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공이란 무엇인가?
2. 기공의 구성
3. 기공복합체의 특징
4. 공변세포의 두 가지 기본 유형
5. 공변 세포벽의 특징
6. 기공의 개폐
7. 기공 개폐 조절하는 외부 환경
2. 기공의 구성
3. 기공복합체의 특징
4. 공변세포의 두 가지 기본 유형
5. 공변 세포벽의 특징
6. 기공의 개폐
7. 기공 개폐 조절하는 외부 환경
본문내용
출
⑦ 팽압 낮아져 기공 닫힘
⇒ 공변 세포내 K+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켜 기공 닫음 열림의 역기작
7. 기공 개폐 조절하는 외부 환경
1) CO2 농도
① 낮은 CO2와 빛의 조합 : 기공의 열림을 촉진
② 높은 CO2는 빛의 조합 : 매우 빠르게 기공을 닫음
※ 고농도의 CO2 처리로 기공이 닫히게 되면 CO2가 없는 공기 처리로는 열리지 않는다. 이는 닫힌 공변세포가 기공의 내실에 있는 고농도의 CO2 와 평형 상태에 있기 때문
(기공의 열림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기가 아니라 기공 내실의 CO2농도이다.)
2) 빛
보통 새벽녘에 기공 열리는 것과 고농도의 CO2로 닫힌 기공도 광조건에서 서서히 열리는 현상
① 청색광 효과
- 기공은 열림을 촉진하는 적색과 청색광 중 청색광에 더 민감
- 광량이 광합성을 진행하기에 낮은 상태인 새벽과 해질녘에 기공 열림은 청색광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기공이 청색광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
3) 수분 상태
① 수동성 수압 닫힘
수분 유실 속도가 유입되는 속도보다 큰 경우 공변세포의 팽압 감소로 기공이 닫히게 됨
② 능동성 수압 닫힘
- 수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다.
- 잎의 수분 부족에 의해 시작된다.
- 수분 스트레스 시 저장되어 있던 소량의 ABA가 apoplast로 방출되어 공변 세포로 수송되면 일차적 방어선으로 닫힘이 시작되고, ABA합성이 증가되어 닫힌 상태를 지속
ABA는 잎의 정상적인 구성 성분인 엽육 세포에서 낮은 속도로 합성 되어 엽록체에 축적되어 기공 닫힘을 촉진하여 증산에 의한 수분 손실 감소 능력으로 인해 증산 억제제 로 여겨진다
⑦ 팽압 낮아져 기공 닫힘
⇒ 공변 세포내 K+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켜 기공 닫음 열림의 역기작
7. 기공 개폐 조절하는 외부 환경
1) CO2 농도
① 낮은 CO2와 빛의 조합 : 기공의 열림을 촉진
② 높은 CO2는 빛의 조합 : 매우 빠르게 기공을 닫음
※ 고농도의 CO2 처리로 기공이 닫히게 되면 CO2가 없는 공기 처리로는 열리지 않는다. 이는 닫힌 공변세포가 기공의 내실에 있는 고농도의 CO2 와 평형 상태에 있기 때문
(기공의 열림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기가 아니라 기공 내실의 CO2농도이다.)
2) 빛
보통 새벽녘에 기공 열리는 것과 고농도의 CO2로 닫힌 기공도 광조건에서 서서히 열리는 현상
① 청색광 효과
- 기공은 열림을 촉진하는 적색과 청색광 중 청색광에 더 민감
- 광량이 광합성을 진행하기에 낮은 상태인 새벽과 해질녘에 기공 열림은 청색광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기공이 청색광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
3) 수분 상태
① 수동성 수압 닫힘
수분 유실 속도가 유입되는 속도보다 큰 경우 공변세포의 팽압 감소로 기공이 닫히게 됨
② 능동성 수압 닫힘
- 수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다.
- 잎의 수분 부족에 의해 시작된다.
- 수분 스트레스 시 저장되어 있던 소량의 ABA가 apoplast로 방출되어 공변 세포로 수송되면 일차적 방어선으로 닫힘이 시작되고, ABA합성이 증가되어 닫힌 상태를 지속
ABA는 잎의 정상적인 구성 성분인 엽육 세포에서 낮은 속도로 합성 되어 엽록체에 축적되어 기공 닫힘을 촉진하여 증산에 의한 수분 손실 감소 능력으로 인해 증산 억제제 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