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종석의 배치
2. 조종 장치의 사례
2. 조종 장치의 사례
본문내용
타력이 된다. 이 부분은 트림으로 상쇄시키지만, 좌우 같은 양으로 서로 누르는 돌장하중만 남는다. 이 하중에 의해 마찰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고 강성이 낮으면 부재가 변형을 하게 되고 조종면의 위치가 바뀌고 만다.
동장하중은 양력이 증가하면 크게 되고, 상승 조작을 하면 g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또한, 속도가 증가해도 뒷전의 풍압이 증가하므로 하중은 증가한다. 익형을 조절해도 하중을 0으로 할 수 없다.
원칙적으로 돌장하중은 날개의 중앙에서 서로 상쇄시키도록 하고, 케이블이 끊어져도 한쪽 날개만은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하중 때문에 보조날개는 다른 조종 면보다 굵은 케이블을 사용하고 초기 장력을 크게 해야 한다. 이러한 결점은 조종봉과 아이들 암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동장하중은 양력이 증가하면 크게 되고, 상승 조작을 하면 g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또한, 속도가 증가해도 뒷전의 풍압이 증가하므로 하중은 증가한다. 익형을 조절해도 하중을 0으로 할 수 없다.
원칙적으로 돌장하중은 날개의 중앙에서 서로 상쇄시키도록 하고, 케이블이 끊어져도 한쪽 날개만은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하중 때문에 보조날개는 다른 조종 면보다 굵은 케이블을 사용하고 초기 장력을 크게 해야 한다. 이러한 결점은 조종봉과 아이들 암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