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교육(동몽교육, 교육기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교육(동몽교육, 교육기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한국전통사회의 동몽교육
Ⅰ. 전통사회의 동몽교육 ……………………………… 1
1. 동몽교육의 의미 ………………………………… 1
2. 동몽의 시기와 교육원리 ………………………… 1
3. 동몽교육의 원리 ………………………………… 2
4. 동몽교육의 교재 ……………………………………… 2
5. 동몽교육의 내용 ………………………………… 3

Ⅱ.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교재와 내용 ……………………… 4
1. 유아교육의 교재 ………………………………… 4
2. 유아교육의 내용 ……………………………………… 6

Ⅲ.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단계 ……………………… 8
1. 임신과 출생단계 ………………………………………… 8
2. 감각훈련단계 …………………………………………… 13
3. 무릎학교단계 …………………………………………… 14
[참고 - 전통유이놀이] ……………………………… 16

제2부 한국전통사회의 교육기관
Ⅰ. 서당 ………………………………………… 18
1. 기원과 역사 ………………………………………… 18
2. 교육목적과 교육과정 …………………………………… 19
3. 교육방법과 교육평가 …………………………………… 19

Ⅱ. 향교 ………………………………………… 20
1. 설립과 기능 …………………………………………… 20
2. 재정과 교관 ………………………………………… 21
3. 교육과정 ………………………………………… 22

Ⅲ. 서원 ……………………………………… 23
1. 설립과정과 발달 ……………………………… 23
2. 구조와 운영 ……………………………………… 24
3. 교육방법과 교육평가 ……………………………… 26

Ⅳ. 성균…………………………………………………… 27
1. 설립과 발전 ………………………………………… 27
2.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 27
3. 직제와 운영 ………………………………………… 28

본문내용

산부의 힘마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태교는 가족 모두의 일이라고 생각하였고 가족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다. 남편의 도움은 임산부의 심리적 안정에 매우 중요하였다. 부친의 청결한 마음가짐과 예의있는 행동을 중요히 여기다. 이것은 곳 새로 태어나야 할 아이의 심성과 품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1) 귀숙일 암기와 보정 교육
한국 전통 사회에서 누구나 쉽게 암기할수 있도록 간단하게 운문으로 된 귀숙일이 있다. 십이지를 사용해서 쉽게 기억하는 방법이다.
월별에 따라 귀숙일을 암기하는 방법이다. 이런 날이 생기복덕일로 정해진 이유는 밝혀지지 못하였지만 널리 알려졌다. 5월에 귀숙일이 많은 이유는 아이가 봄에 태어나기 때문에 산모의 산후조리가 편리하고 농경사회의 기후와 관계가 있을것이라고 추축된다.
(2) 삼촌댁 사랑들이와 상투탈막이
다른 부성태교로는 삼촌댁 사랑들이가 있다. 집안의 친지들이 약혼이나 결혼을 앞둔 미혼남성에게 시킨 성교육이다.
(3) 방중절도와 거풍
방중절도를 익히게 한 이유는 절제있는 성생활이 건강한 생활의 필수요건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탐색은 손명이라 하여 지나치게 여색을 가까이 하면 생명을 단축시킨다고 하였다.
거풍은 하의를 벗어서 하체를 노출시켜 태양의 양기를 쪼이는 것이다. 방향이 동남인 까닭은 동남이 남성의 방향이고 태양의 양기를 충분히 쪼일수 있다는 동양의 사고방식이기 때문이다.
(4) 합방의 금기사항
금슬 좋은 부부 아기 없다. 합방은 부부관계를 넘어서 가계계승, 가문확대번창, 생명창조
금기 날은 매월 초하루(1), 1.1, 3.3, 4.4, 7.7이고, 금기 때는 달 줄어드는 반달부터, 썰물,장마, 혹서, 혹한, 농무, 천둥, 번개, 일식, 월식, 무리, 무지개, 지진이 있는 날이다. 기피 신체는 음주혼미, 과식,허기, 중병,허약, 피부모발 습한 때, 큰 기쁨과 슬픔, 신경 과민, 마을초상, 제사이다. 기피장소로는 해와 달과 별빛 아래, 큰 화로, 사당, 별묘, 절간근처, 부뚜막, 묘지, 방이 아닌 곳이다.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남편수명단축, 질병, 아이불구라고 하였고, 지와 덕을 겸비, 성품과 행실 바르게 하여야 한다.
2). 모성태교
옛사람들은 며느리가 임신중이면 친정에 초상이 나도 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임산부의 심리적 안정이 태아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1) 임신전의 심신관리
모성태교의 첫걸음은 임산부의 심신관리와 기자신앙에서 시작된다. 임신의 전제조건도 심신의 건강과 심리적 안정이었다. 이를 위해 기를 충하고 자궁을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영양가의 음식을 먹거나 보약을 복용하기도 하고 심리적 안정을 위해 심성수양을 강조하였다.
(2) 임신 중의 태교
고귀하다고 인정되는 물품을 구하여 얼굴에 쏘이거나 가까이 두고 어루만지고 완상한다. 이런 행동을 통해 물품이 지닌 고귀한 기품이 태아에게도 투사되기를 기원한다. 중상류계층에서는 임신부를 위해 별실이나 별당을 설치하여 임신부가 기도생활오서 태교를 실천하도록 하였다.
(3) 임신부의 금기식품
불결하거나 좋지 못한 식품은 임신부에게 해롭다고복용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음식 금기는 구전 자료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4) 임신부의 금기행동
임신부의 심성수양을 강조하였다. 임신부의 심성수양이나 정서관리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행동하지 않도록 금기시하였다.
4. 출산풍속
(1) 해산풍속
① 삼신상 차려 빌기
이 풍속은 생사(生事)를 전담하는 삼신에게 정성을 드림으로써 산모와 아기에게 별고 없는 순산을 비는 것이었다. 조로 시어머니, 맏동서 등 연상의 부인들이 쌀밥 3그릇, 미역국 3그릇을 소반에 담아놓고, 산실이나 또는 옆방에서 두 손을 맞부비며 순산을 기원했다.
② 생계란 먹이기와 메밀수제비 먹이기
경북 안동지방에서는 산고 트는 산모에게 닭이 달걀 낳듯이 쉽게 아기를 낳으라고 날계란을 먹였으며, 제주도에서는 매끄러운 메밀 수제비를 먹여, 순산하기를 기원했다.
③ 재떨이 두들이기와 큰 기침
산고가 심해지면 남편은 산실 밖에서 큰 기침소리를 내면서 왔다갔다 하거나 사랑방이나 옆방에서 담뱃대로 놋쇠재떨이를 두드렸다. 즉, 이 소리를 들으면 남편이 가까이 있음을 알게되어 산모가 위안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④ 상투잡기와 삼새끼 잡기
상투잡기란 산실에 창호지의 구멍을 뚫어 남편의 상투를 산실에 넣은 풍습이다. 이때 산모는 남편의 상투를 잡고 해산하였으며, 남편이 나이가 많아서 상투가 허약하면 다른 사람의 상투를 빌리기도 하였다. 또 삼을 외로 꼬아 새끼를 만들어, 그것을 대들보에 거ㅇ매고, 산모는 그 삼새끼 줄을 잡아당기며 힘을 쓰고 아기를 낳았다.
⑤ 굴뚝에 부채질하기
산고가 시작되면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솥에 물을 끓인다. 이 물은 삼갈 때 사용할 낫이나 가위를 소독하는데 쓰는데, 아기를 씻기는 데도 사용했다. 이때 가족 중 하나가 굴뚝에 가서 연기가 속히 나오라고 부채질을 했다. 즉 연기가 속히 나오는 것처럼 빨리 해산하라는 뜻이었다.
(2) 출산 후의 풍속
① 첫국밥과 삼신빌기
해산하면 산신할미에게 한상 차려놓고 삼신빌기를 한 다음에, 산모는 첫국밥이라고 하여 미역국과 쌀밥을 하루에 4회씩, 경우 따라서는 6회씩 21일동안 먹지만, 때로는 7회식 49일까지 먹는 경우도 있고, 가정형편에 따라서 미역국과 쌀밥과 함께 보약을 복용시켜 산모의 빠른 회복을 빌기도 하였다. 미역은 영양가도 높지만, 지혈과 청혈에 좋다고 하여, 산모의 신진대사를 돕고 소화를 촉진시켜 건강회복에 좋은 식품이라고 한다.
② 금줄치기
아기가 태어나면 금줄을 삼칠 측 세이레 동안 대문이나 출입문 위에 걸어두었다. 즉 아들이면 붉은 고추 3개, 숯덩이 3개를 섞바꾸어 끼워서 금줄을 만들었고, 딸을 낳으면 청솔가지와 숯을 번갈아 꽂아서 대문이나 부엌문에 걸어두었다. 이것은 아기 출산을 알리면서 외인의 출입을 삼가도록 요구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금줄의 숯덩이는 소독의 의미를 띄어, 비록 가족들이 출입할지라도 밖에서 묻어온 잡균과 부정을 금줄의 숯덩이로 소독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금줄의 붉은 고추는 남성출산으로, 힘의 상징이었고, 붉은색은 벽사의 색으로 귀신을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9.06.1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