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섬유산업의 변화
1)섬유산업의 성장기
2)섬유산업의 전성기
3)섬유산업의 쇠퇴기
4)섬유산업의 전환기
◆첨단 IT산업의 등장
1)제1의 문화산업 중심도시
2)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DIP)
3)DIP 입주■업체들의 반응
4)시민들 반응 '냉랭'...섬유·염색 업체 고사위기
◆첨단 IT산업의 적합성
Ⅲ.결론
◆전통산업과 첨단 IT산업의 연계발전
※참고문헌
Ⅱ. 본론
◆섬유산업의 변화
1)섬유산업의 성장기
2)섬유산업의 전성기
3)섬유산업의 쇠퇴기
4)섬유산업의 전환기
◆첨단 IT산업의 등장
1)제1의 문화산업 중심도시
2)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DIP)
3)DIP 입주■업체들의 반응
4)시민들 반응 '냉랭'...섬유·염색 업체 고사위기
◆첨단 IT산업의 적합성
Ⅲ.결론
◆전통산업과 첨단 IT산업의 연계발전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프라가 대구지역에는 어느 정도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IT산업은 지역대학의 전자공학부를 활용할 수 있고, 구미의 전자산업단지와 연계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대구는 디지털 전자산업 중에서 하드웨어보다는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기술 개발에 보다 역점을 두어야 한다.
BT산업은 한의과대학을 활용하여 한방 바이오밸리를 조성할 수 있고, 지역 4개 종합대학에 의과대학이 있어 이를 활용한 보건의료분야나 제약분야에 특화하면 성장 가능성이 높다. NT는 IT, BT, CT 등의 기초기반 기술로 NT의 발전없이 보다 높은 수준의 이들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NT는 이들 기술의 핵심 첨단기술로 NT와의 퓨전기술, 즉 BINT(BT, IT, NT의 통합기술), BENT(BT, ET, NT의 통합기술), CINT(CT, IT, NT의 통합기술), SINT(ST, IT, NT의 통합기술)로 재구성하여 지역 주종산업인 기계와 섬유산업은 물론 모든 산업을 첨단산업으로 구조 개편할 수 있다.
Ⅲ. 결 론
◆전통산업과 첨단 IT산업의 연계발전
밀라노 프로젝트에서 누락된 섬유기계산업의 육성과 다소 간과된 봉제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봉제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봉제기술지원센터를 보다 활성화하고 협동화사업장, 전시장, 창고 등을 추가 설치하는 한편 서문시장의 도매기능을 보다 활성화시켜야 한다. 섬유기계산업의 육성은 일본산 수입직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점차적으로 국산기계를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수입대체효과가 크고, 무역수지의 적자 해소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둘째, 향후 포스트 밀라노계획에서는 지금까지의 하드웨어 위주의 운영, 즉 각종 센터나 기관설립을 지양하고, 소프트웨어적인 운영 방법이나 내실을 기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먼저 이미 구축된 섬유산업의 하드웨어를 운영할 수 있는 핵심 인적역량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인력 확보가 아니라 섬유산업의 정보화, 표준화, 기술이전, 기술협력, 국제교류 등 광의의 소프트웨어 운영체계의 확립과 보조를 맞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밀라노프로젝트에서 주로 신제품개발센터, 섬유정보센터, 니트시제품센터, 염색실용화센터 등 신제품 또는 시제품 개발인프라를 구축하여 섬유산업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각 기관과 센터가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이미 구축해 놓은 하드웨어 인프라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섬유 및 의류패션산업의 상품 및 시장(수요)정보가 섬유업체들의 상품 기획 및 개발과 마케팅과정에 전략적으로 반영되도록 다운-미들-업 스트림 업체간에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직물업의 한계를 벗어나 첨단 고기능성, 산업용, 의료용 섬유 생산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의 섬유산업 산학연관 협력관계를 통하여 섬유산업을 첨단 지식산업으로 재편하여 기능성, 의료용, 산업용 섬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섬유산업에 소위 5T(BT, NT, IT, CT, ET)의 바이오, 나노기술 등을 접목하여 첨단 기능성 섬유를 생산하는 기술융합, 즉 복합기술을 가하여 섬유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대학과 연구소, 업계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지역 혁신클러스터도 구축하여 나가야 한다. 또한 섬유정보센터를 통하여 요즘 강조되는 기능성, 산업용 섬유을 위하여 생물, 고분자 등 섬유 이외의 과학기술분야의 적용 가능한 기술정보 및 기술개발 현황을 수집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패션어패럴 위주의 밀라노만을 벤치마킹할 것이 아니라, 기능성, 산업용 섬유체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일본의 후꾸이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대구가 패션산업을 포기하고 이를 육성하지 말자는 주장은 아니다.
넷째, 세계적인 패션디자이너의 육성과 더불어 명품브랜드를 육성하고, 대구중심의 동성로 거리나 패션어패럴 밸리를 세계적인 명품거리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태리의 명품거리는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있고, 그들이 생산한 제품이 명품브랜드가 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향후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세계적인 패션디자이너를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산업자원부와 대구시, 섬유관련 협회나 기관은 패션디자이너 유망주(소위 꿈나무)를 발굴하여 패션 선진국인 이태리나 프랑스에 유학 또는 연수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 이들 인재들이 장래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되면, 그들의 명품 브랜드가 점차 토탈패션 브랜드가 되어 지역 패션디자인 산업도 세계적으로 발전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년에 개최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review in Daegu)가 성공리에 끝났는데, 향후 매년 개최될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세계적인 대회로 육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세계적인 패션쇼의 유치 및 개최와 패션 장식구(accessory)인 양산(우산), 안경(테) 등 지역 특화산업의 전시회, 박람회 등을 다양하게 개최하여 대구를 토탈패션 산업의 중심으로 육성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2.
대구광역시,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과 한국섬유산업의 활로”, 경제자료실 등재자료,
“대구지역 전략산업의 선정과 육성방향”, 대구경북포럼,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0. 1 ~ 2.
“밀라노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www.milanoproject.daegu.kr/
10/24
산업자원부, “차세대 성장산업 발굴과 육성 계획”, 2003. 4.
산업자원부. 한국섬유산업총연합회, 섬유패션산업의 새로운 도전, 2003. 4.
이춘근, “대구지역 산업구조 분석과 개편전략”, 대구경북개발연구,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2.12.31 의 내용을 다소 보완
[통계청] 2000년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5인이상) 및 2000년 사업체기초통계조사, 2001. 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대구경북 섬유산업 발전전략: 2004~2008, 2003.
BT산업은 한의과대학을 활용하여 한방 바이오밸리를 조성할 수 있고, 지역 4개 종합대학에 의과대학이 있어 이를 활용한 보건의료분야나 제약분야에 특화하면 성장 가능성이 높다. NT는 IT, BT, CT 등의 기초기반 기술로 NT의 발전없이 보다 높은 수준의 이들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NT는 이들 기술의 핵심 첨단기술로 NT와의 퓨전기술, 즉 BINT(BT, IT, NT의 통합기술), BENT(BT, ET, NT의 통합기술), CINT(CT, IT, NT의 통합기술), SINT(ST, IT, NT의 통합기술)로 재구성하여 지역 주종산업인 기계와 섬유산업은 물론 모든 산업을 첨단산업으로 구조 개편할 수 있다.
Ⅲ. 결 론
◆전통산업과 첨단 IT산업의 연계발전
밀라노 프로젝트에서 누락된 섬유기계산업의 육성과 다소 간과된 봉제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봉제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봉제기술지원센터를 보다 활성화하고 협동화사업장, 전시장, 창고 등을 추가 설치하는 한편 서문시장의 도매기능을 보다 활성화시켜야 한다. 섬유기계산업의 육성은 일본산 수입직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점차적으로 국산기계를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수입대체효과가 크고, 무역수지의 적자 해소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둘째, 향후 포스트 밀라노계획에서는 지금까지의 하드웨어 위주의 운영, 즉 각종 센터나 기관설립을 지양하고, 소프트웨어적인 운영 방법이나 내실을 기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먼저 이미 구축된 섬유산업의 하드웨어를 운영할 수 있는 핵심 인적역량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인력 확보가 아니라 섬유산업의 정보화, 표준화, 기술이전, 기술협력, 국제교류 등 광의의 소프트웨어 운영체계의 확립과 보조를 맞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밀라노프로젝트에서 주로 신제품개발센터, 섬유정보센터, 니트시제품센터, 염색실용화센터 등 신제품 또는 시제품 개발인프라를 구축하여 섬유산업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므로, 앞으로는 각 기관과 센터가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이미 구축해 놓은 하드웨어 인프라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섬유 및 의류패션산업의 상품 및 시장(수요)정보가 섬유업체들의 상품 기획 및 개발과 마케팅과정에 전략적으로 반영되도록 다운-미들-업 스트림 업체간에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직물업의 한계를 벗어나 첨단 고기능성, 산업용, 의료용 섬유 생산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의 섬유산업 산학연관 협력관계를 통하여 섬유산업을 첨단 지식산업으로 재편하여 기능성, 의료용, 산업용 섬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 그리고 섬유산업에 소위 5T(BT, NT, IT, CT, ET)의 바이오, 나노기술 등을 접목하여 첨단 기능성 섬유를 생산하는 기술융합, 즉 복합기술을 가하여 섬유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대학과 연구소, 업계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지역 혁신클러스터도 구축하여 나가야 한다. 또한 섬유정보센터를 통하여 요즘 강조되는 기능성, 산업용 섬유을 위하여 생물, 고분자 등 섬유 이외의 과학기술분야의 적용 가능한 기술정보 및 기술개발 현황을 수집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대구지역 섬유산업은 패션어패럴 위주의 밀라노만을 벤치마킹할 것이 아니라, 기능성, 산업용 섬유체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일본의 후꾸이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대구가 패션산업을 포기하고 이를 육성하지 말자는 주장은 아니다.
넷째, 세계적인 패션디자이너의 육성과 더불어 명품브랜드를 육성하고, 대구중심의 동성로 거리나 패션어패럴 밸리를 세계적인 명품거리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태리의 명품거리는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있고, 그들이 생산한 제품이 명품브랜드가 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향후 대구지역 섬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세계적인 패션디자이너를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산업자원부와 대구시, 섬유관련 협회나 기관은 패션디자이너 유망주(소위 꿈나무)를 발굴하여 패션 선진국인 이태리나 프랑스에 유학 또는 연수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 이들 인재들이 장래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되면, 그들의 명품 브랜드가 점차 토탈패션 브랜드가 되어 지역 패션디자인 산업도 세계적으로 발전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년에 개최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review in Daegu)가 성공리에 끝났는데, 향후 매년 개최될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세계적인 대회로 육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세계적인 패션쇼의 유치 및 개최와 패션 장식구(accessory)인 양산(우산), 안경(테) 등 지역 특화산업의 전시회, 박람회 등을 다양하게 개최하여 대구를 토탈패션 산업의 중심으로 육성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2.
대구광역시, “밀라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과 한국섬유산업의 활로”, 경제자료실 등재자료,
“대구지역 전략산업의 선정과 육성방향”, 대구경북포럼,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0. 1 ~ 2.
“밀라노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www.milanoproject.daegu.kr/
10/24
산업자원부, “차세대 성장산업 발굴과 육성 계획”, 2003. 4.
산업자원부. 한국섬유산업총연합회, 섬유패션산업의 새로운 도전, 2003. 4.
이춘근, “대구지역 산업구조 분석과 개편전략”, 대구경북개발연구,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2.12.31 의 내용을 다소 보완
[통계청] 2000년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5인이상) 및 2000년 사업체기초통계조사, 2001. 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대구경북 섬유산업 발전전략: 2004~2008, 2003.
추천자료
[국제경영]이동통신 NOKIA 사례연구(휴대폰 노키아 경영전략 마케팅전략
[국제경영] 한국에서의 BMW 경영전략 (국제마케팅)
국제경영전략-대우의 폴란드 진출 전략과 실패요인 분석
[국제경영학]에릭슨의 경영전략 및 전망
[국제경영학]애플사 경영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국제경영전략]배스킨라빈스31 기업분석 마케팅전략
[국제경영전략론]배스킨라빈스 마케팅전략분석
[국제경영전략론]배스킨라빈스 성공과 마케팅전략
[국제경영전략론]소니(SONY) 기업소개와 경영전략분석
국제경영전략-Hewlett_Packard (HP) 기업 서비스 브랜드 전략방안
구글의 국제경영전략 및 윤리경영
이마트중국진출성공사례,이마트중국진출,중국진출사례,중국진출성공사례,이마트해외진출,홈플...
[국제관광경영전략] 크루즈 상품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스타크루즈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기업경영전략] 해외시장 진출방법의 선택전략 (루트의 모형, 러그만의 단순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