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잡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학술잡지의 이론적 배경
2.특성
3.학술잡지의 발전배경
4.학술잡지의 종류
5.최근의 학술잡지 형태
6.주요정보원
1)잡지목록
2)종합목록
7.정보제공기관
1)국내정보원
2)국외정보원
8.최근동향
9.학술잡지의 문제점과 개선방법
10. 맺음말

본문내용

이 업어서 전자출판으로 이행할 수 없는 작은 학회나 출판사를 지원하여 대규모의 출판사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명과학 분야의 학술잡지가 주를 이루며 잡지의 제공주체는 각 출판사로 초록은 구독자가 아니라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링크된 인용문헌이 HWP에 입력되어 있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출판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다음에는 비구독자에게도 논문을 무료 공개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이것은 1997년 ARL의 발기에 의하여 연구도서관이 직면한 학술잡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중심대학, 도서관, 단체의 전세계적인 연합체로 1998년에 설립되었다. SPARC는 소규모의 출판사에게 기술을 지원하여 전자잡지 출판을 유도하고 연구도서관들을 기본적인 구독기관으로 확보해 주는 방법으로 잡지의 가격이 가장 비싸고 따라서 경쟁이 필요한 과학, 기술, 의학분야에서 소수의 대규모 상업출판사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술잡지 시장에 새로운 판도를 개척하고 있다. 이 방법은 상업출판사의 독점적 가격설정에 제동을 걸고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학술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예로 Organic letters, Evolutionary Ecology Research, 그리고 최근의 예로는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al Anthropologist(AAPA)의 경우가 있다.
SPARC의 활동으로 연구자는 수준 높고 저렴한 가격의 학술정보 채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출판사는 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고, 도서관은 고가의 독점적 학술잡지에 대한 저렴한 대체물을 얻음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학회는 연구결과의 유통이 개선되고 확장됨으로 사회에 공헌하는 효과를 얻는다. SPARC의 활동은 그 동안 상업출판사가 누려온 학술잡지의 독점시장에 새로운 판도의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시장이 가격을 주도하는 진정한 시장경제의 논리를 도입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국-학술잡지의 문제를 대학도서관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국가의 과학기술정책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국제적인 학술잡지의 가격인상으로 영국의 연구자에게 학술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다면 연구의 질적저하를 가져오고, 그것은 국익을 해치게 될것이라는 관점에서 영국고등교육 자문기구인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ee는 The National Electronic Site Licence Innitiative(NESLI)를 설립하였다.
NESLI는 전자잡지를 구독할 수 있는 선택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잡지의 이용을 광범위하게 촉진하고 있다.
22만종의 각종 연간물에 대한 journals, magazines, newspapers, newsletters 에 대한 서지정보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저널 정보 제공 내용은 정기간행물 및 비정기간행물(25만종), 폐간물정보(57,000종), 출판사정보(80,000개), 단행본서평(9,200권), Web Site 및 분야별 간행물 목록 정보를 제공한다.
ISI는 매해 2,000개 이상의 저널을 평가한다.
평가방법:
http://www.isinet.com/isi/journals/jsel.html
구 Uncover로 운영되었으며, 전 주제분야 27,723종 목차정보(TOC) 제공 하고 있으며 14,419,569 article을 제공하고 있다. 1988년부터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9. 맺음말
학술잡지는 17세기말 과학혁명에서 생겨난 새로운 매체로 소개된 이래 3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타 매체를 압도하며,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과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신속히 전달하는데 있어 유용한 매체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학술잡지는 오늘날에 와서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나날이 발전속도가 빨라져 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학술잡지가 이제까지 수행해온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물론 그 동안 이러한 학술잡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들이 나왔고, 학술잡지의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매체들이 소개 되어, 그 문제점들이 부분적으로 해결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다양한 대안들은 전통적인 학술잡지의 기능과 가치, 권위를 대신할 수 없고 보완역할만을 담당할 뿐이다.
앞으로도 과학기술이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은 틀림없으며, 이러한 학술잡지의 성장요인이 지속되는 한 그 양적 증가와 질적 중요성은 여전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술잡지와 학술잡지의 기능을 지니는 매체들은 현대사회와 과학기술분야의 실정에 맞춰 제 기능을 다하는 매체로서 앞으로도 계속 발전해 나가야 한다.
[ 참고 문헌 ]
·과학기술정보의 이해/ 사공철; 구자영; 김석영; 이춘실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97
· 학술정보 자원 활용/ 이용남[등저] 서울: 한성대출판부, 2001
· 학술정보 활용법/ 신숙원; 이순자[공저]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 학술정보 조사법/ 남권희; 정림사, 1999, 106-113p.
· 과학기술 문헌정보론/사공철; 구자영; 김석영 - 서울: 구미무역, 1990
·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회 자료집/한국 사립대학교 도서관협회, 1999년 11월, 81-101p.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2년 3월(제33권 1호), 77-97p.
· 학술정보론/海野敏, 태일사, 2001
· 學術雜誌의 機能變遷에 關한 硏究/ 金上基. 서울: 漢陽大學校, 1984
[참고 사이트]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http://kims.web.keimyung.ac.kr/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keris.or.kr/
· 한국학술진흥재단 http://www.krf.or.kr/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 LG상남도서관 http://www.lg.or.kr/
· 포항공대무은재도서관 http://www.postech.ac.kr/library/
http://user.chollian.net/~ssw4958/library/mag.htm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12.2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