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 2
Ⅱ. 분석틀(연구틀) ----------------------------------- 2
1. 바람난 가족 영화를 분석
2. 가족관련 통계 및 현상을 분석(가족변화)
Ⅲ. 사례 (바람난 가족)-------------------------------------- 3
Ⅳ. 본문 ---------------------------------------------------- 5
1. 가족의 변화 요인
2. 다양한 가족의 유형 및 특성
Ⅴ. 결론 ---------------------------------------------------- 10
1. 미래 가족의 전망
Ⅵ. 참고문헌 ------------------------------------------------ 11
Ⅱ. 분석틀(연구틀) ----------------------------------- 2
1. 바람난 가족 영화를 분석
2. 가족관련 통계 및 현상을 분석(가족변화)
Ⅲ. 사례 (바람난 가족)-------------------------------------- 3
Ⅳ. 본문 ---------------------------------------------------- 5
1. 가족의 변화 요인
2. 다양한 가족의 유형 및 특성
Ⅴ. 결론 ---------------------------------------------------- 10
1. 미래 가족의 전망
Ⅵ. 참고문헌 ------------------------------------------------ 11
본문내용
이 되기도 한다. 혼인율은 점차 감소하는데 이혼율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독신을 선택한 사람들이 비자발적으로 독신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다.
3) 재혼가족
재혼녀의 배우자 혼인종류별 재혼 구성비, 1998
배우자의 혼인종류
이혼후
재혼녀수
사별후
재혼녀수
비율
비율
전 체
27,863
100.0
3,729
100.0
초 혼
9,429
33.8
981
26.3
사별후 재혼
1,898
6.8
1,040
27.9
이혼후 재혼
16,536
59.3
1,708
45.8
자료)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00에서 재인용.
비고) 재혼건수 및 재혼자수는 신고치에 의한 것임
이혼 후 혼한 여성의 관점에서 보면, 59.3%는 이혼남과 재혼한 것으로 나타나 이혼한 남녀간의 재혼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초혼남과 재혼한 비율도 33.8%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사별한 후 재혼한 여성 중 45.8%는 이혼남과 재혼했으며, 27.9%는 사별한 남자와 재혼한 것으로 나타난다
재혼형태별 구성비. (%)
연 도
초혼(여)-재혼(남)
재혼(여)-초혼(남)
재혼(여)-재혼(남)
1988
35.6
20.8
43.5
1990
32.7
23.7
43.6
1995
26.5
27.4
46.1
1996
25.5
28.4
46.1
1997
23.8
28.6
47.6
1998
21.7
25.8
52.5
자료)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00에서 재인용.
4) 통근가족
서구에서는 부부가 직업적인 커리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주일에 최소한 3일 내지 4일 정도 떨어져 사는 가족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동거가족, 통근가족, 떨어져 사는 가족 등으로 불리우고 잇으나 아직까지 합의된 개념이 없다.
우리나라에서 통근부부가 출현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 노동력의 해외진출, 1980년대의 지방산업의 활성화, 1990년의 해외유학의 자유화가 그 요인이다.
5) 무자녀 가족
현대의 다양한 형태의 가족 중에서 자발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는 무자녀가족이 있다. 최근에 이르러 이러한 추세는 1970년에는 5.4%였는데 2000년 현재에는 14.8%로 증가하여 무자녀가족이 급증함을 알 수 있다.
무자녀가족은 두 유형으로 나뉘는데, 한 유형은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많은 불편을 알고 자녀를 갖지 않기로 결심한 가족이고, 다른 유형은 자녀를 갖는 것이 삶의 양식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보는 가족이다.
6) 노인부부가족
최근에 증가하는 가족중의 하나가 자식이 있는 부부가 자식의 부양을 받지 않고 노인부부만이 사는 노인부부가족이다. 영어로는 통크족으로 불리우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중 혼자 또는 부부끼리 사는 노인의 비율: 1995년 (%)
구 분
전국
동부
읍면부
전체
남자
여자
전체
남자
여자
전체
남자
여자
혼자 사는 노인 비율
13.7
5.0
19.0
10.3
4.1
13.8
18.2
5.9
26.3
부부끼리만 사는 노인 비율
16.4
21.7
13.2
11.8
16.3
9.3
22.5
28.3
18.7
기 타
0.5
0.3
0.7
0.4
0.2
0.5
0.7
0.4
0.9
비노인가구 거주 비율
69.4
73.1
67.2
77.5
79.4
76.4
58.7
65.4
54.1
자료) 통계청, 1999 한국의 사회지표
7) 맞벌이 가족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출산력의 감소에 따른 노동력의 부족, 산업화의 고도화에 따른 다양한 인력이 필요 등으로 여선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졌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늘어나고 있고 여성교육의 상승, 낮은 출산율, 산업의 고도화, 여성취업관련제도의 개선 등으로 기혼여성의 사회진출은 더욱 활발해 질 것이다.
8) 기타가족
다양한 가족의 유형에는 동거가족, 실험 또는 계약결혼, 동성애가족, 공동체가족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한 통계는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사실혼 관계에 있는 가족들은 과거부터 있었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동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동성애 가족은 최근의 현상은 아니고 과거부터 존재하였고 서구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편재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동성애가족에 대한 통계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에 저항하는 젊은이가 증가하고, 세계적인 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동성애 가족이 점차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Ⅵ 미래 가족의 전망
가족의 다양화를 가족의 해체로 볼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가족의 정의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인가? 분명한 것은 가족에 대한 정의가 어떻게 내려지든,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더 다양한 가족이 존재할 것이라는데 있다. 역으로 통념적인 가족유형은 점차 감소하고, 다양한 조합의 구성원으로 형성된 가족과, 과거와는 상이한 성역활을 수행하는 가족이 점차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정상적인 가족과 비정상적인 가족의 경계를 긋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서구에서는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정상적인 가족의 테두리 안에 그 이전에는 일탈적이라고 간주되었을 가족을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 사회는 비교적 최근에 이러한 가족의 다양화를 경험하고 있다. 미래에는 이러한 가족의 다양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족의 변화상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우리사회가 이렇게 다양화되는 가족에 대해 “비정상”이라거나 “일탈적”이라고 보는 것은 이러한 가족들을 문제가족화하여 낙인찍는 것이다. 가족의 다양성은 불가피한 현상이므로 다양한 가족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사회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가족복지정책을 통한 지침이 있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신화용, 1997, “세계의 가족” , 예지각
김익균, 2003, “가족 복지론”, 학지사
김미숙외 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임상사회사업연구회 1009, 현대가족문제, 학문사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논문) 안호용, 김흥주
인터넷
권미혁 , 드라마속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 , 미디어 운동본부 기획의원
페미니즘의 실패, 바람난 가족
www.cjmunye.com/board/view 영화 비평
3) 재혼가족
재혼녀의 배우자 혼인종류별 재혼 구성비, 1998
배우자의 혼인종류
이혼후
재혼녀수
사별후
재혼녀수
비율
비율
전 체
27,863
100.0
3,729
100.0
초 혼
9,429
33.8
981
26.3
사별후 재혼
1,898
6.8
1,040
27.9
이혼후 재혼
16,536
59.3
1,708
45.8
자료)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00에서 재인용.
비고) 재혼건수 및 재혼자수는 신고치에 의한 것임
이혼 후 혼한 여성의 관점에서 보면, 59.3%는 이혼남과 재혼한 것으로 나타나 이혼한 남녀간의 재혼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초혼남과 재혼한 비율도 33.8%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사별한 후 재혼한 여성 중 45.8%는 이혼남과 재혼했으며, 27.9%는 사별한 남자와 재혼한 것으로 나타난다
재혼형태별 구성비. (%)
연 도
초혼(여)-재혼(남)
재혼(여)-초혼(남)
재혼(여)-재혼(남)
1988
35.6
20.8
43.5
1990
32.7
23.7
43.6
1995
26.5
27.4
46.1
1996
25.5
28.4
46.1
1997
23.8
28.6
47.6
1998
21.7
25.8
52.5
자료)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00에서 재인용.
4) 통근가족
서구에서는 부부가 직업적인 커리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주일에 최소한 3일 내지 4일 정도 떨어져 사는 가족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동거가족, 통근가족, 떨어져 사는 가족 등으로 불리우고 잇으나 아직까지 합의된 개념이 없다.
우리나라에서 통근부부가 출현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 노동력의 해외진출, 1980년대의 지방산업의 활성화, 1990년의 해외유학의 자유화가 그 요인이다.
5) 무자녀 가족
현대의 다양한 형태의 가족 중에서 자발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는 무자녀가족이 있다. 최근에 이르러 이러한 추세는 1970년에는 5.4%였는데 2000년 현재에는 14.8%로 증가하여 무자녀가족이 급증함을 알 수 있다.
무자녀가족은 두 유형으로 나뉘는데, 한 유형은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많은 불편을 알고 자녀를 갖지 않기로 결심한 가족이고, 다른 유형은 자녀를 갖는 것이 삶의 양식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보는 가족이다.
6) 노인부부가족
최근에 증가하는 가족중의 하나가 자식이 있는 부부가 자식의 부양을 받지 않고 노인부부만이 사는 노인부부가족이다. 영어로는 통크족으로 불리우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중 혼자 또는 부부끼리 사는 노인의 비율: 1995년 (%)
구 분
전국
동부
읍면부
전체
남자
여자
전체
남자
여자
전체
남자
여자
혼자 사는 노인 비율
13.7
5.0
19.0
10.3
4.1
13.8
18.2
5.9
26.3
부부끼리만 사는 노인 비율
16.4
21.7
13.2
11.8
16.3
9.3
22.5
28.3
18.7
기 타
0.5
0.3
0.7
0.4
0.2
0.5
0.7
0.4
0.9
비노인가구 거주 비율
69.4
73.1
67.2
77.5
79.4
76.4
58.7
65.4
54.1
자료) 통계청, 1999 한국의 사회지표
7) 맞벌이 가족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출산력의 감소에 따른 노동력의 부족, 산업화의 고도화에 따른 다양한 인력이 필요 등으로 여선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졌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늘어나고 있고 여성교육의 상승, 낮은 출산율, 산업의 고도화, 여성취업관련제도의 개선 등으로 기혼여성의 사회진출은 더욱 활발해 질 것이다.
8) 기타가족
다양한 가족의 유형에는 동거가족, 실험 또는 계약결혼, 동성애가족, 공동체가족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한 통계는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사실혼 관계에 있는 가족들은 과거부터 있었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동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동성애 가족은 최근의 현상은 아니고 과거부터 존재하였고 서구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편재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동성애가족에 대한 통계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에 저항하는 젊은이가 증가하고, 세계적인 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동성애 가족이 점차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Ⅵ 미래 가족의 전망
가족의 다양화를 가족의 해체로 볼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가족의 정의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인가? 분명한 것은 가족에 대한 정의가 어떻게 내려지든,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더 다양한 가족이 존재할 것이라는데 있다. 역으로 통념적인 가족유형은 점차 감소하고, 다양한 조합의 구성원으로 형성된 가족과, 과거와는 상이한 성역활을 수행하는 가족이 점차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정상적인 가족과 비정상적인 가족의 경계를 긋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서구에서는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정상적인 가족의 테두리 안에 그 이전에는 일탈적이라고 간주되었을 가족을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 사회는 비교적 최근에 이러한 가족의 다양화를 경험하고 있다. 미래에는 이러한 가족의 다양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족의 변화상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우리사회가 이렇게 다양화되는 가족에 대해 “비정상”이라거나 “일탈적”이라고 보는 것은 이러한 가족들을 문제가족화하여 낙인찍는 것이다. 가족의 다양성은 불가피한 현상이므로 다양한 가족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사회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가족복지정책을 통한 지침이 있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신화용, 1997, “세계의 가족” , 예지각
김익균, 2003, “가족 복지론”, 학지사
김미숙외 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임상사회사업연구회 1009, 현대가족문제, 학문사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논문) 안호용, 김흥주
인터넷
권미혁 , 드라마속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 , 미디어 운동본부 기획의원
페미니즘의 실패, 바람난 가족
www.cjmunye.com/board/view 영화 비평
추천자료
`태극기 휘날리며` 영화감상문 (가족애와 부정)
영화 가족 감상문
[미디어비평]영화 <아이 엠 샘>을 통한 현대사회와 가족
가족문제 드라마, 영화 감상문(꽃보다 아름다워를 보고..)
(감상문)영화 안토니아스 라인(ANTONIA`S LINE)- 대안가족을 중심으로
가족의 탄생과 ‘About a boy’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영화의 재발견
[가족의 탄생 감상문] 가족의 탄생 영화 감상문 및 나의 견해
[가족의 탄생 감상문] 가족의 탄생 영화 감상문 및 나의 견해
가족의 탄생 영화를 본 후 이상적인 가족이란
[★발표자료★][경험적 가족치료와 적용사례-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 ...
[영화감상문] 스토리 오브 어스(Story of us) - 의사소통, 가족관계, 결혼생활, 인간관계 관...
[영화감상문] 행복목욕탕 (영화감상평) 가족의 의미와 엄마의 존재, 가족복지, 사회복지
(A+ 레포트)[영화감상문]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잔잔하게 일렁이는 진정한 가족의 의미