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어행위란 무엇인가?(서론)
2. 규칙
3. 명제
4. 의미
5. 약속을 하는 방법
6.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규칙들
2. 규칙
3. 명제
4. 의미
5. 약속을 하는 방법
6.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규칙들
본문내용
". "나는 A를 할 것을 약속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A를 할 것을 의도하는 데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임 조건은 그 발언이 진지하거나 진지하지 않거나 적용된다. 진지하지 않는 약속의 가능성을 포용하기 위하여 조건⑹을 화자는 A를 할 것을 의도한다로가 아니고 화자는 A를 하는 것을 의도하는 데 대한 책임을 진다로만 수정하여야 한다. 순환논법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겠다.
⑹ S는 T라는 발언이 S 자신을 A를 하는 데 대한 책임을 지우는 것으로 의도한다.
이렇게 수정됨으로써 (그리고 <진지하게> 라는 단어가 분석대상과 조건⑼로부터 삭제됨으로써), 우리의 분석은 약속이 진지한가 진지하지 않은가의 문제에 대해 중립적이게 된다.
6.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규칙들
다음의 과제는 위에서 든 일련의 조건들로부터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일련의 규칙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우리의 모든 조건들이 물론 이 과제를 위하여 동등하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조건 ⑴과 ⑻과 ⑼의 형식으로 된 조건들은 약속행위에만 적합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정상적인 비언표적 행위들에 적용된다. 약속행위에 대한 기능표식요소에 대한 규칙들은 조건들 ⑵-⑺에 대응하여 발견될 수 있다.
약속행위에 대한 기능표식요소 P에 있어서 그 사용의 의미론적 규칙들은
규칙 1. 어떤 문장의 발언은 화자 S의 어떤 미래의 행위 A를 서술한다. P는 그러한 문장의 장황에서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을 명제내용규칙이라 부른다. 이것은 명제내용조건들 ⑵와 ⑶으로부터 추출되었다.
규칙2. P는, 청자 H가 S의 A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S의 A를 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경우에만 발언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S는 H가 S를 A를 하지 않는 것보다 S의 A를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믿는다.
규칙 3. P는, S가 정상적인 과정에서 A를 한다는 것이 H와 S 그 자신에게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규칙들 ⑵와 ⑶을 준비규칙들이라 부른다. 이것들은 분비조건들 ⑷와 ⑸로부터 추출되었다.
규칙 4. P는, S가 A를 할 것을 의도하는 경우에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을 전지규칙이라 부른다. 이것은 전지규칙 ⑹에서 추출되었다.
규칙 5. P의 발언은 A를 하여야 하는 의무의 착수로서 간주된다. 나는 이것을 본질규칙이라 부른다.
이 분석이 약속의 경우를 넘어서 어떤 일반적 의미를 갖는다면 그 의미는 여기에서 이루어진 구분들이 다른 유형의 언어행위들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쉽게 보여지리리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지시를 내리는 경우를 생각하여 보자 준비조건은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상위적 난위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진지조건은 화자는 지시된 행위가 하여지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이 화자로 하여금 그 행위를 하게 하려는 시도라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주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보자. 그 준비조건은 화자가 그 주장된 명제가 참이라고 생각할 근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전지조건은 그 화자가 그 명제를 참이라고 믿어야 하는 것이다. 그 본질조건은 그 화자가 그 명제를 참이라고 믿어야 하는 것이다.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이 청자로 하여금 그 명제의 진리를 알게 하고 확신시키는 시도라는 사실과 관련된다. 인사를 하는 것은 더욱 단순한 종류의 언어행위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어떤 구분이 적용된다. "헬로 Hello"라는 발언 안에 어떤 명제적 내용이나 어떤 진지조건도 없다. 그러나 그 준비조건은 화자가 청자를 방금 만났다는 것이고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예의 바른 인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⑹ S는 T라는 발언이 S 자신을 A를 하는 데 대한 책임을 지우는 것으로 의도한다.
이렇게 수정됨으로써 (그리고 <진지하게> 라는 단어가 분석대상과 조건⑼로부터 삭제됨으로써), 우리의 분석은 약속이 진지한가 진지하지 않은가의 문제에 대해 중립적이게 된다.
6.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규칙들
다음의 과제는 위에서 든 일련의 조건들로부터 기능표식요소의 사용에 대한 일련의 규칙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우리의 모든 조건들이 물론 이 과제를 위하여 동등하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조건 ⑴과 ⑻과 ⑼의 형식으로 된 조건들은 약속행위에만 적합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정상적인 비언표적 행위들에 적용된다. 약속행위에 대한 기능표식요소에 대한 규칙들은 조건들 ⑵-⑺에 대응하여 발견될 수 있다.
약속행위에 대한 기능표식요소 P에 있어서 그 사용의 의미론적 규칙들은
규칙 1. 어떤 문장의 발언은 화자 S의 어떤 미래의 행위 A를 서술한다. P는 그러한 문장의 장황에서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을 명제내용규칙이라 부른다. 이것은 명제내용조건들 ⑵와 ⑶으로부터 추출되었다.
규칙2. P는, 청자 H가 S의 A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S의 A를 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경우에만 발언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S는 H가 S를 A를 하지 않는 것보다 S의 A를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믿는다.
규칙 3. P는, S가 정상적인 과정에서 A를 한다는 것이 H와 S 그 자신에게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규칙들 ⑵와 ⑶을 준비규칙들이라 부른다. 이것들은 분비조건들 ⑷와 ⑸로부터 추출되었다.
규칙 4. P는, S가 A를 할 것을 의도하는 경우에만, 발언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을 전지규칙이라 부른다. 이것은 전지규칙 ⑹에서 추출되었다.
규칙 5. P의 발언은 A를 하여야 하는 의무의 착수로서 간주된다. 나는 이것을 본질규칙이라 부른다.
이 분석이 약속의 경우를 넘어서 어떤 일반적 의미를 갖는다면 그 의미는 여기에서 이루어진 구분들이 다른 유형의 언어행위들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쉽게 보여지리리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지시를 내리는 경우를 생각하여 보자 준비조건은 화자가 청자에 대하여 상위적 난위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진지조건은 화자는 지시된 행위가 하여지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이 화자로 하여금 그 행위를 하게 하려는 시도라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주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보자. 그 준비조건은 화자가 그 주장된 명제가 참이라고 생각할 근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전지조건은 그 화자가 그 명제를 참이라고 믿어야 하는 것이다. 그 본질조건은 그 화자가 그 명제를 참이라고 믿어야 하는 것이다.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이 청자로 하여금 그 명제의 진리를 알게 하고 확신시키는 시도라는 사실과 관련된다. 인사를 하는 것은 더욱 단순한 종류의 언어행위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어떤 구분이 적용된다. "헬로 Hello"라는 발언 안에 어떤 명제적 내용이나 어떤 진지조건도 없다. 그러나 그 준비조건은 화자가 청자를 방금 만났다는 것이고 그 본질조건은 그 발언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예의 바른 인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광고 언어문화에 관하여
광고와 언어
페미니즘 언어학 - TV토론 프로그램 'SBS 토론 시시비비 43회 찬반, 외모 지상주의' 사례를 ...
이모티콘(통신언어) 분석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각각의 특징을 상호 비교하여 설명]
유아들의 바른 언어발달을 위해 부모들이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본인의 생각을...
무관련 언어 효과와 Hick-Hyman\'s Law
유아 언어의 발달적 특징
컴퓨터 통신언어
영유아시기에 언어지도 필요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지도하는게 좋을지 ...
[언어의 이해 E형] 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영유아의 언어발달
방통대 언어의 이해 B형 세계의 주요 문자 관련
만2세 언어발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