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바른생활 >
< 도덕 >
< 슬기로운 생활 >
< 영어 >
< 국어 >
< 사회 >
< 수학 >
< 과학 >
< 실과 >
< 도덕 >
< 슬기로운 생활 >
< 영어 >
< 국어 >
< 사회 >
< 수학 >
< 과학 >
< 실과 >
본문내용
원 m의 개념
1) cm로 불편한 길이 재보게 하기
2) 100cm=1m라고 하면서 개념 도입
3) 생략
4) 복합 단위 사용법 120cm=1m 20cm
5) m 단위를 사용하여야 하는 길이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양감 형성
2. 원리 탐구 수업 모형
1) 자유 탐구 활동
2) 이미 학습한 수학적 원리로부터의 유추
3) 학습할 원리와 관련된 조작 활동
4) 탐구한 수학적 원리의 형식화
5) 익히기 및 적용하기
예) 2-가 2단원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1) 27+8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알아보기 (원리가 필요함을 느끼게)
2) 1-나에서 학습한 7+8 한자리수의 반올림 처리방법을 통해 유추
3) 수모형으로 원리 이해
4) 형식화
5) 연습문제
3. 문제 해결 수업 모형
1) 문제이해
2) 계획의 수립
3) 계획의 실행
4) 반성 - 점검. 방법. 활용
저학년 : 풀이와 결과가 일치하는지 점검
고학년 : 자신의 풀이과정을 설명, 비교 등 고차원적 탐구 활동
※ 2단계 발문
비슷한 문제는 없는가?
그것을 쓸 수는 없는가?
문제의 말을 달리할 수는 없는가?
조건은 모두 사용되었는가?
4. 수학과 수업 전개 절차
1) 문제 파악
2) 탐색
3) 해결
4) 음미
5) 연습
6) 평가 및 정리
< 과학 >
1. 경험 수업 모형
1) 자유 탐색
2) 탐색 결과 발표
3) 교사의 인도에 따른 탐색
4) 탐색 결과의 정리
2. 발견 수업 모형
1) 탐색 및 문제 파악
2)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3) 추가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4)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5) 적용 및 응용
3. 탐구 수업 모형 (가설 검증)
1) 탐색 및 문제 파악
2) 가설 설정
3) 실험 설계
4) 실험
5) 가설 검증
6) 적용 및 새로운 문제 발견
4. STS 수업 모형
1) 문제로의 초대
2) 탐색
3) 설명과 해결 방안 제시
4) 실행
5. 발생 학습 모형
1) 예비 단계 2) 초점 단계
3) 도전 단계 4) 적용 단계
6. 순환 학습 모형
1) 탐색
2) 개념 도입(발명)
3) 개념 응용(발견)
7. 구성주의 학습 모형
1) 안내하기
2) 개념 드러내기
3) 생각의 재구성
4) 새로운 생각의 적용
5) 생각의 변화 과정에 대한 재점검
8. 인지 갈등 수업 모형
1) 환경1 제시
2) 환경1에 대한 학생 개념으로 설명
3) 환경2 제시
4) 인지 갈등 유발
5) 변화된 과학자적인 개념으로 환경2 설명
6) 인지 갈등 해소
< 실과 >
1. 홈프로젝트 수업 모형
1) 문제 제기
2) 실습 계획 수립
3) 시범 실습
4) H P 과제 제시
5) 실습 준비--------
6) 실습 ----- 집에서
7) 반성 평가--------
8) 학교에서 발표, 수정 보완
2. 모듈 학습
1) 진단 검사로 학습자의 수준 파악
2) 학습 목표 제시
3) 개별 학습
4) 스스로 평가
5) 상급 모듈로 이동
3. 구안법
1) 목적 2) 계획 3) 수행 4) 평가
4. 기능 학습 수업 모형
1) 목표 및 관련 지식
2) 기능 시범 및 관찰
3) 기능의 습득
4) 기능 평가
1) cm로 불편한 길이 재보게 하기
2) 100cm=1m라고 하면서 개념 도입
3) 생략
4) 복합 단위 사용법 120cm=1m 20cm
5) m 단위를 사용하여야 하는 길이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양감 형성
2. 원리 탐구 수업 모형
1) 자유 탐구 활동
2) 이미 학습한 수학적 원리로부터의 유추
3) 학습할 원리와 관련된 조작 활동
4) 탐구한 수학적 원리의 형식화
5) 익히기 및 적용하기
예) 2-가 2단원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1) 27+8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알아보기 (원리가 필요함을 느끼게)
2) 1-나에서 학습한 7+8 한자리수의 반올림 처리방법을 통해 유추
3) 수모형으로 원리 이해
4) 형식화
5) 연습문제
3. 문제 해결 수업 모형
1) 문제이해
2) 계획의 수립
3) 계획의 실행
4) 반성 - 점검. 방법. 활용
저학년 : 풀이와 결과가 일치하는지 점검
고학년 : 자신의 풀이과정을 설명, 비교 등 고차원적 탐구 활동
※ 2단계 발문
비슷한 문제는 없는가?
그것을 쓸 수는 없는가?
문제의 말을 달리할 수는 없는가?
조건은 모두 사용되었는가?
4. 수학과 수업 전개 절차
1) 문제 파악
2) 탐색
3) 해결
4) 음미
5) 연습
6) 평가 및 정리
< 과학 >
1. 경험 수업 모형
1) 자유 탐색
2) 탐색 결과 발표
3) 교사의 인도에 따른 탐색
4) 탐색 결과의 정리
2. 발견 수업 모형
1) 탐색 및 문제 파악
2)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3) 추가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4)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5) 적용 및 응용
3. 탐구 수업 모형 (가설 검증)
1) 탐색 및 문제 파악
2) 가설 설정
3) 실험 설계
4) 실험
5) 가설 검증
6) 적용 및 새로운 문제 발견
4. STS 수업 모형
1) 문제로의 초대
2) 탐색
3) 설명과 해결 방안 제시
4) 실행
5. 발생 학습 모형
1) 예비 단계 2) 초점 단계
3) 도전 단계 4) 적용 단계
6. 순환 학습 모형
1) 탐색
2) 개념 도입(발명)
3) 개념 응용(발견)
7. 구성주의 학습 모형
1) 안내하기
2) 개념 드러내기
3) 생각의 재구성
4) 새로운 생각의 적용
5) 생각의 변화 과정에 대한 재점검
8. 인지 갈등 수업 모형
1) 환경1 제시
2) 환경1에 대한 학생 개념으로 설명
3) 환경2 제시
4) 인지 갈등 유발
5) 변화된 과학자적인 개념으로 환경2 설명
6) 인지 갈등 해소
< 실과 >
1. 홈프로젝트 수업 모형
1) 문제 제기
2) 실습 계획 수립
3) 시범 실습
4) H P 과제 제시
5) 실습 준비--------
6) 실습 ----- 집에서
7) 반성 평가--------
8) 학교에서 발표, 수정 보완
2. 모듈 학습
1) 진단 검사로 학습자의 수준 파악
2) 학습 목표 제시
3) 개별 학습
4) 스스로 평가
5) 상급 모듈로 이동
3. 구안법
1) 목적 2) 계획 3) 수행 4) 평가
4. 기능 학습 수업 모형
1) 목표 및 관련 지식
2) 기능 시범 및 관찰
3) 기능의 습득
4) 기능 평가
추천자료
수업모형이론과 모형예시
과학교육과 구성주의적 수업모형의 적용-발생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수업모형에 따른 교과서 적용사례
수업모형에 따른 교과서 적용2
수업모형 적용의 실제
수학교육 수업모형(수학학습모형) 분석
영어수업모형의 분석과 각모형별 교수-학습지도안
주제중심통합학습을위한NIE식수업모형예시.ppt
수학과수업모형
[체육교육론]직접교수모형, 탐구중심수업모형, 동료교수모형
체육교육 수업모형 - 탐구중심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 체육지도안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의미, 활용, 초인지(메타인지, 상위인지)의 학습모형, 수업모...
[과학수업모형] 과학과 교수, 학습 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