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에 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 서 론 >

< 본 론 >
Ⅰ. 터널 계획 설계
1. 지보계획
2. 단면계획
3. 굴착계획
4. 보조공법의 계획
5. 수치해석에 의한 검증사항
<보충 자료①>
Ⅱ. 터널 유지관리
1. 유지관리
2. 유지관리 계측
<보충 자료>
Ⅲ. 터널 측량
1. 터널측량의 개요
2. 갱외측량
3. 갱내측량
4. 단면측량
Ⅳ. 터널 계측
1. 계측의 목적
2. 계측의 일반사항
3. 계측결과의 분석
4. 계측 결과의 현장에서의 적용성
<보충 자료④>
((5. 계측 기기 )) 용량 때문에 지움
6. 대표적인 계측 공법
Ⅴ. 터널 공법
<보충 자료⑤>
1. 재래식 공법
2. 침매 공법
3. NATM 공법
4. TBM 공법
5. Shield 공법
<보충 자료⑥>
6. 보조 공법의 예
v|. 국내외 터널
1. 국내 터널
(구덕, 만덕, 창원, 둔내, 수정산, 이화령 터널)
2. 국외 터널
(노르웨이, 세이칸, 이스턴하버, 웨스턴하버, 홀랜드, 링컨, 유로 터널)
Ⅶ. 해저 터널
1. 해저 터널의 필요성 및 전망
2. 해저 터널의 종류
3. 해저 터널의 사례
4. 해저터널 가설의 기술적 검토 사항
5. 한일 해저 터널의 기술적 접근
<보충 자료⑧>

< 결 론 >

󰏓 참 고 자 료 󰏓
(용량 때문에 몇페이지 차이가 있음)

본문내용

. 이 노선의 해저면 하 토피고는 평균 약 40m이며, 가능한 수압을 가장 작게하기 위하여 가장 적은 토피고로 종단선형을 선정하였다. 터널의 횡단면은 2층의 구조로 상부 2차선에는 도로터널을 건설하고, 하부에는 1차선로의 자기부상열차와 긴급대피를 위한 공간과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계획안을 위한 고려사항으로는 시공비용(18조엔), 터널 내에서의 교통 안전성, 최대 약 255m 심도에서 쉴드공법의 적용성, 터널의 안정성, 세그먼트의 실링 방법, 조인트의 구조 등 이외에도 환기·급기·집진시스템, 새로운 자동차 연료개발, 고속주행 자기부상열차의 진행에 따른 풍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B안은 세이칸터널을 기본 모델로 하여 높은 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수면 하 지반 내 심도 약 100m에 인공 불투수층을 구축하도록 구상하였다. 이 안에서 제시한 시공방법은 이수가압쉴드공법과 주입공법을 병행한 NATM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Multi-Face Shield Method의 적용을 계획하였다. 터널의 단면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자기부상열차의 경우 복선 혹은 편도2선로로 설계되었고, 터널의 단면을 고려하여 자동차 전용도로를 추가하도록 하였다. 이 계획안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약 200m이상의 심도에서 이수가압쉴드공법의 적용가능성과 동일 심도에 대한 NATM에서의 그라우팅과 굴착공법이 주요 관건이다.
C안은 터널의 전 구간을 NATM으로 시공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는데, 1 차 지질조사 결과로부터 이 노선에 위치한 쓰시마해협의 미고결층 두께가 수백m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지하 1,000m까지의 굴착을 위한 시공성과 지하에 건설되는 역사 등의 영구구조물의 유지와 사용성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터널의 단면은 차량을 탑재할 수 있는 자기부상열차로 선정되었고, 단면의 크기는 세이칸터널과 유사하며, 최대 종단구배는 7%로 계획되었다.
<그림Ⅶ-5> 한일해저터널 예상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홍성완 2000, 배규진 2001)
<표Ⅶ-1> 한일해저터널 예상 노선별 내역
****** < 추가 자료⑧ > 해 저 터 널 시 공 과 정 ******
********************************************************
< 결 론 >
우선은 터널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려고 하니 예상보다 조사하기도 전에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자료를 찾으면서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 그렇게 하나하나 찾다보니 터널이란 것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처음 교수님이 말했던 100장 이상의 분량도 결코 많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자료 조사가 끝난 후 알 수 있었다.
생각했던 것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정리하고 결론을 쓰는 지금도 내가 조사한 내용을 완전히 알고 나서 쓰는 것이 아닌 것 같아 결론을 쓰고자 하는데 어려운 면이 더 많은 것 같다.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조사하기 전에는 터널이란 구조물이란 것이 단순히 좀 더 신속한 이동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만 생각하고 이것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계획을 하고 설계를 하고 시공을 하고 그것을 유지 관리 보수를 하고 그리고 그 외에도 구조물이 세워지기 전, 후에 고려하여야 할 여러 가지 사항들 정말 너무 복잡한 게 많은 것 같다. 그리고 계획에도 설계에도 시공에도, 각각의 모든 공정에서도 세부공정이 있기 마련이고 여러 가지 공정들이 있어서 그 공사 지역 지반의 특성에 맞는 계획을 세우고 설계를 하여야한다는 것, 무엇보다도 그 지반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그 곳에 알맞은 시공을 해 나가야한다는 것. 정말 터널이라는 토목에 있어서의 한 작은 한 분류를 파악하는데도 이렇게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리고 더불어 이렇게 큰 분야인 토목에 대해 공부하는 토목공학도로써의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약간 아쉬운 면이 있었다. 주로 인터넷이라는 검색 방법과 학교 도서관을 이용하여 자료를 모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터널에 관한 도서 자료가 거의 대부분이 90년대 후반의 자료였다. 그리고 왜 그렇게 한자가 많은지 현재의 한자 실력으로는 정말 도서자료를 이용하는 것조차도 어려웠다. 또한 계측에 있어서의 로봇기술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고 최근 첨단화된 터널에 대한 자료에 대해서도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일반 자료들에서는 미흡한 면이 많아 토목이라는 분야가 많이 발전해나가더라도 학문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나 같은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것은 거의 대부분이 일반 자료 밖에 없는데 그런 면에 있어서 토목이라는 분야의 발전에 있어서 그것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까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너무 적은 것 같다.
그래도 나는 이번에 터널에 관한 자료를 조사하면서 아직도 전문가처럼 상세히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다른 일반 사람들 보다는 터널이라는 어느 한 가지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된 것 같다 생각하니 뿌듯했다. 앞으로는 터널이라는 곳을 지날 때도 쉽게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참 고 자 료
1. 참고 도서.
- 1999, < 최신 터널공법핸드북 >, 도서출판 : 과학기술,
- 2003, 요코야마 아키라 외 2명, <터널 이야기 ( 터널의 역사와 기술의 발자취)>, 山海堂
- 2004, 한상희 외 1명, < 측량학 >, 보문당, 255 ~ 256 page
2. 참고 논문
- 문상조 외 3명, < 터널의 설계개념과 안전한 터널시공을 위한 고려사항 >, 1~15 page
- 김문겸 외 1명, < 해저터널의 개발 현황 및 기술적 접근 >, 5 ~ 11 page
- 송원경 외 3명, < 한일 해저 터널 어디까지 왔는가?>, 77 ~ 78, 81, 84 page
- 임대규, <지하 터널 공사 작업 개요> , 4 ~ 5 page
3. 참고 사이트
- http://cafe.naver.com/cetech2003.cafe
- http://www.hrtunnel.com
- http://www.tl.pe.kr
- http://www.intercivil.com.ne.kr
- http://www.civil4u.com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99페이지
  • 등록일2007.10.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