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삼국 시대부터 조선 후기 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전통시대 교육의 이상
삼국, 고려시대 교육에서의 과제
고구려의 학교 체제
경당
신라의 교육제도: 화랑도
신라: 국학
중국식 학교인 국학의 공간 구성
국학의 특징
개경의 성균관(국자감)
국학 체제의 형성: 고려시대
국자감의 교육제도
지방 국립학교의 보급: 향교
전주향교
향교교육의 강화: 도회(都會)
민간 주도의 사립 학교 설립: 퇴계의 서원보급 운동
퇴계이황의 「유사학사생문」
서원의 교육 방식:회강(강회)
회강/강회의 일반적 순서
조선의 대안학교: 서원
조선후기 교육상황
서당의 전통
고려시대의 사학(私學)
고려: 사학 십이도(12徒)
문헌공도의 교육
12도의 성격
조선시대-현재: 서당
서당의 유형
사설 학원의 범람
유형원의 교육개혁론
조현명의 개혁안
조현명 권학절목 내용
조선후기 교육상황 정리
전통시대 교육의 이상
삼국, 고려시대 교육에서의 과제
고구려의 학교 체제
경당
신라의 교육제도: 화랑도
신라: 국학
중국식 학교인 국학의 공간 구성
국학의 특징
개경의 성균관(국자감)
국학 체제의 형성: 고려시대
국자감의 교육제도
지방 국립학교의 보급: 향교
전주향교
향교교육의 강화: 도회(都會)
민간 주도의 사립 학교 설립: 퇴계의 서원보급 운동
퇴계이황의 「유사학사생문」
서원의 교육 방식:회강(강회)
회강/강회의 일반적 순서
조선의 대안학교: 서원
조선후기 교육상황
서당의 전통
고려시대의 사학(私學)
고려: 사학 십이도(12徒)
문헌공도의 교육
12도의 성격
조선시대-현재: 서당
서당의 유형
사설 학원의 범람
유형원의 교육개혁론
조현명의 개혁안
조현명 권학절목 내용
조선후기 교육상황 정리
본문내용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교육제도변천, 유형원교육개혁론, 사학십이도, 서당유형, 문헌공도교육, 전통시대 교육의 이상, 삼국, 고려시대 교육에서의 과제, 고구려의 학교 체제).ppt
삼국 시대부터 조선 후기 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전통시대 교육의 이상
► 서주西周의 학제 계통도 <국학國學:수도의 학교> 성균成均(남학南學)/상상上庠(북학北學)/벽옹辟雍(태학太學)/동서東序/고종瞽宗 : 천자가 설립,
► 반궁泮宮 : 제후가 설립
► <지방의 향학(鄕學)>
► 여(閭) - 숙(塾) , 당(黨) - 상(庠) , 주(州) - 서(序) ,향(鄕) - 교(校) ,
►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에 의하면 “오가(五家)가 합쳐져 비(比)가 되고, 오비(五比)가 합쳐져 여(閭)가 되며, 사여(四閭)가 합쳐져 족(族)을 이루고 오족(五族)이 합쳐져 당(黨)을 이루며 오당(五黨)이 합쳐져 주(州)를 이루고 오주(五州)가 합쳐져 향(鄕)을 이룬다”
삼국, 고려시대 교육에서의 과제
• 지도층(관리, 무인)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 인재 양성 체계의 필요
• 성인식, 개인 교수 형태를 벗어난 체계적이며 전문적 교육 체제가 필요
• 대안: 중국의 교육 제도를 벤치 마킹
고구려의 학교 체제
• 태학과 경당이 중심. 4세기 이후 확립
• 2년 (372) 여름 6월에 진(秦)나라 왕 부견(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 왕은 사신을 보내 답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대학(大學)을 세우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태학은 중국식 학교 체제의 수용이라 할 수 있음.
삼국 시대부터 조선 후기 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전통시대 교육의 이상
► 서주西周의 학제 계통도 <국학國學:수도의 학교> 성균成均(남학南學)/상상上庠(북학北學)/벽옹辟雍(태학太學)/동서東序/고종瞽宗 : 천자가 설립,
► 반궁泮宮 : 제후가 설립
► <지방의 향학(鄕學)>
► 여(閭) - 숙(塾) , 당(黨) - 상(庠) , 주(州) - 서(序) ,향(鄕) - 교(校) ,
►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에 의하면 “오가(五家)가 합쳐져 비(比)가 되고, 오비(五比)가 합쳐져 여(閭)가 되며, 사여(四閭)가 합쳐져 족(族)을 이루고 오족(五族)이 합쳐져 당(黨)을 이루며 오당(五黨)이 합쳐져 주(州)를 이루고 오주(五州)가 합쳐져 향(鄕)을 이룬다”
삼국, 고려시대 교육에서의 과제
• 지도층(관리, 무인)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 인재 양성 체계의 필요
• 성인식, 개인 교수 형태를 벗어난 체계적이며 전문적 교육 체제가 필요
• 대안: 중국의 교육 제도를 벤치 마킹
고구려의 학교 체제
• 태학과 경당이 중심. 4세기 이후 확립
• 2년 (372) 여름 6월에 진(秦)나라 왕 부견(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 왕은 사신을 보내 답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대학(大學)을 세우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소수림왕)
• 태학은 중국식 학교 체제의 수용이라 할 수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존듀이의 자연주의 교육관 , 전통적 교육관의 개념과 비교분석
전통적 교육 사상의 의미를 열린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 가치 레포트
한국 전통 유아교육방법과 유아교육 사상
한국의 전통교육(동몽교육, 교육기관)
전통적 서당교육을 통한 기업윤리관의 고찰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한국전통공예(공예상품, 공예산업)의 정의, 한국전통공예(공예상품, 공예산업)의 흐름과 개량...
온라인교육(인터넷교육, 사이버교육)의 의미, 온라인교육(인터넷교육, 사이버교육)의 특징, ...
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의 중요성, 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의 지도원리, 도자공...
[유아교육]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사상과 불교, 유교, 천도교의 유아교육.pptx
한국전통아동교육사상을 읽고
[보육保育학개론] 한국 전통 사상에 따른 아동관과 아동 교육 및 우리나라 전통 보육에 대한 ...
지식기반사회와 학습사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미래사회의 환경변화 양상에 비추어 볼 ...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의 풍습의 단면(교육문화, 혼례문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