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3. 밀도의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이론
1) 밀도 측정
(1) 고체의 밀도 구하는 법
(2) 액체의 밀도 구하는 법
(3) 기체의 밀도 구하는 법
2) 여러 가지 밀도
3) 기체의 밀도 표시법
4) 비중

2. 실험방법
1) 액체의 밀도측정
2) 고체의 밀도측정

3. 실험장치
1) 비중측정기
2) 비중병

4. 결과 및 고찰
1) 실험 계산 및 결과
※ 액체의 밀도 측정
※ 고체의 밀도 측정
※ 밀도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치
2) 결과 고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구해보면 각 물질의 밀도와 값이 같다. 비중의 단위는 없다.
2. 실험방법
1) 액체의 밀도측정
비중병의 무게를 측정한다.

비중병에 측정하고자
하는 액체를 넣고 무게를 → 액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한다.

측정한 값으로 액체의 밀도를 구한다.
2) 고체의 밀도측정
비중병을 깨끗이 씻어 건조시킨 후 비중병의 무게를 재고 무게를 잰 비중병에 유리구를 적당량 넣어 무게를 측정한다.

유리구가 들어있는 비중병에 증류수를 채워 비중병 밖에 묻은 증류수를 닦은 후 무게를 측정한다.

유리구와 증류수를 모두 버리고 비중병을 깨끗이 씻은 후 증류수만을 채워 무게를 측정한다. 이 때 증류수가 흐르지 않게 조심한다.

유리구가 차지하는 부피를 구하고 사용한 유리 기구를 세척하여
측정한 값으로 유리구의 밀도를 → 건조기에 넣는다.
밀도를 구한다.
3. 실험장치
1) 비중측정기
Fig. 1 전자식 비중 측정기 (Density Meter)
고체의 비중 및 체적 변화를 확인 시 필수적 선택품인 고정밀 전자 비중계
물속에서 뜨는 성질의 물질도 비중측정이 가능
사용하는 환경에 맞추어 환경설정을 해주는 기능이 있는 비중계
고체비중 및 액체비중 모두 가능
0.0001 g/㎤ 의 고정밀 비중측정기
2) 비중병
Fig. 2 비중병
4. 결과 및 고찰
1) 실험 계산 및 결과
※ 액체의 밀도 측정
이론치 : 물 - 1.0
아세톤 - 0.79
※ 고체의 밀도 측정
증류수 무게 : 59.3453 - 41.2583 = 18.087
증류수 부피 :
유리구 부피 : 물 부피 - 증류수 부피 = 23.8 - 17.883 = 5.917
유리구 무게 : 41.2583 - 26.0802 = 15.1781
유리구 밀도 :
※ 밀도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치
유리구의 밀도(g/㎖) = 2.4652
공기 중에서의 유리구 무게(g) = 0.8167
수중에서의 유리구 무게(g) = 0.4857
2) 결과 고찰
이번 실험은 액체와 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물의 밀도는 1.0 이고 아세톤의 밀도는 0.79 이다. 데이터를 보면 실험치와 매우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밀도 측정 시 일반적인 부피 측정기구인 메스실린더나 비커를 사용하지 않고 비중병을 이용 하였는데 비중병을 사용하게 되면 비중병에는 마개가 있어서 과량이상의 부피를 넣은 후 마개를 닫아버리면 마개로 인해 더 들어간 만큼의 양이 넘쳐 나오게 되고 이를 이용해서 정확한 부피를 잴 수 있었다. 그래서 큰 오차가 없었던 것 같다.
비중병에 불순물이 약간이라도 남아 있을 경우에는 밀도에 큰 오차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비중병의 질량을 측정할 때에 비중병을 먼저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비중병의 질량을 측정 했다. 고체의 밀도측정은 유리구를 채워서 부피와 질량을 측정해서 같은 방법으로 밀도를 측정했다. 밀도측정기로 측정한 값과 거의 오차가 없이 측정되었다.
5. 참고문헌
* http://www.tgedu.net/student/jung_kwa/chemistry/study/c04_04.htm
* 네이버 검색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