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언어습득
2.언어능력
3.결론
2.언어능력
3.결론
본문내용
장도 이해할 수 있고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언어학의 목표는 인간의 언어능력의 이해를 통한 정신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으며 우리가 제일차적 관심을 우리의 언어지식에 두는 것은 언어지식의 실제적 사용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이른바 문법(文法:grammar)이라는 것은 언어학자가 언어구조를 분석해서 기술(記述)해 놓은 것을 이르기도 하지만 우리가 언어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서의 것을 이르기도 한다. 우리가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문법을 알고 있다는 것이 되는데, 언어지식으로서의 이 문법은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직접적인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하나의 가설(假設:hypothesis)을 가지고 언어능력을 설명하는데, 자연언어(自然言語)의 문법이라는 것은 일군(一群)의 언어규칙(言語規則:linguistic rule)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언어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언어규칙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규칙은 언어현상에 내재하여 언어현상을 설명하는 규칙을 말한다. 언어규칙은 실상 인간의 언어지식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假說的)인 것이지 그것이 바로 우리의 언어능력은 아니지만, 우리가 우리말에 대해 일군의 언어규칙을 알고 있다는 주장은 근거가 있는 것이다.
어린아이들이 자기의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이 이러한 사실을 암시하고 있는데, 국어의 부정소(否定素) '아니'를 처음으로 배워서 쓰기 시작하는 어린아이들이 다음과 같이 말을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15) a. 나 안 자
b. 엄마 안 와
c. 나 안 밥먹어
d. 엄마 안 서울 가
이 중에서 a, b는 제대로 된 말이지만 c, d는 틀린 말이다. 위의 문장들에서 부정소 '아니'는 대단히 규칙적으로 쓰이며, 모두 술부(述部)앞에 나타나고 있다. 그러다가 얼마 후에 어린아이들은 c, d가 잘못된 것임을 알고,
(16) a. 나 안 가
b. 엄마 안 와
c. 나 밥 안 먹어
c. 엄마 서울 안 가
와 같이 옳게 말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어린아이들의 부정소 '아니'의 삽입규칙이
"부정소 '아니'는 술부(述部) 앞에 넣는다."
로부터
"부정소 '아니'는 동사 앞에 넣는다."
로 수정·보완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 :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언어규칙을 발견하여 그것을 내면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우리가 언어능력을 가졌다는 것은 이러한 규칙들을 찾아내어 내면화한 것이며 이러한 규칙들이 언어지식, 언어능력을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언어학자의 임무는 이러한 내면화된 인간의 언어지식을 설명해 주는 언어규칙을 찾아내는 데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규칙의 형성, 수정, 내면화 과정은 무의식적이고 자율적으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이고, 언어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식능력(認識能力:cognitive psychology)의 한 분야이며 우리가 인간언어의 구조를 밝히려고 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구조를 좀 더 깊이 이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른바 문법(文法:grammar)이라는 것은 언어학자가 언어구조를 분석해서 기술(記述)해 놓은 것을 이르기도 하지만 우리가 언어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서의 것을 이르기도 한다. 우리가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문법을 알고 있다는 것이 되는데, 언어지식으로서의 이 문법은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직접적인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하나의 가설(假設:hypothesis)을 가지고 언어능력을 설명하는데, 자연언어(自然言語)의 문법이라는 것은 일군(一群)의 언어규칙(言語規則:linguistic rule)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가 언어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언어규칙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규칙은 언어현상에 내재하여 언어현상을 설명하는 규칙을 말한다. 언어규칙은 실상 인간의 언어지식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假說的)인 것이지 그것이 바로 우리의 언어능력은 아니지만, 우리가 우리말에 대해 일군의 언어규칙을 알고 있다는 주장은 근거가 있는 것이다.
어린아이들이 자기의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이 이러한 사실을 암시하고 있는데, 국어의 부정소(否定素) '아니'를 처음으로 배워서 쓰기 시작하는 어린아이들이 다음과 같이 말을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15) a. 나 안 자
b. 엄마 안 와
c. 나 안 밥먹어
d. 엄마 안 서울 가
이 중에서 a, b는 제대로 된 말이지만 c, d는 틀린 말이다. 위의 문장들에서 부정소 '아니'는 대단히 규칙적으로 쓰이며, 모두 술부(述部)앞에 나타나고 있다. 그러다가 얼마 후에 어린아이들은 c, d가 잘못된 것임을 알고,
(16) a. 나 안 가
b. 엄마 안 와
c. 나 밥 안 먹어
c. 엄마 서울 안 가
와 같이 옳게 말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어린아이들의 부정소 '아니'의 삽입규칙이
"부정소 '아니'는 술부(述部) 앞에 넣는다."
로부터
"부정소 '아니'는 동사 앞에 넣는다."
로 수정·보완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 :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언어규칙을 발견하여 그것을 내면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우리가 언어능력을 가졌다는 것은 이러한 규칙들을 찾아내어 내면화한 것이며 이러한 규칙들이 언어지식, 언어능력을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언어학자의 임무는 이러한 내면화된 인간의 언어지식을 설명해 주는 언어규칙을 찾아내는 데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규칙의 형성, 수정, 내면화 과정은 무의식적이고 자율적으로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이고, 언어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식능력(認識能力:cognitive psychology)의 한 분야이며 우리가 인간언어의 구조를 밝히려고 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구조를 좀 더 깊이 이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추천자료
언어 능력 언어 수행
유아 언어와 의사소통능력
언어의 생득설과 습득설
[의사소통기능][의사소통능력]의사소통기능의 정의, 의사소통기능의 분류, 의사소통기능의 범...
육바라밀을 통한 유아의 인성교육과 언어(쓰기)능력 향상(언어)
가톨릭-언어지도-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구체적 활동
제 10 장 제 2 언어 습득 이론 요약입니다.^^
영유아의 언어발달 중 말하기 능력의 발달과정을 정리하고 영유아의 말하기를 돕기 위한 만2...
언어구조와 기능과 습득주의대해서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론 Canale과 Swain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
[자폐증]자폐증(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증상, 자폐증(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
[정신지체 특징] 정신지체 1급 - 정신지체 1급 특징, 정신지체 언어특성, 정신지체 인지능력,...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5-2. 둘째 마당. 2. 차근차근 알아보며 (718) (실제 언어활동...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언어 평가가 갖추어야 할 5가지 조건에 대해 서술하고, 이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