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시련- 왜란과 호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민족의 시련 - 왜란과 호란 >
1. 임진왜란의 발발

2. 의병항쟁과 이순신

3. 왜란의 영향

본문내용

손실을 입었다. 즉 경복궁과 불국사는 물론 각종 미술품과 홍문관의 장서, 사고(史庫)도 전주의 그것만 제외하고는 모두 불타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일부 무기도 개량되었다. 즉 이장손은 중국의 진천뢰(震天雷)를 개량하여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발명하여 이를 경주 탈환시에 사용하여 큰 효과를 보았으며, 변이중은 화차(火車)를 발명하여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함으로써 그 위력을 과시하기도 하였다. 사상적으로는 장기간에 걸친 전란으로 국민들 사이에는 애국심과 자아 반성이 일어났고, 왜에 대해서는 적개심 그리고 명에 대해서는 사대 사상이 증대되었다.
임진왜란은 일본과 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왜란에서 패하여 도요토미 가문은 몰락하고 대신 도쿠가와 가문이 대두하여 새로운 무인정권을 건설하게 된 것이다. 이 도쿠가와 막부와의 사이에는 그들의 수교 요청으로 선조 40년 이를 허락하였다. 일본은 전란 중에 조선의 도공(陶工)들을 납치해갔고 또 각종 서적과 활자 등 문화재를 약탈해 갔으므로, 이들이 일본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들이 탈취해 간 서적 중에는 『退溪集』·『東醫寶鑑』등도 있었는데. 이러한 서적은 일본의 학술 진흥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잡혀 간 도공들도 九州 지방에서 크게 활동함으로써 일본의 문화 발달에 기여하였던 것이다. 明은 군대를 파견하여 왜군을 물리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이에 따른 전쟁비용과 인명 피해가 막심하여 국력이 약화되었고 또한 국가 재정이 파탄 지경에 빠지게 되었는데, 이 기회를 틈타 한창 세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던 여진이 명을 멸망시키고 淸을 개창하게 되었던 것이다.
  • 가격9,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0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