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사용기기 및 부품
4. 이론적 배경
5. 실험 결과
6. 토의 및 분석
2. 실험 목적
3. 사용기기 및 부품
4. 이론적 배경
5. 실험 결과
6. 토의 및 분석
본문내용
즉, 더 큰 돌림 힘을 필요로 한다.) 일정한 각운동량을 유지하려는 속성(관성)이 큼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관성모멘트이다.
실험A 에서는 회전축의 관성모멘트는 I。(축)= 0.0004 였고 실험B에서는 회전 막대의관성 모멘트 I₁(막대)= I (축+막대) - I。(축) = 0.2624 였다. 여기서 회전 막대가 회전축보다 회전 막대에서의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즉, 회전막대의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더 큰 돌림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C 에서도 마찬가지로 질점을 16cm 옮김으로써 16cm떨어진 막대의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은 관성 모멘트의 증가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실험D 에서도 눕혀진 원판의 관성 모멘트가 커서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오래걸렸는데 이것은 원판의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이다.(관성 모멘트가 큰 : 세워진 원판보다는 눕혀진 원판의 질량 분포가 회전축과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
그리고 실험D에서의 이론값과 실험값은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눕혀서의 관성 모멘트가 세워서의 관성 모멘트보다는 2배 크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험에서는 실과 회전판, 도르래의 마찰력, 추와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ko.wikipedia.org/wiki/
http://physlab.snu.ac.kr/newphyslab/class/
http://physlab.snu.ac.kr/newphyslab/lab/angular.htm
실험A 에서는 회전축의 관성모멘트는 I。(축)= 0.0004 였고 실험B에서는 회전 막대의관성 모멘트 I₁(막대)= I (축+막대) - I。(축) = 0.2624 였다. 여기서 회전 막대가 회전축보다 회전 막대에서의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즉, 회전막대의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더 큰 돌림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C 에서도 마찬가지로 질점을 16cm 옮김으로써 16cm떨어진 막대의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은 관성 모멘트의 증가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실험D 에서도 눕혀진 원판의 관성 모멘트가 커서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오래걸렸는데 이것은 원판의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이다.(관성 모멘트가 큰 : 세워진 원판보다는 눕혀진 원판의 질량 분포가 회전축과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
그리고 실험D에서의 이론값과 실험값은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눕혀서의 관성 모멘트가 세워서의 관성 모멘트보다는 2배 크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험에서는 실과 회전판, 도르래의 마찰력, 추와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http://ko.wikipedia.org/wiki/
http://physlab.snu.ac.kr/newphyslab/class/
http://physlab.snu.ac.kr/newphyslab/lab/angular.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