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 개발 및 지원정책
1) 특정지역 개발
2) 광역권 개발
3) 개발촉진지구 개발(토지관리 및 지역균형개발특별회계)
4) 도서개발사업
5) 오지개발사업
6) 농어촌정주권사업
7) 폐광지역개발사업
8)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
9) 접경지역지원책
10) 발전소주변지역지원
2. 지역규제정책
1) 과밀지역에 대한 규제정책
2) 환경 보호 측면에 관한 규제정책
3) 안보ㆍ군사 측면에 대한 규제정책
3.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책
① 부산광역시
② 울산광역시
③ 강원도
④ 경상남도
⑤ 제주도
⑥ 전라남도
⑦ 경기도
4. 지역정책(법)에 내재된 문제점 및 효과
(1) 지역지원정책측면
(2) 지역규제정책측면
1) 특정지역 개발
2) 광역권 개발
3) 개발촉진지구 개발(토지관리 및 지역균형개발특별회계)
4) 도서개발사업
5) 오지개발사업
6) 농어촌정주권사업
7) 폐광지역개발사업
8)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
9) 접경지역지원책
10) 발전소주변지역지원
2. 지역규제정책
1) 과밀지역에 대한 규제정책
2) 환경 보호 측면에 관한 규제정책
3) 안보ㆍ군사 측면에 대한 규제정책
3.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책
① 부산광역시
② 울산광역시
③ 강원도
④ 경상남도
⑤ 제주도
⑥ 전라남도
⑦ 경기도
4. 지역정책(법)에 내재된 문제점 및 효과
(1) 지역지원정책측면
(2) 지역규제정책측면
본문내용
을 두고 계획한 것이다. 하지만 법 제정 이전 대책안에 대한 공청회에서 주민들과 정부의 의견은 첨예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었는데 수변구역 설정이 지가하락에 의한 재산상 손실을 초래하며 국공유림이 보안림으로 지정되면 국공유림의 불하가 불가능하여 이를 이용한 지역개발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오염총량관리제의 도입으로 시·군별로 허용오염총량이 할당되므로 추가적인 지역개발이 불가능하게 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대립이나 불만에도 불구하고 법은 국회에서 통과되었고 현재 시행일(2003년 1월 1일부터 시행) 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⑤ 군사시설보호법
법이 제정된 후 군사시설 주변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 및 발달이 느려지게 되고 이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의 법개정을 통해서 군사시설보호구역을 해제했다. 하지만 해제 후에도 군 당국은 그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에서 해제됐다 하더라도 군사시설물이 있을 경우 건축허가 시 관할부대와 반드시 사전 협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워 지방자치단체와 군 당국간에 상반된 의견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정부는 군사시설에 대한 정확한 현황과 상태, 소속지역 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법의 규제범위를 다시 지정하여 군 당국과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의 갈등을 줄이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지역간 격차 해소 및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부처별로 분할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따라서 관련계획간의 수평적인 연계성이나 수직적 위계가 없는 상태로 병렬 분산되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각 정책이나 법에 해당하는 지구선정에 있어서 그 선정 기준이 모호하고 일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지역정책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는 점이 각 정책의 공통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정책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법안(별첨1, 2)을 검토해 보면 그 실효성이 의심되는 부분이 있는데 즉, 각각의 법이 추구하는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이에 대한 제재 여부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법 제정 당시부터 실효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더 나아가 이에 기반을 둔 정책의 효과적 측면까지 불투명하게 하고 있다.
★ 참고 문헌 ★
지역개발론 / 김용웅 / 법문사 / 1999
지역개발론 - 이론과 정책 / 박종화,윤대식,이종열 공저 / 박영사 / 1995
정치지리학 p.131~142
청주지리 제15호 / '접경지역 지원법의 운용과 지원효과의 한계 - 김재한' /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2000년 12월
대한민국 신 법전 / 2002년 / 이택규편 / 법률신문사
국토 / 2002.5월 / 국토연구원 / 특집 :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 지방발전과 지역균형개발
국토개발연구원 국토포럼 기고문 - 위기에 직면한 폐광지역 개발 (99년 1월)
원자력산업 / 2002.4월, 통권230호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2001년 원자력발전소 운영현황과 실적
국토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건설교통부 / 2001년
합리적 농촌지역정책 추진을 위한 지역선정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논문) / 송두범, 손은숙, 김남선
지역발전을 위한 지원실태와 정책과제 / 양지청 / 국토연구원 / 국토연2001-58 / 2001 /
국무총리실 : http://www.opm.go.kr/home/
한계레 신문 : http://www.hani.co.kr/
조선일보 : http://www.chosun.com/metro/ - 수도권, 전국 섹션
중앙일보 : http://www.joins.com/general/series/1014a_sr.html - 지역/'지방을 살리자'
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 폐광지역 관련기사 www.kado.net
법제처 : http://www.moleg.go.kr/ - 지역정책과 관련된 법안 검토
건설교통부 :
http://www.moct.go.kr/DataCenter/StatisticData/00sta/statlist.html - 건설교통통계연보
http://www.moct.go.kr/DH/mct_hpg/mcthpg_gp/mcthpg_gp.html
- 건설교통부 국토정책국(국토건설종합계획)
http://www.moct.go.kr/DataCenter/PublicData/publicdata.php3?task=search&board=PublicData&HOMEPAGENAME=1008000&DEPT=&titlesearch=yes&contentsearch=yes&search=%B0%B3%B9%DF%C1%A6%C7%D1%B1%B8%BF%AA&x=35&y=20 - 개발제한구역
국토연구원 정기간행물 국토
http://mercury.krihs.re.kr:4210/magazine/default.asp?txtMag=G
지역정책연구소 : wwwk.dongguk.ac.kr/~rpi/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http://www.kaif.or.kr/
농림부 농촌개발국 : http://www.maf.go.kr/html/mains/depart.asp
행정자치부 지방자치정보 - 지역개발 : http://www.mogaha.go.kr/korean/index.html
행정자치부 통합자료실 보도자료
- 접경지역 : http://www.mogaha.go.kr/korean/index.html
행정자치부 최근정책동향 보도자료
- 폐광지역 : http://www.mocie.go.kr/news/paper/view.asp?num=2368
각 지방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13개 단체
수도권규제관련주요현안사항 / 이은숙 / 경기도청 / 2002 /
2002년 주요업무 100선 / 김상국 / 경기도 / 2002 /
2002년 도정업무계획
2002년 주요추진사업현황 / 김영태 / 경기도 / 2002 /
2002년 공무원연찬회교재(민선3기방향) / 유현수 / 경기도 / 2002 /
- 개발제한구역 정책방향에 대한 의견
⑤ 군사시설보호법
법이 제정된 후 군사시설 주변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 및 발달이 느려지게 되고 이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의 법개정을 통해서 군사시설보호구역을 해제했다. 하지만 해제 후에도 군 당국은 그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에서 해제됐다 하더라도 군사시설물이 있을 경우 건축허가 시 관할부대와 반드시 사전 협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워 지방자치단체와 군 당국간에 상반된 의견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정부는 군사시설에 대한 정확한 현황과 상태, 소속지역 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법의 규제범위를 다시 지정하여 군 당국과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의 갈등을 줄이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지역간 격차 해소 및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부처별로 분할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따라서 관련계획간의 수평적인 연계성이나 수직적 위계가 없는 상태로 병렬 분산되어 시행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각 정책이나 법에 해당하는 지구선정에 있어서 그 선정 기준이 모호하고 일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지역정책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는 점이 각 정책의 공통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정책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법안(별첨1, 2)을 검토해 보면 그 실효성이 의심되는 부분이 있는데 즉, 각각의 법이 추구하는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이에 대한 제재 여부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법 제정 당시부터 실효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더 나아가 이에 기반을 둔 정책의 효과적 측면까지 불투명하게 하고 있다.
★ 참고 문헌 ★
지역개발론 / 김용웅 / 법문사 / 1999
지역개발론 - 이론과 정책 / 박종화,윤대식,이종열 공저 / 박영사 / 1995
정치지리학 p.131~142
청주지리 제15호 / '접경지역 지원법의 운용과 지원효과의 한계 - 김재한' / 청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2000년 12월
대한민국 신 법전 / 2002년 / 이택규편 / 법률신문사
국토 / 2002.5월 / 국토연구원 / 특집 :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 지방발전과 지역균형개발
국토개발연구원 국토포럼 기고문 - 위기에 직면한 폐광지역 개발 (99년 1월)
원자력산업 / 2002.4월, 통권230호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2001년 원자력발전소 운영현황과 실적
국토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건설교통부 / 2001년
합리적 농촌지역정책 추진을 위한 지역선정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논문) / 송두범, 손은숙, 김남선
지역발전을 위한 지원실태와 정책과제 / 양지청 / 국토연구원 / 국토연2001-58 / 2001 /
국무총리실 : http://www.opm.go.kr/home/
한계레 신문 : http://www.hani.co.kr/
조선일보 : http://www.chosun.com/metro/ - 수도권, 전국 섹션
중앙일보 : http://www.joins.com/general/series/1014a_sr.html - 지역/'지방을 살리자'
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 폐광지역 관련기사 www.kado.net
법제처 : http://www.moleg.go.kr/ - 지역정책과 관련된 법안 검토
건설교통부 :
http://www.moct.go.kr/DataCenter/StatisticData/00sta/statlist.html - 건설교통통계연보
http://www.moct.go.kr/DH/mct_hpg/mcthpg_gp/mcthpg_gp.html
- 건설교통부 국토정책국(국토건설종합계획)
http://www.moct.go.kr/DataCenter/PublicData/publicdata.php3?task=search&board=PublicData&HOMEPAGENAME=1008000&DEPT=&titlesearch=yes&contentsearch=yes&search=%B0%B3%B9%DF%C1%A6%C7%D1%B1%B8%BF%AA&x=35&y=20 - 개발제한구역
국토연구원 정기간행물 국토
http://mercury.krihs.re.kr:4210/magazine/default.asp?txtMag=G
지역정책연구소 : wwwk.dongguk.ac.kr/~rpi/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http://www.kaif.or.kr/
농림부 농촌개발국 : http://www.maf.go.kr/html/mains/depart.asp
행정자치부 지방자치정보 - 지역개발 : http://www.mogaha.go.kr/korean/index.html
행정자치부 통합자료실 보도자료
- 접경지역 : http://www.mogaha.go.kr/korean/index.html
행정자치부 최근정책동향 보도자료
- 폐광지역 : http://www.mocie.go.kr/news/paper/view.asp?num=2368
각 지방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13개 단체
수도권규제관련주요현안사항 / 이은숙 / 경기도청 / 2002 /
2002년 주요업무 100선 / 김상국 / 경기도 / 2002 /
2002년 도정업무계획
2002년 주요추진사업현황 / 김영태 / 경기도 / 2002 /
2002년 공무원연찬회교재(민선3기방향) / 유현수 / 경기도 / 2002 /
- 개발제한구역 정책방향에 대한 의견
추천자료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 사업
금융환경의 변화와 지역금융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사회문제] 지역간 불균형 발전의 원인과 현황 분석 및 해결책 제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에 관한 조사 및 기관방문(수서중학교) 보고서
한국경제론,지역경제발전 방향과 과제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에서 장애아보육을 실시한다고 할 때, 교사가 근무하시는 기관과 연계하...
수강생 거주지역의 아동학대와 관련된 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방지, 지원 정책체계에 대하여 ...
[지역사회교육론 - 4학년공통]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교육 부문에서 지역의 발전을 위해 ...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 관련 실천 프로그램 5개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장단점, 프로그...
[1980년대][금융탈규제][경제상황]1980년대의 금융탈규제, 1980년대의 경제상황, 1980년대의 ...
[방송사, 지역방송사, 공영방송사, 민영방송사, 지상파방송사, 외국방송사, 지역, 공영, 민영...
지역사회의 다문화 가족이 겪는 어려움 및 이를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대처방안은 무엇이 있...
아동복지론-우리나라에서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어떠한 정책을 지원해 주고 있는지,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현황, 지역아동센터 사업 내용, 지역아동센터 개선방안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