의 수축과 이완, 신경 자극 전달, 근육 수축, 그리고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의 분비를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3. 칼슘 농도의 조절
혈액과 세포를 둘러싼 액체 내 칼슘 농도는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이 유지되도록 치밀하게 조절된다. 혈중 칼슘이 감소되면, 부갑상선에 있는 칼슘 감지 단백질에서는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분비를 일으키는 신호를 보낸다. PTH는 콩팥에서 비타민 D가 활성형인 칼시트리올로 바뀌도록 자극하고, 칼시트리올은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PTH와 함께 칼시트리올은 뼈파괴세포(파골 세포, 골용식 세포)를 활성화시켜 뼈로부터 칼슘의 분비를 자극하고 콩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늘림으로써 소변으로의 배설을 감소시킨다. 혈중 칼슘이 상승하여 정상으로 회복되면 부갑상선은 PTH의 분비를 중단시키고 콩팥은 소변으로 약간이라도 넘치는 칼슘을 내보내기 시작한다.
칼슘의 결핍
골격은 정상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커다란 저장소 역할을 해서 식이 칼슘 섭취가 부족해서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낮은 혈중 칼슘 농도는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부갑상선 기능을 암시한다. 혈중 칼슘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의 다른 원인으로 만성 신부전, 비타민 D 부족과 주로 심각한 알코올 중독에서 발생하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마그네슘 결핍은 PTH에 대한 뼈파괴세포의 반응을 감소시킨다. 성장 중인 사람에서 만성적으로 칼슘 섭취가 부족할 때 적당한 최대 골 질량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
추천자료
영양과 식이
간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실험조리이론
생식에 대한 연구
(식품화학실험보고서)수분정량, 회분정량
[일반미생물학 - 미생물의 생육과 영향인자]
우리나라 퇴비관련 법규 및 품질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세라믹 결정구조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식품과 생활 책 요약 - 스트레스와 질병, 영양소와 건강, 건강식품, 농산식품
영유아에게 필요한 5가지 기초 식품군의 영양소 설명과, 식품 / 3대영양소, 3부영양소
모유영양과 인공영양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두 가지 영양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
영유아기의 영양 상태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
[소화, 소화와 영양소, 소화와 동물, 소화와 양서류, 소화와 토끼, 영양소, 동물, 양서류, 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