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공법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터널공법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쉴드공법
- 특징
- 국내 적용된 사례
- 작동원리

2.다른 터널공법 소개
- 재래식 공법의 공사방식의 특성
- 침매 공법의 특성
- NATM공법의 특성
- TBM 공법의 특성

3.국내 터널 개요 및 공법
- 구덕터널
- 만덕2터널
- 백양터널
- 이화령터널
- 창원터널

본문내용

10일 준공하였음.
- 터널 길이는 1,870m 이며 2개의 터널로 각 2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음. 터널의 폭은 9.4m, 높이 4.7m로 차량의 통과 높이를 4.6m로 제한하고 있고, 관리사무소는 사상구 학장동에 소재함.
- 총투자비는 343억원이 투입되었으며 2000년 1일 평균 통행량은 69,600대에 달함. 터널 굴착 방식은 ASSM (상부 반단면 선진 굴착 공법)으로 재래식 공법에 의함.
- 터널내부의 조명설비로 저압나토륨등 1,720개를 설치하였으며, 터널내부의 환기장치는 송풍기 (200kw X 8대)를 사용한 반강제식의 환기시스템임.
- 통행료는 소형 및 대형으로 나누어 각각 500원 과 600원을 부과하고 있음
구덕 터널의 2개의 터널 입구 전경
만덕 2 터널
- 만덕 2 터널은 부산광역시의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민자유치 터널으로서 대림건설㈜이 1984년 7월10일 착공하여 1988년 4월 9일 준공함으로써 3년 9개월이 소요되었음.
- 터널의 시공 방식은 ASSM 공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투자비는 430억원으로 터널길이가 1.740m인 양방향 2차선 터널임. 터널의 폭은 9.4m 이며 양쪽 터널 입구에 각각 환기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리사무소는 만덕동에 소재함.
- 통행료 징수기간은 1988년 6년 1일부터 20년간이며 이 기간 동안에 공사비 및 투입한 유지관리비가 모두 상환될 것으로 봄.
- 터널 관리 인원은 소장을 포함한 직원5명과 상용직 35명으로 총 40명이 근무하고 있음.
- 1일 평균 통행량은 71,900대에 달하며 통행료는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여 소형은 400원 대형은 500원을 부과함. 대형은 1톤 초과 화물차와 16인 이상의 승합차로 규정함.
- 터널 내 환기 시설인 송풍 장치는 터널 입구 및 출구에 각각 4개씩 총 8개를 가동하고 있으며 용량은 320kw, 275kw 2종류임.
- 터널의 안정성 진단이 "시설안전 기술공사"에 의해2000년 7월 18일에서 2000년 12월29일까지시행되었음. 터널의 외관 및 내구성 조사. 지반탐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안전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진단 되었음.
만덕 터널의 톨게이트 전경 만덕터널의 2개의 터널 입구 전경
백양 터널
- 백양 터널은 부산 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과 사상구 모라동을 연결하는 제3도시 고속도로 의 일부 구간으로서 항만 물동량의 원할한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큰 터널임.
- (주)대우건설이 4년 5개월 (1993.7.29일 - 1998.1.8일)에 걸친 공사 끝에 준공되었으며 유로터널으로서의 통행료 징수는 2000년 1.10일부터 시작하였음. 총사업비는 공사기간 동안의 지급이자 156억을 포함한 893억임.
- 터널의 길이 2,340m의 2차선 쌍굴이며 폭은 10.5m 이고 터널의 높이는 9.1m 임.
- 터널 내부는 자동제어설비 시스템에 의하여 조도,교통량 , 풍향 풍속,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가시 거리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주요 건물은 2개의 환기동 과 1개의 관리 동으로 이루어 짐. 터널 내부는 대형 송풍기에 의해 최적 환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터널내의 오염도(일산화 탄소 기준치 50 PPM)가 항상 기준치 이하로 관리 됨.
- 2000년 말 현재 1일 평균 통행량은 32,000대에 달하며 통행료는 소형 차량이 700원 대형차량은 900원을 부과하고 있음. 통행료 징수 기간은 25년 임.
- 2000년 11월 13일 터널의 관리 운영권이 (주)대우건설에서 백양터널 유한회사 (한빛은행이 주간사임)로 이전되었으나 터널 관리는 계속 (주)대우건설이 위탁 받아 시행하고 있음.
백양터널의 2개의 터널입구
이화령 터널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소재한 이화령 터널은 두산건설㈜이 1994년 12월 31일 공사를 개시하여 46개월이 지난 1998년 10월 20일 준공한 민자 터널임.
- 터널 길이는 1.6km로 양방향의 2개 터널이며 각각 2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음.총사업비는 844억이 투입 되었고 터널 굴착 방식은 NATM공법을 사용하였음.
- 1일 평균 통행량은 2000년 9,185대로 전년 대비 11%가 증가된 수치이나 당초 사업계획대비 절대 통행량의 부족으로 적자폭이 누적되고 있는 실정임.
- 통행료는 경차,소형,중형,대형으로 나누어 각각 600원, 1,300원, 1,600원, 2,600원을 부과하고 있음.
- 터널 개통에 따라 문경과 수안보간의 통행시간이 29분에서 8분으로 약 21분의 단축효과를 보이고 있음. 통행 거리도 11.9km에서 9.0km로 2.3km 단축되었으며 도로선형의 개량으로 교통사고도 현저히 줄어들었음.
이화령 터널의 톨게이트 전경
이화령 터널의 2개의 터널 입구 전경
창원 터널
- 창원시와 김해 장유면을 연결하는 터널로 길이는 2,340m 이며 폭은 9.25m로 2개의 터널임.
- 터널 시공은 1차와 2차로 나누어 이루어졌으며 1차 터널 2차선은 1991년 2월 7일 착공 후 3년이 경과된 1994년 2월 2일 준공되었음. 2차 터널은 늘어난 통행량을 소화하기 위해 1차 터널 개통 후 착수하여 1996년 12월 27일 준공되었음.
- 선경건설이 민자로 건설 후 1994.8.1일부터 통행료 징수를 포함한 터널관리 업무를 수행하다가 2000년 12월 1일 유로도로 관리권을 경상남도 개발공사 앞으로 인계하였음..
- 터널 요금 징수 기한은 투자비 980억을 회수하는 시점까지임. 2000년 말 현재 1일 평균 통행량은 약 47천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통행료는 소형,대형 그리고 특수차량으로 나누어 각각 1천원,1천5백원,2천원을 징구함. 대형차량은 17인승 이상의 승합차 및 2.5 톤 이상 15톤 미만의 차량으로 규정함.
- 현재 관리 인력 52명이 창원 터널 입구에서 장유 터널 입구까지 통행료 징수 및 시설물 관리 일체를 담당하고 있음.
- 터널의 시설물로는 반횡류식의 환기 설비(송풍기 230 kw 6개, 200 kw 4개)를 비롯하여 조명시설, 소방설비, 방송시설, 터널내부의 통행량 흐름을 감지하는 CCTV 와 터널내부 공기 오염도 측정 장비를 갖추고 있음.
창원 터널 전면 입구 사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1.05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1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