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역항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dy)는 항원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말하며, 주로 혈액에 많이 존재하고, 체액이나 조직에도 존재하며, 심지어 조직 밖으로 분비되기도 한다. 항체는 원래 B림프구의 표면에 있던 면역글로부린 (immunoglobulin, Ig)이며, B림프구에서 항원수용체의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다. B림프구 표면에 있던 면역글로부린이 항원의 자극으로 인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된 형태를 항체라고 부른다. B림프구의 표면에 있는 면역글로부린은 B림프구 클론마다 한 가지 종류 밖에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항원에 의하여 일부의 B림프구 클론들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항체가 만들어진다. 항체는 단지 항원과 결합하기만 하며, 그 결과 항원의 작용을 무력화시켜, 항원의 감염성이나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다 (neutralization). 항체는 또한 효과적으로 다른 세포나 다른 단백질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데, 그 결과 항체와 결합되어 있는 항원이 제거되도록 만들 수 있다.
- 사이토카인 (cytokine)과 보체 (complement)
면역반응의 진행에는 세포와 세포사이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가 항원을 T림프구에 보여준다든지, T림프구가 B림프구에 도움을 준다든지 하는 모든 과정에 세포들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다 (그림6). 세포들의 상호작용에는 세포간의 직접적인 접촉 외에도, 면역세포들이 만들어서 분비한 특별한 단백질들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6). 이러한 단백질들은 호르몬처럼 자신이나 다른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의 성질을 변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이토카인(cytokine) 또는 림포카인(lymphokine)이라고 부른다.
보체 (complement)는 혈액 중에 녹아 있는 단백질들로서, 항체가 결합된 미생물을 죽이는 단백질로 처음에 확인되어, 항체의 기능을 보충해주는 단백질, 즉 보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보체는 활성이 없는 전구체 상태로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단백질들의 모임인데, 이들은 미생물의 어떤구조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하며, 항원과 결합된 항체에 의해서도 활성화되어, 항원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6) 면역반응에서의 세포 상호작용
a)는 dendritic cell (항원제시세포, APC)에의하여 제시된 항원 (presented antigen)을 특정한 helper T cell clone (TH)이 인식하는 모습. 그림에서 보듯이 APC 세포는 항원을 잡아먹고, 그것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MHC라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세포표면에 내놓으면, helper T cell은 TCR을 이용하여 그 MHC와 항원을 TCR이 인식한다. 항원을 인식한 TH cell clone은 증식하고 분화하여 각각의 작용세포 (effector cell)와 기억세포 (memory cell)로 자라게 되며, 직접 B cell을 자극하기도 하고, 세포독성 T cell (TC cell, CTL)을 자극하여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b) TH cell clone으로부터 작용을 받기 위하여 특정한 B cell clone도 항원을 세포 안으로 받아들인 다음, 자신이 가지고 있는 MHC 단백질을 이용하여 T cell clone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c)는 TC cell clone이 TH cell clone이 만들어낸 IL-2라는 cytokine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모습.
- 면역세포
면역세포는 일반적으로 백혈구라고 부르는 세포로서, 혈액에도 존재하며, 조직에도 존재한다. 림프구(lymphocytes)는 면역반응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세포들로서, B림프구, T림프구, 자연살해세포등 세 가지 그룹이 있다. 이들은 모두 골수(bone marrow)의 전구세포(stem cell)부터 분화 성숙되어 만들어지며, 일정기간 활동한 후 없어지고 다시 만들어지는 세포들이다. B림프구는 항원과 반응하여 항체를 만드는 세포이고, T림프구는 다른 면역세포와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거나 직접 다른 세포를 죽이는 세포들이고 자연살해세포 (NK cell)은 자연면역반응에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이다.
림프구를 도와 면역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도와주는 세포를 통틀어 보조세포(accessory cells)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단핵식균세포(mononuclear phagocytic cells)와 과립구(granulocytes)를 들 수 있다. 단핵식균세포들은 자연면역반응에서 침입한 미생물을 식균작용으로 죽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일차적인 방어체계를 형성한다. 과립구는 혈액에 존재하는 백혈구(leukocytes)로서 세포질에 많은 과립성 입자를 가지고 있다. 이들 세포들은 염색약에 염색되는 성질에 따라 호중구(neutrophil)나 호염구(basophil) 또는 호산구(eosinophil)로 나뉘어 진다. 이들은 식균작용이 있으며, 염증반응이나 알러지 (allergy)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외에 mast cell(비만세포), dendritic cell(수지상세포), platelet(혈소판) 등도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들이다.
결론
항체의 항원특이성과 그 다양성은 이미 면역학 분야에서 뿐 아니라, 임상을 포함한 다른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항체 분자의 이러한 구조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인 특성들은 항체단백질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항체단백질의 특이성과 다양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해 보려는 연구들이 활발하다. 특히,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항체 단백질을 조작하여 유용한 단백질로 만들려는 항체공학 (antibody engineering)적 연구들이나, 항체에 촉매기능을 부여하여 촉매항체를 만들어 보려는 시도들은 항체의 활용도를 보다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들일 것이다.
※ 인용문헌
1.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23권3호/김한도,강신성,주진우/대한미생물학회/1988/365∼377page
2. 97'추계학술대회초록/정가진/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1987/61∼63
3. http://gsbs.utmb.edu/microbook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2.25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1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