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검사명
2. 대상자 소개(적응증)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절차
5. 검사 후 간호
<Further Study>
◈ 불임이란?
◈ 체외수정 (IVF = In Vitro Fertilization)
◈ 불임의 원인 및 진단
◈ 남성불임의 원인
◈ 정자로 인한 질환
◈ 여성불임의 원인
◈ 남성검사
◈ 여성 검사
2. 대상자 소개(적응증)
3. 검사 전 간호
4. 검사 절차
5. 검사 후 간호
<Further Study>
◈ 불임이란?
◈ 체외수정 (IVF = In Vitro Fertilization)
◈ 불임의 원인 및 진단
◈ 남성불임의 원인
◈ 정자로 인한 질환
◈ 여성불임의 원인
◈ 남성검사
◈ 여성 검사
본문내용
oospermia)- 정액내에 정자가 한 마리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비폐쇄성 무정자증(Non-obstructive Azoospermia )- 시상하부의 결함으로 인한 생식 호르몬의 결핍증, 남성호르몬불감증등. 정자형성과정의 결함 즉, 유전적인 원인, 그로인 한 정원세포의 부재 등...
* 폐쇄성 무정자증(Obstructive Azoospermia)- 부고환과 사정관의 비정상 즉, 감염에 의 한 관막힘, 수술적인 결함에 의한 관 막힘, 사정의 역행 등에 의한 원인
②기형정자증 (Teratozoopsermia)- 정자의 두부나 체부, 미부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③무력정자증 (Asthenozoopspermia)- 가운동성 정자가 50 % 미만인 경우
④Leukocytospermia - 감염이나 출혈로 인해 백혈구가 1 X 106/ml 이상 존재하는 경우
⑤Hematospermia - 감염이나 출혈로 인해 적혈구가 존재하는 경우
⑥정자감소증 (Oligozoospermia) - 정자의 수가 정액 1 ml 에 20 X 106 /ml 마리 이하인 경우
⑦정자과다증 (Polyzoopspermia) -정자의 수가 정액 1 ml 에 180 - 200 X 106 마리 이상 인 경우
⑧정액감소증 (Hypospermia)-정액의 볼륨이 2 ml 이하인 경우
⑨정액과다증 (Hyperspermia)- 정액의 볼륨이 6 ml 이상인 경우
◈ 여성불임의 원인
①배란결여 (Anovulation) -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②난관수종, 난관유수증(Hydrosalpinx)-난관에 물같은 장액이 저류하는 것으로, 난관농양의 후기에 생긴다
③우 혹은 좌측난관 (Right or Left Tubal Obstruction) - 우 혹은 좌 측 나팔관이 막힌 경 우
④양측난관 (Bilateral tubal obstruction) 양측 나팔관이 막힌 경우
⑤우 혹은 좌난관 절제술 (Right or Left salpingectomy )- 우 혹은 좌 측 나팔관을 절제 한 경우
⑥양측 난관절제술 ( Bilateral salpingectomy) - 양측 나팔관을 절제한 경우
⑦난관결찰술 (Tubal ligation) - 양측 나팔관을 결찰한 경우
⑧난소적출술 (Oophorectomy, ovariectomy) - 종양등에 의해 난소를 제거한 경우
⑨자궁유착 (pelvic adhesiolysis)- 자궁 주위 조직과의 유착이 있는 경우
⑩자궁근종 (Myoma uterus ) - 자궁에 존재하는 근육조직에 발생하는 종양이 있는 경우
⑪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 자궁내막 (점막)과 완전히 유사한 조직이 골반강내의 여러 장소에서 이상하게 발생하는 경우
◈ 남성검사
- 남성의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여성의 검사는 시간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검사의 가 질수도 많기 때문에 불임의 원인을 진단하는데 남성이 먼저 검사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또한 결핵등으로 인한 사정관 폐쇄등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과거의 병력을 밝히는 것이 중 요하다.
- 문진
- 정액검사 컴퓨터자동정자분석기(CASA = Computer Analysis Sperm Assay)를 이용
- 정자의 농도, 운동성 및 형태 분석을 컴퓨터와 영상매체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면 역 비드 검사 (IBT = ImmunoBead Test)
- 정자표면에 항체의 존재 진단
- 혈중 호르몬 검사
- 고환의 조직검사
- 정자통로 검사 - 정낭정관 X선 검사 (비뇨기과)
- 정낭정관 내시경 검사 (비뇨기과)
- 경직장 초음파 검사 (비뇨기과)시정관 정낭 전립선의 상태를 마치 저배율의 현미경으 로 관찰하듯이 정확하게 진단
- 칼라도플러 혈류 측정술 (비뇨기과)
- 남성 불임증의 원인의 39%에 해당하는 정계정맥류의 진단 불현성 정계정맥류 진단
- 정액의 적합성 검사 정액에 대한 알레르기성 검사와 질과 자궁경내에 사정된 정자의 지구성과 활동성 검사
◈ 여성 검사
- 문진
- 혈중 호르몬 검사
- 골반 상태와 자궁, 난소의 이상유무 점검
- 월경주기 파악
- 배란일 검사 자연임신 시도
- 골반 진단 복강경 혹은 자궁내시경 검사
- 난관이나 나팔관의 비정상적인 형태, 뱃속의 유착, 자궁내막증 유무 점검
- 원인에 따른 치료와 임신을 위한 시술
- 과거의 유산 경험이나 임신 경험이 불임을 야기시킬수 있으므로 숨기지 않는 것이 중 요. 그외 과거의 병력 등을 자세히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폐쇄성 무정자증(Non-obstructive Azoospermia )- 시상하부의 결함으로 인한 생식 호르몬의 결핍증, 남성호르몬불감증등. 정자형성과정의 결함 즉, 유전적인 원인, 그로인 한 정원세포의 부재 등...
* 폐쇄성 무정자증(Obstructive Azoospermia)- 부고환과 사정관의 비정상 즉, 감염에 의 한 관막힘, 수술적인 결함에 의한 관 막힘, 사정의 역행 등에 의한 원인
②기형정자증 (Teratozoopsermia)- 정자의 두부나 체부, 미부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③무력정자증 (Asthenozoopspermia)- 가운동성 정자가 50 % 미만인 경우
④Leukocytospermia - 감염이나 출혈로 인해 백혈구가 1 X 106/ml 이상 존재하는 경우
⑤Hematospermia - 감염이나 출혈로 인해 적혈구가 존재하는 경우
⑥정자감소증 (Oligozoospermia) - 정자의 수가 정액 1 ml 에 20 X 106 /ml 마리 이하인 경우
⑦정자과다증 (Polyzoopspermia) -정자의 수가 정액 1 ml 에 180 - 200 X 106 마리 이상 인 경우
⑧정액감소증 (Hypospermia)-정액의 볼륨이 2 ml 이하인 경우
⑨정액과다증 (Hyperspermia)- 정액의 볼륨이 6 ml 이상인 경우
◈ 여성불임의 원인
①배란결여 (Anovulation) -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②난관수종, 난관유수증(Hydrosalpinx)-난관에 물같은 장액이 저류하는 것으로, 난관농양의 후기에 생긴다
③우 혹은 좌측난관 (Right or Left Tubal Obstruction) - 우 혹은 좌 측 나팔관이 막힌 경 우
④양측난관 (Bilateral tubal obstruction) 양측 나팔관이 막힌 경우
⑤우 혹은 좌난관 절제술 (Right or Left salpingectomy )- 우 혹은 좌 측 나팔관을 절제 한 경우
⑥양측 난관절제술 ( Bilateral salpingectomy) - 양측 나팔관을 절제한 경우
⑦난관결찰술 (Tubal ligation) - 양측 나팔관을 결찰한 경우
⑧난소적출술 (Oophorectomy, ovariectomy) - 종양등에 의해 난소를 제거한 경우
⑨자궁유착 (pelvic adhesiolysis)- 자궁 주위 조직과의 유착이 있는 경우
⑩자궁근종 (Myoma uterus ) - 자궁에 존재하는 근육조직에 발생하는 종양이 있는 경우
⑪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 자궁내막 (점막)과 완전히 유사한 조직이 골반강내의 여러 장소에서 이상하게 발생하는 경우
◈ 남성검사
- 남성의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여성의 검사는 시간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검사의 가 질수도 많기 때문에 불임의 원인을 진단하는데 남성이 먼저 검사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또한 결핵등으로 인한 사정관 폐쇄등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과거의 병력을 밝히는 것이 중 요하다.
- 문진
- 정액검사 컴퓨터자동정자분석기(CASA = Computer Analysis Sperm Assay)를 이용
- 정자의 농도, 운동성 및 형태 분석을 컴퓨터와 영상매체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면 역 비드 검사 (IBT = ImmunoBead Test)
- 정자표면에 항체의 존재 진단
- 혈중 호르몬 검사
- 고환의 조직검사
- 정자통로 검사 - 정낭정관 X선 검사 (비뇨기과)
- 정낭정관 내시경 검사 (비뇨기과)
- 경직장 초음파 검사 (비뇨기과)시정관 정낭 전립선의 상태를 마치 저배율의 현미경으 로 관찰하듯이 정확하게 진단
- 칼라도플러 혈류 측정술 (비뇨기과)
- 남성 불임증의 원인의 39%에 해당하는 정계정맥류의 진단 불현성 정계정맥류 진단
- 정액의 적합성 검사 정액에 대한 알레르기성 검사와 질과 자궁경내에 사정된 정자의 지구성과 활동성 검사
◈ 여성 검사
- 문진
- 혈중 호르몬 검사
- 골반 상태와 자궁, 난소의 이상유무 점검
- 월경주기 파악
- 배란일 검사 자연임신 시도
- 골반 진단 복강경 혹은 자궁내시경 검사
- 난관이나 나팔관의 비정상적인 형태, 뱃속의 유착, 자궁내막증 유무 점검
- 원인에 따른 치료와 임신을 위한 시술
- 과거의 유산 경험이나 임신 경험이 불임을 야기시킬수 있으므로 숨기지 않는 것이 중 요. 그외 과거의 병력 등을 자세히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