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여성감독인 제인 캠피온의 영화 피아노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영화 피아노 살펴보기

Ⅱ.여성으로서의 정체성 찾기 - 피아노

Ⅲ. 페미니즘 영화를 위하여

Ⅴ.맺음말

본문내용

영화와 관객, 영화와 그것을 생산한 조건과 영화를 소비하는 조건들로 관심의 초점이 옮겨짐으로써 영화를 포함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문화적 맥락은 더욱 중요해졌다.
Ⅴ.맺음말
이 영화에서 나오는 여성인 에이다와 소녀는 여자라는 이유로 남편에게 핍박받고 그로 인해서 남성을 증오하게 되며 그에 대한 반항으로 다른 자신을 사랑하는 남성과 사랑을 하고, 그로 인해 에이다의 손가락이 잘리는 일까지 생긴다. 이러한 면에서 이 영화는 단순한 러브스토리가 아닌 페니미즘 영화적인 요소를 밑바탕에 깔고 있다.
이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모습은 위에서 제시한 많은 여 주인공의 모습 중에서 모든 면으로 볼 때 열악한 요소를 가지는 그런 여성이다. 그것은 모든 것이 남성에 의해서 지배되는 사회에서 그런 억압에 대한 반항과 여성 자신의 삶의 선택, 그것은 아마도 말을 하지 못하는 주인공 에이다의 모든 것을 표현하는 피아노란 매개체 하나로 이 영화의 모든 것을 이야기하고 표현하였으며 이처럼 제목이 말하듯 피아노가 곧 이 영화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중심은 에이다의 손가락이 잘리는, 즉 현재까지 무참하게 짓밟혀온 여성들이 남성들의 사회적, 물리적 무력으로 인해 단절되는 장면이 아니라 그러한 험한 환경을 닫고 일어서 여성을 대표하는 에이다가 베인즈와 결혼 후 밝은 배경이미지에서 다시 연주하는 피아노의 소리가 여성이 가져야 할 자신들의 의지를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피아노의 전반적인 내용, 그리고 스튜어트의 관점에서 플로라의 관점에서 영화를 다시 바라보았다. 이제 아다는 바다만큼 큰 죽음을 통과하였다. 거대한 통과의례를 거친 아다의 오른손 검지에는 골무 같은 은빛 금속판이 끼어있다. 베인스가 아다를 위해 만들어 주었다는 그 금속판이 잘린 손가락 마디를 대신하여 피아노 건반을 두드린다. 그것은 그것이 견고하든 아니든 간에 우리로 하여금 주인공의 삶을 새롭게 열어주는 큰 희망과도 같이 느껴진다. 또한 그녀는 베인스를 통해 자아를 찾아가면서 여성만의 언어가 아닌 대립하는 성과의 교합적인 언어로 다가가는 것이다. 그녀 안의 언어를 간직한 아다가 비로소 구체적이고 관계지향적 자아로 나아가려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벙어리이든 아니든 언젠가는 모두 견고한 침묵에 잠길 것이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내면의 바다 속에 숨겨진 욕망을 드러내게 하는 영화인지도 모른다. 이 영화를 보고 잠들어 있던 욕망을 알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