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 론 ---------------------------------- 2
1. 이론적 배경 -------------- ------------ 2
2.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한 문제제기 ----------- 3
Ⅱ. 본 론 ---------------------------------- 4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특성 ------------------- 4
2. 통신언어 분석 --------------------------- 5
3. 통신언어의 문제점 ------------------------ 8
4. 바른 통신언어 사용을 위한 대책(해결 방안) ----- 9
Ⅲ. 결 론 ----------------------------------11
Ⅰ. 서 론 ---------------------------------- 2
1. 이론적 배경 -------------- ------------ 2
2.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한 문제제기 ----------- 3
Ⅱ. 본 론 ---------------------------------- 4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특성 ------------------- 4
2. 통신언어 분석 --------------------------- 5
3. 통신언어의 문제점 ------------------------ 8
4. 바른 통신언어 사용을 위한 대책(해결 방안) ----- 9
Ⅲ. 결 론 ----------------------------------11
본문내용
알아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해 통신공간에서의 언어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기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진수, 『컴퓨터 통신언어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5, pp.17-19.
Ⅱ. 본 론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특성
1)통신언어의 정의
통신언어란 통신공간 인터넷공간, 채팅방, 사이버클럽, E-MAIL, 게시판 댓글등
속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통신공간 내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신조어로 주로 초등학생부터 20대 사이의 연령층이 사용하고 있으며 변형된 통신언어를 통신공간에 이어 일상생활에도 쓰는 언어도 통신언어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언어는 과도하게 축약된 음절이나 문자로 표현된 의미가 있는 언어 등을 말할 수 있다.
통신언어는 사회방언이라 할 수 있다. 각 지역마다 쓰이는 방언처럼 통신공간이라는 하나의 사회적 공간 안에서 그에 맞게 점차 변형되어 사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앞선 연구자들의 통신언어에 대한 개념정의를 살펴보면, 먼저 권연진(2000) 권연진,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언어과학>,제 7권 2호 , 한국언어과학회,2000
은 통신언어를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성문자를 총칭하며, 채팅언어, 도배언어, 네트워크 게임상의 게임언어, 전자 게시판 언어, 핸드폰 언어 등 컴퓨터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뿐만 아니라 문자 메시지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정복(2000)은 “통신언어란 컴퓨터 통신, 인터넷, 휴대전화에서 쓰이고 있는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를 포괄하여 말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박동근(2001)은 넓은 의미로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문자 언어”라고 설명하고, 좁은 의미로는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문자 언어로, 일반 언어의 음운 또는 형태적 변이형이나 통신상에서 만들어진 새말, 통신상에서 새롭게 의미가 부여된말, 또는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문체나 어법, 의사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기호를 포괄하는 것으로 최소한의 정형성을 갖고 있어야한다” 고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
2) 통신언어의 특성
(1)익명성
통신언어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익명성’을 들 수 있다. 익명성(匿名性)이란 지역 혈연적 결합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볼 때 사회통제가 미치지 않는 도시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중화 현상을 말한다. 인터넷이 발달 할수록 익명성으로 인한 언어폭력등과 같은 사회적문제가 심화 되면서 실명확인 절차와 같은제도를 두었지만 여전히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는 심각하다. 자신의 신원이 밝혀지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책임질 수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2)대중성
통신언어는 일반적으로 쓰는 언어보다 짧고 쉽기 때문에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쓰인다. 네티즌(netizen) 이라는 말이 있다. 네티즌이란 시티즌(citizen)과 네트워크(network)의 합성어로 정보 통신망이 제공 하는 새로운 공간에서 활동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합성어이다. 이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통신언어는 지역과 인종, 성별에 상관없이 현대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언어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통신언어의 대중성 의미가 더욱더 커지고 있다.
(3)개방성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여러 지역에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지역적, 인종적 차이를 초월해 통신언어를 통해 우리는 다른 나라 사람들과도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4)직접성, 순간적, 즉각성
(5)신속성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라는 표현보다 “하이루, 방가”라는 표 현이,“열심히 공부해”라는 표현보다 “열공”이라는 훨씬 짧은 표현을 통해서 우리는 자신의 뜻이나 의견을 빠르게 전달 할 수 있다.
(6)친교성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친교를 위함이 다. 우리는 의성어나 의태어 또는 많은 이모티콘(emoticon)이라고 불리는 기호를씀으로써 상대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 기분이 좋다는 것을 나타낼 때 낄낄,ㅋㅋㅋ,또는 (^.^) (*^^*)를 쓴다거나 기분이 나쁠 때는 ㅠㅠ,잉잉,(n-n)라고 쓰는 것이 그 예이다.
(7)비대면성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할 때에는 말하는 화자와 청자가 마주보고 직접 대면하는 반면에 통신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화자와 청자가 만나기 때문에 통신 용어는 비대면적이다.
(8)언어규범의 무시
인터넷이라는 공간은 현실공간보다 자유롭기 때문에 많이 언어규범이 무너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오늘 치과에 갔다 왔어” 를 통신 용어를 쓸 때는 “나 오널 치과에 가따와써”라고 쓰곤 한다.또한 ‘열심히 공부하다’를‘열공’으로 ‘강제퇴장’을‘강퇴’로줄여 쓰기도 한다. 또한 외래어나 비속어의 무분별한 남용으로 언어가 많이 훼손되기도 한다.
2. 통신언어 분석
1) 소리 나는 대로 표기
컴퓨터 통신의 특성 중 대표적인 특징중 하나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통신 언어를 쓸 때는 한글의 올바른 규정을 무시하고 많은 것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컴퓨터 통신은 구어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화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좋아, 반가워, 먹었어, 갔어, \' 등을 \'조아, 방가, 머거써, 가써\'로 표기 한다.
-모음들 사이의 대치
이렇게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 외에도 통신 언어에서는 모음들 사이의 대치가 나타나게 되었다. \'-ㅛ\'를 \'-ㅕ\'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안녕하세요’를 ‘안녕하세여’, ‘학교에 다녀왔어요’를 ‘학교에 다녀와써여’ 라고 쓰는 경우가 그 경우이다.
또 일상 언어에서 \'ㅗ\'를 \'ㅜ\'로 발음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좋고, 먹고, 갖고 싶어\' 등을 \'조쿠, 먹구, 갖구싶어\' 등으로 표기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런 맞춤법을 생각하지 않으려는 편의성과 상대방에게 친근감과 친밀감을 주려는 의도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했어’를‘해써’ 와 같이 강하게 발음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된소리 표기가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모음축약현상
Ⅱ. 본 론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특성
1)통신언어의 정의
통신언어란 통신공간 인터넷공간, 채팅방, 사이버클럽, E-MAIL, 게시판 댓글등
속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통신공간 내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신조어로 주로 초등학생부터 20대 사이의 연령층이 사용하고 있으며 변형된 통신언어를 통신공간에 이어 일상생활에도 쓰는 언어도 통신언어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언어는 과도하게 축약된 음절이나 문자로 표현된 의미가 있는 언어 등을 말할 수 있다.
통신언어는 사회방언이라 할 수 있다. 각 지역마다 쓰이는 방언처럼 통신공간이라는 하나의 사회적 공간 안에서 그에 맞게 점차 변형되어 사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앞선 연구자들의 통신언어에 대한 개념정의를 살펴보면, 먼저 권연진(2000) 권연진,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언어과학>,제 7권 2호 , 한국언어과학회,2000
은 통신언어를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성문자를 총칭하며, 채팅언어, 도배언어, 네트워크 게임상의 게임언어, 전자 게시판 언어, 핸드폰 언어 등 컴퓨터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뿐만 아니라 문자 메시지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정복(2000)은 “통신언어란 컴퓨터 통신, 인터넷, 휴대전화에서 쓰이고 있는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를 포괄하여 말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박동근(2001)은 넓은 의미로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문자 언어”라고 설명하고, 좁은 의미로는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문자 언어로, 일반 언어의 음운 또는 형태적 변이형이나 통신상에서 만들어진 새말, 통신상에서 새롭게 의미가 부여된말, 또는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문체나 어법, 의사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기호를 포괄하는 것으로 최소한의 정형성을 갖고 있어야한다” 고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
2) 통신언어의 특성
(1)익명성
통신언어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익명성’을 들 수 있다. 익명성(匿名性)이란 지역 혈연적 결합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볼 때 사회통제가 미치지 않는 도시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중화 현상을 말한다. 인터넷이 발달 할수록 익명성으로 인한 언어폭력등과 같은 사회적문제가 심화 되면서 실명확인 절차와 같은제도를 두었지만 여전히 익명성으로 인한 문제는 심각하다. 자신의 신원이 밝혀지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책임질 수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2)대중성
통신언어는 일반적으로 쓰는 언어보다 짧고 쉽기 때문에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쓰인다. 네티즌(netizen) 이라는 말이 있다. 네티즌이란 시티즌(citizen)과 네트워크(network)의 합성어로 정보 통신망이 제공 하는 새로운 공간에서 활동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합성어이다. 이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통신언어는 지역과 인종, 성별에 상관없이 현대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언어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통신언어의 대중성 의미가 더욱더 커지고 있다.
(3)개방성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여러 지역에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지역적, 인종적 차이를 초월해 통신언어를 통해 우리는 다른 나라 사람들과도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4)직접성, 순간적, 즉각성
(5)신속성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라는 표현보다 “하이루, 방가”라는 표 현이,“열심히 공부해”라는 표현보다 “열공”이라는 훨씬 짧은 표현을 통해서 우리는 자신의 뜻이나 의견을 빠르게 전달 할 수 있다.
(6)친교성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친교를 위함이 다. 우리는 의성어나 의태어 또는 많은 이모티콘(emoticon)이라고 불리는 기호를씀으로써 상대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 기분이 좋다는 것을 나타낼 때 낄낄,ㅋㅋㅋ,또는 (^.^) (*^^*)를 쓴다거나 기분이 나쁠 때는 ㅠㅠ,잉잉,(n-n)라고 쓰는 것이 그 예이다.
(7)비대면성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할 때에는 말하는 화자와 청자가 마주보고 직접 대면하는 반면에 통신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인터넷이라는 공간에서 화자와 청자가 만나기 때문에 통신 용어는 비대면적이다.
(8)언어규범의 무시
인터넷이라는 공간은 현실공간보다 자유롭기 때문에 많이 언어규범이 무너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오늘 치과에 갔다 왔어” 를 통신 용어를 쓸 때는 “나 오널 치과에 가따와써”라고 쓰곤 한다.또한 ‘열심히 공부하다’를‘열공’으로 ‘강제퇴장’을‘강퇴’로줄여 쓰기도 한다. 또한 외래어나 비속어의 무분별한 남용으로 언어가 많이 훼손되기도 한다.
2. 통신언어 분석
1) 소리 나는 대로 표기
컴퓨터 통신의 특성 중 대표적인 특징중 하나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통신 언어를 쓸 때는 한글의 올바른 규정을 무시하고 많은 것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컴퓨터 통신은 구어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화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좋아, 반가워, 먹었어, 갔어, \' 등을 \'조아, 방가, 머거써, 가써\'로 표기 한다.
-모음들 사이의 대치
이렇게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 외에도 통신 언어에서는 모음들 사이의 대치가 나타나게 되었다. \'-ㅛ\'를 \'-ㅕ\'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안녕하세요’를 ‘안녕하세여’, ‘학교에 다녀왔어요’를 ‘학교에 다녀와써여’ 라고 쓰는 경우가 그 경우이다.
또 일상 언어에서 \'ㅗ\'를 \'ㅜ\'로 발음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좋고, 먹고, 갖고 싶어\' 등을 \'조쿠, 먹구, 갖구싶어\' 등으로 표기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런 맞춤법을 생각하지 않으려는 편의성과 상대방에게 친근감과 친밀감을 주려는 의도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했어’를‘해써’ 와 같이 강하게 발음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된소리 표기가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모음축약현상
추천자료
컴퓨터 언어에 대한 연구
통신상의 언어사용에 관련된 문제
인터넷, 통신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제 견해
인터넷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
인터넷과 통신 언어의 긍정적인 측면
신세대 대상 이동통신 TV광고언어의 특징과 비교연구
통신 언어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인터넷 언어)
컴퓨터 교수학습 과정안 - 컴퓨터 통신의 개요 (PPT 포함입니다.)
무분별한 통신 언어
인터넷통신 언어에 대한 제언
[교육용 웹사이트][컴퓨터 보급사업][신경망 시뮬레이터][멀티미디어][통신망]교육용 웹사이...
[1990년대][포스트모더니즘][한국문학][소설문학][영화][PC통신]199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
컴퓨터 정보 통신 - Wireless LAN에 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