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 복제 현황과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체 복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생명체 복제기술 어다까지 왔나?
2. 우리나라 생명체 복제기술 현황
3. 인간 복제 가능한가?
4. 생명체 복제와 윤리
5. 생명체 복제와 종교
6. 법률적 측면에서 본 인간 복제
7. 양 돌리를 통해 본 복제기술의 내용과 의의

결론

본문내용

용과 의의
어린 몸조각으로 그와 꼭 닮은 완전한 생명체의창조 포유류의 세포를 이용하여 완전한 생명체를 탄생시킨 이런 환상적인 일이 현실로 나타났다. 어류나 양서류거 아닌 사람과 같은 포유동물의 몸세포를 이용하여 그와 닮은 생명체를 만드는데 성공한 사실은 바로 사람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어른으로 다 자란 세포를 여린 여린 싹인 배(배)상태로 되돌려 새로운 생명체로 키우는 이 연구는 과거에는 철저히 불가능한 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양의 복제에서 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것으로 바꾸었다.
지난 3월에 돌리라는 이름의 복제양이 이목을 집중시킨바 있다. 이는 아빠가 없이 이미 성숙한 양의 세포로부터 복제된 분자생물학적인 양이었기 때문이다. 이 양을 복제한 사람은 스코틀랜드의 로슬린 연구소의 이언 윌머트박사로 이전까지는 세포하나를 이용하여 전체의 개체를 복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이론을 뒤엎은 획기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연구가 스스로도 그렇다고 수긍하였듯이 이 기술을 사람에게 적용한다는 것은 윤리적으로 허락되지 않는다. 즉 여성이 어떠한 남성의 도움없이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은 윤리적으로 허락되지 않는다. 즉 여성이 어떠한 남성의 도움없이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양의 복제에 사용하였던 실험방법을 살펴보면 이해를 할 수 있다. 우선 성숙한 양의 여러 가지 세포에서 모든 유전정보가 담겨져 있는 핵만을 분리하여 수정되지 않은 양의 난자에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물론 이때 난자속의 핵을 분리해서 없애야 하는데 현미경적인 방법으로 간단히 남자의 핵을 제거할 수 있었다. 이렇게 되면 정자와 수정을 하여서 자연적으로 완벽한 형태의 수정란과 동일한 완벽한 유전정보를 가진 수정란을 인위적인 조작으로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 다음에는 시험관 아기의 경우와 같이 대리모인 다른 양에게 착상시켜서 태생기동안 키우면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돌리는 태어났다. 이 돌리는 문자 그대로 다른 양과 똑같은 개체로서 장기이식을 할 때 거부반응을 신경 쓸 이유가 없는 doner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내 아이가 선천적인 유전병에 걸려서 태어났을 때 그 아이의 세포 하나를 떼어내어서 돌리에 복제하듯 유전자 결합이 없는 정상적인 아이를 복제한 다음 이 아이를 키울 수 있겠는가? 물론 먼저 아이는 버리고서 말이다. 무서운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이 기술이 그리 쉬운 것만은 아닌 것으로 다른 연구자들도 같은 방법을 동원하여서 꽤 많이 연구하였으나 살아있는 양을 출산시키지는 못하였다. 실제로 윌머트도 2백 77개의 세포핵을 이동시켜서 그 주에 겨우 하나의 성공을 이룬 것이다. 무척이나 지루하고 힘든 작업이었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성공하였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동물간에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며 지금까지 정상적으로 분류되던 동물들과는 달리 이상한 변종들이 나타나게 될 것이며, 대량생산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나와 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이 수십명씩 같은 하늘아래에서 살 수 있다는 말이다. 햇갈리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다. 결국 미국의 Clinton대통령은 이와같은 종류의 실험을 금지하는 법에 싸인을 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후진국에서 이러한 규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결 론
지금까지 생명체 복제기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모두 알아보았다. 생명 복제는 과학적인 진보를 가지고 오기 때문에 우리의 삶을 한차원 높여줄수도 있지만 생명윤리학적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으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생명체 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으로 과연 옳은 일인지 많은 시간을 두고서 우리 모두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