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집단상담에서의 저항의 특징
1. 저항이란?
2. 저항이 생기는 이유
3. 집단원이 저항을 보이는 형태
Ⅲ. 집단원의 저항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Ⅳ. 저항에 대한 대처방안
1. 사전예방활동
2. 저항 현상에 대한 예고
3. 신뢰로운 분위기 조성
4. 상황에 대한 확인과 명료화
5. 맞닥뜨림
Ⅴ. 결 론
Ⅱ. 집단상담에서의 저항의 특징
1. 저항이란?
2. 저항이 생기는 이유
3. 집단원이 저항을 보이는 형태
Ⅲ. 집단원의 저항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Ⅳ. 저항에 대한 대처방안
1. 사전예방활동
2. 저항 현상에 대한 예고
3. 신뢰로운 분위기 조성
4. 상황에 대한 확인과 명료화
5. 맞닥뜨림
Ⅴ. 결 론
본문내용
은 아직 집단분위기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집단활동에 선뜻 나서기가 어렵다고 말했죠? 그리고 특히 희경씨와 환진씨가 그 말에 동조를 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몇몇 사람들이 다른 활동을 할 때는 누구보다도 활발하다가 조금 전처럼 자기의 내면적 생각이나 감정을 노출할 때는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 같아요. 그것은 혹시 지난주에 형준씨가 자기노출했을 때 다른 집단원들이 보여준 부정적인 반응과 그로 인해 경험했던 형준씨의 당혹하고 불편했던 마음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즉 이 과정에서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직접 지켜본 여러분들이 자기노출에 대한 두려움들을 느껴서 침묵을 지키는 것으로 보여요. 따라서 저로서는 여러분들이 적극적인 노출을 회피함으로써 집단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은 집단분의기의 성숙도 문제 때문인 것만은 아닌 것으로 느껴진단 말이죠. 형준씨뿐만 아니라 특히 형진씨의 친구인 희경씨와 환진씨에게서 더욱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아요. 자, 어떻게 생각하세요. 먼저, 형준씨부터 말해보세요."
비효과적 반응: "형준씨, 당신은 조금 전에 이런 집단분위기에서는 말을 잘못하겠다고 했는데...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원래 집단에서는 솔직한 자기노출과 피드백이 있기 마련인데 형준씨는 그것을 회피하니 집단을 그만 하겠다는 것입니까? 어제까지는 자기노출을 잘 했잖아요... 그러니 자, 좀더 자신 있게 말해보세요. 그리고 집단분위기란 이럴 때도 있고 저럴 때도 있는 법인데 그런 것을 일일이 문제 삼는다면 집단을 차라리 그만 두는 것이 나아요."
Ⅴ. 결 론
지금까지 집단상담에서 보여지는 저항이 무엇인가? 저항의 원인과 형태, 그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저항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시 한번 정리해보면 저항을 다루기 위한 방안은 첫째, 사전예방활동 둘째, 저항과 갈등현상에 대한 예고 셋째, 신뢰로운 분위기 조성 넷째, 상황에 대한 확인과 명료화 다섯째, 맞닥뜨림이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일반적인 집단 지도의 방안들이기에 지도자는 당면한 집단장면에 보다 적합한 저항 처리 방안에 대하여 이해해야 하며 아울러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혜를 겸비해야 할 것이다.
집단상담에서의 저항 현상은 어쩌면 필연적인 것이니만큼 그것은 한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픔과 고통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과 유사하다. 저항과 갈등은 성장을 방해하고 집단역동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 때문에 집단발달이 늦어지고 집단이 생산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지도자는 저항 현상을 부정적으로만 보거나 피하려고만 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그러한 현상을 통하여 집단발전을 위한 계기를 만들고 집단과정 자체를 성찰하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집단상담은 결코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집단원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도자의 지혜와 인내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과도기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상담자의 태도는 내담자가 보이는 저항에 대해 공감적인 이해를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저항은 내담자가 보이는 최선의 표현 방법이며, 그 개인의 삶이 투영되어있는 또 다른 삶의 방식임을 이해한다면 그것을 파괴적으로 다루는 일은 많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담자의 태도가 집단원들에게도 전달되어 저항을 보다 생산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신뢰로운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다. 상담자와 집단원들 사이에 저항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신뢰로운 분위기가 형성된다면 집단의 작업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집단상담에서의 저항에 대해 조사하면서 집단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얼마나 중요하며, 이런 적절한 대처는 오히려 집단을 발전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개인상담에서의 내담자 저항에 대한 연구물이나 자료는 많았지만 집단상담에서의 연구물은 문헌고찰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어떤 집단에서든 필연적으로 저항이 발생하는 만큼 집단상담에서의 저항과 그것을 좀더 효과적으로 다루어 성공적인 집단으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 참 고 문 헌 ◈
강진령(2001). APA 논문작성법 (개정판). 서울: 양서원.
설기문(1999). 집단상담에서 저항과 갈등은 어떻게 처리하는가? 집단상담연구, 제2권. 한국집단상담학회. 31-51.
이장호, 김정희(1992). 집단 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범문사.
이형득(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형득(1998).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단계별 발달과정. 집단상담연구, 창간호. 한국집단 상담학회. 35-62.
조성호(1997). 내담자 저항과 반발성, 상담자 개입특성 및 작업동맹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권 1호, 101-127.
Carter, E.F., Mitchell, S.L., & Krautheim, M.D(2001).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ents' Resistance to Group Counseling.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Vol. 26 No. 1, March 2001, 66-80.
Corey, M., & Corey, G.(2000).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옮김.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Jacobs, E.D., Harvill, R.W., & Masson, R.L.(1994). Group Counseling: Strategies and Skills(2n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Co.
Johnson, D.W.(1972). Reaching out: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actualiza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Yalom, I. D. (199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4th ed).
New York: Basic Books.
비효과적 반응: "형준씨, 당신은 조금 전에 이런 집단분위기에서는 말을 잘못하겠다고 했는데...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원래 집단에서는 솔직한 자기노출과 피드백이 있기 마련인데 형준씨는 그것을 회피하니 집단을 그만 하겠다는 것입니까? 어제까지는 자기노출을 잘 했잖아요... 그러니 자, 좀더 자신 있게 말해보세요. 그리고 집단분위기란 이럴 때도 있고 저럴 때도 있는 법인데 그런 것을 일일이 문제 삼는다면 집단을 차라리 그만 두는 것이 나아요."
Ⅴ. 결 론
지금까지 집단상담에서 보여지는 저항이 무엇인가? 저항의 원인과 형태, 그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저항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시 한번 정리해보면 저항을 다루기 위한 방안은 첫째, 사전예방활동 둘째, 저항과 갈등현상에 대한 예고 셋째, 신뢰로운 분위기 조성 넷째, 상황에 대한 확인과 명료화 다섯째, 맞닥뜨림이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일반적인 집단 지도의 방안들이기에 지도자는 당면한 집단장면에 보다 적합한 저항 처리 방안에 대하여 이해해야 하며 아울러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혜를 겸비해야 할 것이다.
집단상담에서의 저항 현상은 어쩌면 필연적인 것이니만큼 그것은 한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픔과 고통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과 유사하다. 저항과 갈등은 성장을 방해하고 집단역동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 때문에 집단발달이 늦어지고 집단이 생산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지도자는 저항 현상을 부정적으로만 보거나 피하려고만 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그러한 현상을 통하여 집단발전을 위한 계기를 만들고 집단과정 자체를 성찰하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집단상담은 결코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집단원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도자의 지혜와 인내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과도기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상담자의 태도는 내담자가 보이는 저항에 대해 공감적인 이해를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저항은 내담자가 보이는 최선의 표현 방법이며, 그 개인의 삶이 투영되어있는 또 다른 삶의 방식임을 이해한다면 그것을 파괴적으로 다루는 일은 많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담자의 태도가 집단원들에게도 전달되어 저항을 보다 생산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신뢰로운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다. 상담자와 집단원들 사이에 저항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신뢰로운 분위기가 형성된다면 집단의 작업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집단상담에서의 저항에 대해 조사하면서 집단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얼마나 중요하며, 이런 적절한 대처는 오히려 집단을 발전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개인상담에서의 내담자 저항에 대한 연구물이나 자료는 많았지만 집단상담에서의 연구물은 문헌고찰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어떤 집단에서든 필연적으로 저항이 발생하는 만큼 집단상담에서의 저항과 그것을 좀더 효과적으로 다루어 성공적인 집단으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 참 고 문 헌 ◈
강진령(2001). APA 논문작성법 (개정판). 서울: 양서원.
설기문(1999). 집단상담에서 저항과 갈등은 어떻게 처리하는가? 집단상담연구, 제2권. 한국집단상담학회. 31-51.
이장호, 김정희(1992). 집단 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범문사.
이형득(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형득(1998).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단계별 발달과정. 집단상담연구, 창간호. 한국집단 상담학회. 35-62.
조성호(1997). 내담자 저항과 반발성, 상담자 개입특성 및 작업동맹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권 1호, 101-127.
Carter, E.F., Mitchell, S.L., & Krautheim, M.D(2001).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clients' Resistance to Group Counseling.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Vol. 26 No. 1, March 2001, 66-80.
Corey, M., & Corey, G.(2000).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옮김.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Jacobs, E.D., Harvill, R.W., & Masson, R.L.(1994). Group Counseling: Strategies and Skills(2nd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Co.
Johnson, D.W.(1972). Reaching out: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actualiza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Yalom, I. D. (199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4th ed).
New York: Basic Books.
추천자료
청소년기 문제행동과 부모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아동기 문제행동(성, 학교폭력증, 과잉행동)에 대한 해결방법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와 약물남용 - 청소년기와 약물남용의 특징과 초기 징후 및 증상...
[청소년 문제행동] 한국의 학생 청소년의 위상 변화와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청소년 문제행동] 자살행동(自殺行動)의 예측과 평가 (자살 위험도 평가 척도 포함)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危險行動)의 관련 요인 - 관련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기 위험행동(危險行動)의 이해 모형 - 상호작용 모형, 발달적 모형
요즘 아이들의 문제행동과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가 부모들의 양육태도...
영아들의 문제행동 (신체적인 공격, 폭발적 떼쓰기, 깨무는 행동 등등)의 한 가지의 예를 들...
[청소년기 성에 따른 문제행동] 청소년의 성폭력 문제, 청소년 임신, 청소년 성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의 문제행동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 여러분이 알고 있는 특별한 ...
노인문제 중 치매(Dementia)의 증상과 예방, 문제행동관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치매)
보육현장에서 문제행동 아동(무는 행동, 주의력 결핍증, 거짓말, 편식지도) 등 사례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