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지면서 '남북국 시대'라 호칭하는 방식이 정착되고 있다. 이처럼 남북한에서는 발해를 한민족의 국가로 간주함으로써 오늘날의 분단 상황 극복이라는 현실적 과제를 신라·발해 병립 시대에 투영하여 동일 민족이 남북으로 병립해 있는 부자연스러움과 불완전함을 환기시키고 통합에의 전망을 열어 보이려는 것이다. 여기서도 현재를 과거에 투영한 소행을 명확하게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발해)에서 현대를 읽어 낸다는 점에서는 중국에서도 사정이 같다. 남북한이 발해 지배층으로서의 고구려 족을 중시하는 데 비해 중국에서는 발해 영역 내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말갈족에 비중을 두면서 발해는 당대 소수 민족인 말갈인의 지방 정권이라는 공식 견해가 지배적이다.
"만들어진고대"대한 나의 호평
이 책에서 저자는 기존의 해석과는 다른 방향의 새로운 길을 제시해거 참으로 맘에 들었다. 한다. 그리고 저자가 재일교포란 사실도 인터넷 검색에서 알았다. 저자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인 역사해석을 시도하면서 구체적인 역사 내에서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좀 더 객관적인 해석을 도출해 낸 것같다.
"만들어진고대"대한 나의 비평
이책에 대해서 약간 아쉬웠던 점은 자국 중심의 해석을 모두 비판하면서도 결론적으로는 너무 각 국의 해석을 모두 수용하려고 애쓴 듯한 그의 해석은 그다지 새로워 보이지는 않았다. 이런 저자의 중립적인 태도는 재일 한국인의 특권이자 한계이지 않을까? 실질적 해결책은 이야기하지 않은 채 단순히 새로운 역사 인식의 바뀜을 요구하는 그의 결론은 조금 아쉬웠다. 더욱더 비평을 하자면 많은 학설과 여러 국가의 해석이 나열되어 있어 사론집 이라기 보다는 학설을 모아 놓은 모음집 같은 느낌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맘에 드는 이유는 역사 다시보게 돼고 근본적인 의문을 갖게 생각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많은 견해와 학설을 통해 우리가 배워온 역사 또한 한쪽으로 치우친 것임을 느끼게 해주고 새로운 역사 인식의 필요성을 주지시켜 준다. 상반된 역사해석으로 국가 간 마찰이 빚어지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동아시아 역사의 전체적인 틀을 잡는 일은 필요할 것이다.
다른 부분도 읽어 보기는 했으나 솔직히 앞부분 만큼 깊이 생각하지도 않았고 대충 읽었다 이책보며 가장 처음으로 느낀 것은 일반 소설책처럼 쉽게 읽을 책은 아닌 것 같다는 것이다.평속에 책을 종하하는 편이 아니지만 시중에 이런책들이 흔하지는 않은 것 같다.
고대(발해)에서 현대를 읽어 낸다는 점에서는 중국에서도 사정이 같다. 남북한이 발해 지배층으로서의 고구려 족을 중시하는 데 비해 중국에서는 발해 영역 내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말갈족에 비중을 두면서 발해는 당대 소수 민족인 말갈인의 지방 정권이라는 공식 견해가 지배적이다.
"만들어진고대"대한 나의 호평
이 책에서 저자는 기존의 해석과는 다른 방향의 새로운 길을 제시해거 참으로 맘에 들었다. 한다. 그리고 저자가 재일교포란 사실도 인터넷 검색에서 알았다. 저자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인 역사해석을 시도하면서 구체적인 역사 내에서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좀 더 객관적인 해석을 도출해 낸 것같다.
"만들어진고대"대한 나의 비평
이책에 대해서 약간 아쉬웠던 점은 자국 중심의 해석을 모두 비판하면서도 결론적으로는 너무 각 국의 해석을 모두 수용하려고 애쓴 듯한 그의 해석은 그다지 새로워 보이지는 않았다. 이런 저자의 중립적인 태도는 재일 한국인의 특권이자 한계이지 않을까? 실질적 해결책은 이야기하지 않은 채 단순히 새로운 역사 인식의 바뀜을 요구하는 그의 결론은 조금 아쉬웠다. 더욱더 비평을 하자면 많은 학설과 여러 국가의 해석이 나열되어 있어 사론집 이라기 보다는 학설을 모아 놓은 모음집 같은 느낌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맘에 드는 이유는 역사 다시보게 돼고 근본적인 의문을 갖게 생각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많은 견해와 학설을 통해 우리가 배워온 역사 또한 한쪽으로 치우친 것임을 느끼게 해주고 새로운 역사 인식의 필요성을 주지시켜 준다. 상반된 역사해석으로 국가 간 마찰이 빚어지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동아시아 역사의 전체적인 틀을 잡는 일은 필요할 것이다.
다른 부분도 읽어 보기는 했으나 솔직히 앞부분 만큼 깊이 생각하지도 않았고 대충 읽었다 이책보며 가장 처음으로 느낀 것은 일반 소설책처럼 쉽게 읽을 책은 아닌 것 같다는 것이다.평속에 책을 종하하는 편이 아니지만 시중에 이런책들이 흔하지는 않은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독후감] 이광수의 무정을 읽고..
해리포터-영문한글 독후감
(독후감) 로마인 이야기 감상문
(독후감 및 요약)로이드 죤즈의 성령론
[독후감] 람세스
[독후감]사마천의 '사기’를 읽고
(독후감)이인식의 세계신화여행(과학과 신화의 연관성)-이인식
[독후감/감상문/서평/요약/줄거리] 습관의 힘 -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_ 찰스 ...
[독후감] 사마천의 사기를 읽고
[독후감] 털없는 원숭이를 읽고
[독후감상] 종교와 과학 진화론 - 다윈도 모르는 진화론을 읽고 _ 리처드 밀턴(Richard Milto...
[독후감] 엘 고어의 '불편한 진실'을 읽고난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