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반 원리는 전이 가치가 높고 활용범위가 넓음
탐구학습 및 방법의 반영도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됨.
발견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探究方法의 전이가치가 높기 때문에
기본개념과 일반원리가 탐구학습에 가장 적당함
학생에의 타당성
o 학생들의 능력, 흥미, 필요에 맞도록
o 학생의 능력이나 흥미 또는 필요에 맞는 교수학습경험을 선정하는 방법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의 범위 내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경험을 선정하는 것
기본개념이나 원리를 미리 정해 놓고 학생들의 능력이나 흥미에 맞는 학습경험으로 바꾸는 일
교수학습 경험의 조직
* 수직적 조직
-->선정된 경험들을 종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조직하는 것, 계속성과 계열성 원리
* 수평적 조직
-->선정된 경험들을 횡적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조직하는 것, 통합성과 범위의 원리
繼續性의 원리
o 계속적인 반복학습
o 인지적 영역 < 기능적 영역 < 정의적 영역
(지식교육) (기술교육) (태도, 가치관)
系列性의 원리
o 수직적 조직과 관련되나 계속성을 초월한 개념
o 경험 조직의 계열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구체적인 개념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친숙한 것에서 생소한 것으로
--부분에서 전체적인 것으로
--事象의 역사적 발생 순서대로
--교과의 논리적 구조와 학생의 심리적 발달에 따라
o 경험의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학습의 심화와 확충을 강조하는 개념
o J. S. Bruner: 螺旋的 組織
統合性의 원리
o 횡적 조직 원리
o 단편적 지식의 나열보다는 통합된 교수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에 관심
o 선정된 경험들은 수평적 관계에서 서로가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함
範圍의 원리
o 선정된 경험의 폭과 깊이에 관련됨.
o 폭이 넓어질수록 깊이는 얕아지고,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은 좁아질 수밖에 없다.-->폭과 깊이의 딜레마
교수ㆍ학습 과정
o 敎授學習課程은 실제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 상황이고, 교육과정 중 절정을 이루는 단계
o 특정한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갖게되는 구체적인 학습경험 여하가 학습 내용과 성격 및 질을 결정해 준다.
o 교수학습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
학생: 학생의 발달단계,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 기능, 흥미, 가치, 동기, 지능 등
교사: 성격, 교육배경, 지식수준, 가치관, 교육적 태도, 목표 의식, 교수방법과 기술 등
목표와 내용: 일반목표와 특수목표, 지적이고 정의적인 목표, 내용의 종류 및 구조, 조직 방식 여하
교수조건: 학습자료의 양과 질, 교구, 시설, 학급조직방식, 장학체제 등
학교 및 학급분위기: 교직원의 인간관계, 지배적인 행동양식, 학생집단문화, 학교의 전통 등
교수ㆍ학습 결과의 평가
o 마지막 단계에 해당
교육의 과정 각 단계의 평가
--교육목표 설정, 경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과정, 결과의 평가 자체에 대한 평가이다.
--계속적인 평가의 과정을 통해서 교육의 과정 각 단계들은 수정되고, 보완되어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된다.
학업성취 평가
① 진단평가--선수학습정도 확인, 진단(수업 시작 시초)
② 형성평가--교육목표 달성 정도 점검(수업과정 중)
③ 총괄평가--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교수학습과정이 끝난 후)
o 평가도구의 유효도
① 타당도: 평가하려고 하는 것을 어느 정도 충실히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
② 신뢰도: 실제능력과 평가된 능력 사이의 일치 정도
③ 객관도: 평가 결과가 평가자에 따라 어느 정도 일치하는 정도
교육의 과정 각 단계간의 관계
循環的 一貫性의 관계
o 목표설정-->경험선정-->경험조직-->교수학습과정-->결과평가-->다시 목표설정
o 이런 순환적 관계에서 본 실제 교육 문제에 대한 예들
--① 교육목표와 관련 없이 경험을 선정 조직하는 일
--② 교육목표에 대한 특별한 고려 없이 하나의 교과서를 채택하는 일
--③ 교수학습경험의 성격과는 무관한 교수학습 방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일
--④ 교육목표에 대한 타당성의 고려 없이 학생들을 평가하는 일
--⑤ 평가의 결과를 새로운 교육적 사고에 적용하지 않는 일
相互作用的 관계
교육목표는 교수학습 경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과정, 평가활동에 계속적인 작용을 하는 한편, + 평가 결과에 따라 교육목표가 수정 보완되기도 함
선정 조직된 경험의 성격이 교수학습 방법의 구상에 영향을 주며 평가방식에도 변화를 줌.
교수학습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교수학습경험을 결정하기 어렵다.
--교재 58쪽 그림 참조
탐구학습 및 방법의 반영도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됨.
발견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探究方法의 전이가치가 높기 때문에
기본개념과 일반원리가 탐구학습에 가장 적당함
학생에의 타당성
o 학생들의 능력, 흥미, 필요에 맞도록
o 학생의 능력이나 흥미 또는 필요에 맞는 교수학습경험을 선정하는 방법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의 범위 내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경험을 선정하는 것
기본개념이나 원리를 미리 정해 놓고 학생들의 능력이나 흥미에 맞는 학습경험으로 바꾸는 일
교수학습 경험의 조직
* 수직적 조직
-->선정된 경험들을 종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조직하는 것, 계속성과 계열성 원리
* 수평적 조직
-->선정된 경험들을 횡적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조직하는 것, 통합성과 범위의 원리
繼續性의 원리
o 계속적인 반복학습
o 인지적 영역 < 기능적 영역 < 정의적 영역
(지식교육) (기술교육) (태도, 가치관)
系列性의 원리
o 수직적 조직과 관련되나 계속성을 초월한 개념
o 경험 조직의 계열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구체적인 개념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친숙한 것에서 생소한 것으로
--부분에서 전체적인 것으로
--事象의 역사적 발생 순서대로
--교과의 논리적 구조와 학생의 심리적 발달에 따라
o 경험의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학습의 심화와 확충을 강조하는 개념
o J. S. Bruner: 螺旋的 組織
統合性의 원리
o 횡적 조직 원리
o 단편적 지식의 나열보다는 통합된 교수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에 관심
o 선정된 경험들은 수평적 관계에서 서로가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함
範圍의 원리
o 선정된 경험의 폭과 깊이에 관련됨.
o 폭이 넓어질수록 깊이는 얕아지고,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은 좁아질 수밖에 없다.-->폭과 깊이의 딜레마
교수ㆍ학습 과정
o 敎授學習課程은 실제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 상황이고, 교육과정 중 절정을 이루는 단계
o 특정한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갖게되는 구체적인 학습경험 여하가 학습 내용과 성격 및 질을 결정해 준다.
o 교수학습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
학생: 학생의 발달단계,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 기능, 흥미, 가치, 동기, 지능 등
교사: 성격, 교육배경, 지식수준, 가치관, 교육적 태도, 목표 의식, 교수방법과 기술 등
목표와 내용: 일반목표와 특수목표, 지적이고 정의적인 목표, 내용의 종류 및 구조, 조직 방식 여하
교수조건: 학습자료의 양과 질, 교구, 시설, 학급조직방식, 장학체제 등
학교 및 학급분위기: 교직원의 인간관계, 지배적인 행동양식, 학생집단문화, 학교의 전통 등
교수ㆍ학습 결과의 평가
o 마지막 단계에 해당
교육의 과정 각 단계의 평가
--교육목표 설정, 경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과정, 결과의 평가 자체에 대한 평가이다.
--계속적인 평가의 과정을 통해서 교육의 과정 각 단계들은 수정되고, 보완되어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된다.
학업성취 평가
① 진단평가--선수학습정도 확인, 진단(수업 시작 시초)
② 형성평가--교육목표 달성 정도 점검(수업과정 중)
③ 총괄평가--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교수학습과정이 끝난 후)
o 평가도구의 유효도
① 타당도: 평가하려고 하는 것을 어느 정도 충실히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
② 신뢰도: 실제능력과 평가된 능력 사이의 일치 정도
③ 객관도: 평가 결과가 평가자에 따라 어느 정도 일치하는 정도
교육의 과정 각 단계간의 관계
循環的 一貫性의 관계
o 목표설정-->경험선정-->경험조직-->교수학습과정-->결과평가-->다시 목표설정
o 이런 순환적 관계에서 본 실제 교육 문제에 대한 예들
--① 교육목표와 관련 없이 경험을 선정 조직하는 일
--② 교육목표에 대한 특별한 고려 없이 하나의 교과서를 채택하는 일
--③ 교수학습경험의 성격과는 무관한 교수학습 방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일
--④ 교육목표에 대한 타당성의 고려 없이 학생들을 평가하는 일
--⑤ 평가의 결과를 새로운 교육적 사고에 적용하지 않는 일
相互作用的 관계
교육목표는 교수학습 경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과정, 평가활동에 계속적인 작용을 하는 한편, + 평가 결과에 따라 교육목표가 수정 보완되기도 함
선정 조직된 경험의 성격이 교수학습 방법의 구상에 영향을 주며 평가방식에도 변화를 줌.
교수학습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교수학습경험을 결정하기 어렵다.
--교재 58쪽 그림 참조
추천자료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 목표, 학년별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실제 )
초등과학의 학습활동과 학습과정 및 학습지도모형과 실제
초등교육의 전문성
초등 진로교육의 목표와 문제점, 그리고 방향
초등교육의 철학 연구 고찰
초등학교에서의 사회과 개념학습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초등학교 통합교과에서의활동의 의미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중간고사 정리본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거문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에서 한자말 글과 토박이말 글의 읽기 능력 비교 실험 연구
초등교육토론 ‘정말이효’ 무감독 고사 - 자율성의 신장인가, 비현실적 이상인가.PPT자료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재구성 2학년 2학기 쓰기 3단원 생각을 나타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