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국과 남북국의 지방통치-
(1)고구려의 지방제도
(2)백제의 지방제도
(3)신라의 지방제도
(4)통일신라의 지방제도
(5)발해의 지방제도
********************참고문헌**********************
(1)고구려의 지방제도
(2)백제의 지방제도
(3)신라의 지방제도
(4)통일신라의 지방제도
(5)발해의 지방제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도가 있었다.
이 제도는 고려 시대 기인 제도, 조선 시대 경저리 제도와 유사하다. 상수리들은 중앙과 지방의 연락 사무, 공물, 연료 등을 중앙에 조달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지방 제도의 정비는 결국 신라가 새로 차지한 지역에 대한 통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반항 지역의 주민들에게는 특수한 역을 부과하여 향, 부곡으로 편입하였다. 또한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반역민을 타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사민 정책을 실시하였다.
(5)발해의 지방제도
마지막으로 발해의 지방제도를 살펴보겠다.
수도인 상경(용천부, 만주 동경성 영안현)을 비롯하여 중경(현덕부, 만주 길림성 돈화현), 동경(용원부, 만주 혼춘성), 서경(압록부, 만주 집안현 통구), 남경(남해부, 함남 북청)의 5경을 두어 행정을 원활하게 하였다. 또한 상경을 중심으로 5도의 교통망을 정비하였다
발해의 지방 행정 기구도 다른 봉건국가와 마찬가지로 최고 통치 기구인 중앙 정부의 제반 정책을 직접 전국 각지 인민들 속에 실현하기 위한 지방 통치 기구였다.
발해의 융성기인 9세기 중엽 경에 발해에서 지방 행정 구역으로서 5경 15부, 62주가 정비되어 있었고 각 주의 밑에는 여러 개의 현들이 있었다.
발해는 각 급 행정 구역들에 해당한 지방 행정 기구들을 설치하였다.
이 지방 행정 기구들도 역시 초기부터 점차 발전하여 일정한 시기에 고착되게 되었다.
지방 행정 기구로서 수도 상경 용천부를 비롯한 5경과 나머지 10부(15부 가운데서 중요한 곳들에 5경을 설정하였다. 때문에 부는 실제상 10개였다)에는 다 도독을 두었고 그 관하 62주에는 자사를, 현들에는 현승을 두어 통치하였다.
이 도독, 자사, 현승등 지방관은 봉건 국가들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이 각기 관하의 일반 민사 행정뿐만 아니라 재판권, 군사권도 장악한 방대한 권력의 소유자였다. 그들의 주요한 직무는 인민들로부터 조세를 수탈하고 봉건질서를 위반하거나 반항하는 인민들을 경찰과 재판기관, 감옥으로써 체포 투옥하며 반항이 대규모로 진행될 때에는 군대를 가지고 진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저들의 지위와 특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래 침략자들을 반대하는 투쟁을 지휘하였다.
다음으로 발해의 15부에는 가장 높은 지방관으로서 도독 또는 절도사가 있어 그들의 해당 지역의 모든 행정권과 군사 지휘권을 통털어서 장악하였는데 그 범위가 상당히 넓은 것만큼 도독이나 절도사의 행정권과 군사 지휘권을 나누어 맡아 가지고 보조 처리하는 벼슬이 있었던 것으로 인정된다. 예컨데 이조때에 관찰사가 도소재지의 행정장관 부윤을 겸하였고 그 밑에 그를 돕는 서윤 또는 판관등이 있었고 중군에 있어 관찰사의 군사 관계 일을 방조해 준 것과 같은 제도가 발해에도 있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발해의 주들은 그 장관인 자사가, 현은 승이 통치하였다.
이상의 도독 또는 절도사, 자사, 승등을 발해의 일반 부, 주, 현들에 배치되어 있던 지방 행정 체계의 벼슬들이고 이 밖에 발해에 소속되어 있는 말갈족 부들에 대한 일정한 감독체계가 있었다. 발해는 번들에 대해서는 일반 부, 주들과 같이 직접 행정 관리들을 파견하여 통치하지 않고 번들 내부의 행정 및 기타에 한해서는 해당 번안의 말갈족 우두머리들의 자치에 맡겨 두었으며 다만 번장같은 것을 임명, 파면하여 감독, 통제하는데 그쳤다.
********************참고문헌**********************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6>> -삼국의 정치와 사회2-백제
-국사편찬위원회
<<발해사>>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편
-도서출판 한마당
<<국사>> -박문각
<<인터넷자료>>
이 제도는 고려 시대 기인 제도, 조선 시대 경저리 제도와 유사하다. 상수리들은 중앙과 지방의 연락 사무, 공물, 연료 등을 중앙에 조달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지방 제도의 정비는 결국 신라가 새로 차지한 지역에 대한 통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반항 지역의 주민들에게는 특수한 역을 부과하여 향, 부곡으로 편입하였다. 또한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반역민을 타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사민 정책을 실시하였다.
(5)발해의 지방제도
마지막으로 발해의 지방제도를 살펴보겠다.
수도인 상경(용천부, 만주 동경성 영안현)을 비롯하여 중경(현덕부, 만주 길림성 돈화현), 동경(용원부, 만주 혼춘성), 서경(압록부, 만주 집안현 통구), 남경(남해부, 함남 북청)의 5경을 두어 행정을 원활하게 하였다. 또한 상경을 중심으로 5도의 교통망을 정비하였다
발해의 지방 행정 기구도 다른 봉건국가와 마찬가지로 최고 통치 기구인 중앙 정부의 제반 정책을 직접 전국 각지 인민들 속에 실현하기 위한 지방 통치 기구였다.
발해의 융성기인 9세기 중엽 경에 발해에서 지방 행정 구역으로서 5경 15부, 62주가 정비되어 있었고 각 주의 밑에는 여러 개의 현들이 있었다.
발해는 각 급 행정 구역들에 해당한 지방 행정 기구들을 설치하였다.
이 지방 행정 기구들도 역시 초기부터 점차 발전하여 일정한 시기에 고착되게 되었다.
지방 행정 기구로서 수도 상경 용천부를 비롯한 5경과 나머지 10부(15부 가운데서 중요한 곳들에 5경을 설정하였다. 때문에 부는 실제상 10개였다)에는 다 도독을 두었고 그 관하 62주에는 자사를, 현들에는 현승을 두어 통치하였다.
이 도독, 자사, 현승등 지방관은 봉건 국가들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이 각기 관하의 일반 민사 행정뿐만 아니라 재판권, 군사권도 장악한 방대한 권력의 소유자였다. 그들의 주요한 직무는 인민들로부터 조세를 수탈하고 봉건질서를 위반하거나 반항하는 인민들을 경찰과 재판기관, 감옥으로써 체포 투옥하며 반항이 대규모로 진행될 때에는 군대를 가지고 진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저들의 지위와 특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래 침략자들을 반대하는 투쟁을 지휘하였다.
다음으로 발해의 15부에는 가장 높은 지방관으로서 도독 또는 절도사가 있어 그들의 해당 지역의 모든 행정권과 군사 지휘권을 통털어서 장악하였는데 그 범위가 상당히 넓은 것만큼 도독이나 절도사의 행정권과 군사 지휘권을 나누어 맡아 가지고 보조 처리하는 벼슬이 있었던 것으로 인정된다. 예컨데 이조때에 관찰사가 도소재지의 행정장관 부윤을 겸하였고 그 밑에 그를 돕는 서윤 또는 판관등이 있었고 중군에 있어 관찰사의 군사 관계 일을 방조해 준 것과 같은 제도가 발해에도 있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발해의 주들은 그 장관인 자사가, 현은 승이 통치하였다.
이상의 도독 또는 절도사, 자사, 승등을 발해의 일반 부, 주, 현들에 배치되어 있던 지방 행정 체계의 벼슬들이고 이 밖에 발해에 소속되어 있는 말갈족 부들에 대한 일정한 감독체계가 있었다. 발해는 번들에 대해서는 일반 부, 주들과 같이 직접 행정 관리들을 파견하여 통치하지 않고 번들 내부의 행정 및 기타에 한해서는 해당 번안의 말갈족 우두머리들의 자치에 맡겨 두었으며 다만 번장같은 것을 임명, 파면하여 감독, 통제하는데 그쳤다.
********************참고문헌**********************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1-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6>> -삼국의 정치와 사회2-백제
-국사편찬위원회
<<발해사>>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편
-도서출판 한마당
<<국사>> -박문각
<<인터넷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세계의경찰-영국의 경찰제도 - 고대경찰, 영국경찰의 조직, 영국경찰의 인사, 영국경찰의 주...
통일신라의 정치, 사회, 문화제도
[삼국시대][고려시대][귀족제][고려]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귀족의 출현, 신분구조와 ...
[수도권정책][수도권]수도의 정의와 수도권의 국제화 개발, 수도권의 광역교통계획, 수도권의...
“ 우리 나라 지방자치의 전개과정 및 향후 발전방향 ”
부세정책의 변화와 지방지배
「김병준 교수의 지방정치 살리기」를 읽고
대리인체제와 협력체제(협력관계), 동북아 지역안보 협력체제(협력관계), 일본과학교육, 호주...
[노무현정부]노무현정부(참여정부) 교육정책의 현실성, 취약성, 노무현정부(참여정부) 교육정...
[행정학] [행정]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홍콩(香港 / Hong Kong), 마카오(澳門 / Macao) 중국 지방정부와의 관계.pptx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독후감] 김병준 교수의 「지방자치 살리기」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